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정의 회장의 투자 방식을 잘 알 수 있는 책인 것 같습니다. 공격적인 투자, 양날의 칼이겠죠. 잘 되면 혁신가, 안되면 몽상가? 손정의 회장을 다룬 책은 많습니다. 저도 이 책을 읽어봤습니다. 저자인 스기모토 다카시는 일본의 '니혼게이자이' 신문의 기자 출신입니다. 아무래도 기자다 보니 손 회장에 대한 방대한 자료를 조사했을 것입니다. 이 책을 읽어보면 손 회장의 경영 방식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젊었을 때부터 통 큰 투자 방식, 공격적인 투자 방식을 선호했습니다.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죠. 2위 업체를 인수해도 공격적으로 투자를 해서 시장을 선점하는 방식을 오래전부터 좋아했던 것 같습니다. 알리바바, 야후, ARM 등은 손 회장의 투자가 더해져서 브랜드 가치가 올랐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3조3000억 엔으로 반도체 제조 기업인 암 홀딩스를 인수한 것은 손 회장의 공격적인 투자 방식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입니다. 공격적인 투자의 성공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워크, 줌피자, 겟어라운드, 우버 등은 이에 반해 좋지 않은 성과를 내는 투자 사례입니다. 한국의 쿠팡도 마찬가지라는 평가가 많습니다. 투자할 때 100% 성공을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문제는 손정의 회장의 한건 한건 투자가 조 단위를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비전펀드가 뒤에 버티고 있기 때문이죠. 그러다 보니 실패하는 투자 사례가 생기면 그 여파가 크다는 것입니다. 한 사람의 인생이나 경영철학을 특정 시기와 특정 부분만을 가지고 평가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다만 손 회장이 현재의 투자 실패를 계기로 달라진 행보를 보이느냐 여부에 따라서 평가가 또 달라질 것입니다. 저번에도 밝혔지만, 손 회장은 소프트뱅크의 경영자라는 인식보다 투자자라는 이미지가 더욱 강해지고 있다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상일 것입니다.

[Story In BooK] '과감한 승부사'의 미래는? 손정의를 다시 생각한다

블로터

[Story In BooK] '과감한 승부사'의 미래는? 손정의를 다시 생각한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3월 26일 오후 11:4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29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