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직원 60%, 실수로 클라우드 데이터 삭제 경험"
데이터넷
< “국내 기업 직원 60%, 실수로 클라우드 데이터 삭제 경험” > [데이터넷] 업무 데이터 손실에 대해 직원을 비난하는 기업 분위기는 성공적인 클라우드 도입을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5일 베리타스코리아(지사장 이상훈)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클라우드 기반 업무 환경에서의 데이터 손실 위험과 관련된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베리타스의 의뢰로 글로벌 리서치 회사인 3Gem이 한국을 포함해 미국, 영국, 중국, 호주, 프랑스, 독일, 싱가포르, UAE 등 1만1500여명의 오피스 근로자들을 인터뷰하고 통계 결과를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직원들이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365와 같은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다가 데이터를 실수로 삭제하거나 랜섬웨어 문제가 있을 때 두려움이나 수치심으로 인해 보고를 기피하는 것이 결과적으로 기업이 고객 주문 및 재무 데이터와 같은 중요한 데이터를 손실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직원들, 클라우드 데이터 삭제하고도 보고 ‘기피’ 조사 결과 사무직 직원의 절반 이상(글로벌 56%, 한국 60.6%)이 비즈니스 문서, 프레젠테이션, 스프레드시트와 같이 클라우드에서 호스팅되는 파일을 실수로 삭제했으며 20%(한국의 경우 14%)는 일주일에 여러 번 삭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글로벌 평균 35%, 한국 25%가 공유 클라우드 드라이브에 저장한 데이터를 실수로 삭제했다는 사실을 숨기기 위해 거짓말을 했다. 한국 직장인들의 38.9%는 아무도 자신의 오류를 알아차리지 못했다고 응답했으나, 사고가 밝혀진 경우 응답자의 21.8%는 데이터를 더 이상 복구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자신의 잘못을 보고하지 못한 이유를 묻는 질문에 한국인 응답자의 29%는 부끄러워서 숨겼고, 31%는 결과가 두려워서 말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직원들은 랜섬웨어 사고에 대해서도 보고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었다. 한국에서 20%의 응답자만이 실수로 랜섬웨어 사고가 일어났을 때 즉각 조직에 보고하겠다고 말했다. 46%는 아무 조치를 취하지 않거나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척할 것이라고 대답했고, 11%는 사고를 보고하면서 본인의 잘못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오해 깊어 이번 연구는 직원들이 데이터가 손실된 경우 파일을 호스팅하는 클라우드 회사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실제로 거의 모든 직원(92%)은 클라우드 공급자가 클라우드 복사본이나 ‘삭제된 항목’ 폴더 혹은 백업에서 파일을 복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한국의 경우에도 92.2%가 이렇게 믿고 있었다. 15%는 데이터가 손실되더라도 최소 1년 동안은 클라우드에서 ‘삭제된 항목’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 데이터 손실로 인한 직원 스트레스 증가 데이터 손실은 직원 복지에도 영향을 미친다. 사무직 직원의 29%는 데이터 손실 시 욕설을 사용하고, 13%는 욕설과 함께 기물을 파손하며, 16%는 울기도 한다. 리서치에 따르면 업무 데이터를 잃거나 랜섬웨어에 걸리게 된 것은 회사 직원에게 면접이나 시험 응시보다 더 큰 스트레스였다. 세부 내용은 링크 참고해주세요 ;-)
2021년 11월 26일 오전 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