교육 전문회사 행복(Happy Ltd.) 설립자 겸 최고행복경영자(CHO)인 헨리 스튜어트 ‘조직이 직원을 신뢰하고 직원이 자유롭게 능력껏 일할 때 가장 극적인 변화가 시작된다'는 경영론을 펼치며 다음과 같은 10가지 원칙을 제시했다. (1)직원이 신나게 일할 수 있도록 신뢰하라. (2)직원의 행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라. (3)훌륭한 일터를 만들면 최고의 성과가 창출된다. (4)명확한 가이드라인 안에서 자유를 부여하라. (5)연봉을 포함한 모든 정보를 공유하라. (6)학력, 경력이 아닌 태도를 보고 채용하라. (7)직원의 실수를 축하하라. (8)회사에 도움이 되는 사회공헌활동을 조직하라. (9)일을 사랑하고 삶을 얻게 하라. (10)사람 관리에 능한 관리자를 선택하라. 아울러 스튜어트 CHO는 '행복한 일터'를 위한 3가지 필수요소 △직원이 가장 잘할 수 있는 일을 하게 하라 △직원에게 그 일을 할 수 있는 자유를 부여하라 △직원이 최고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코치하라 그렇다면…당신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MK BUSINESS STORY] 여전히 甲甲한 한국 직장문화...'결재를 바랍니다' 있는 한 안 바뀌죠

n.news.naver.com

[MK BUSINESS STORY] 여전히 甲甲한 한국 직장문화...'결재를 바랍니다' 있는 한 안 바뀌죠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1월 22일 오전 12:23

조회 9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30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