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터의 미래는 어떻게 변할까?] 최근 마케터 직무의 변화가 다른 직무보다 변화의 속도가 가속화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퍼포먼스 마케터로 전직한 후 변화는 있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제가 예상했던 것 보다 더욱 빠르게 마케터 직군의 변화와 마케팅 환경의 변화가 더욱 가속화 된 것을 피부로 느끼고 있습니다.(힘들게 원하는 퍼포먼스 마케터로 전직 했지만 예상했던 변화 속도보다 빨라 현타가 오네요😵‍💫) 다양한 변화 중 하나가 <매체 최적화의 고도화>입니다. 즉, 매체의 AI가 더 똑똑해져 마케터가 세세한 부분까지 세팅에 신경을 안 써도 매체가 알아서 최고의 성과를 내는 방법으로 광고가 운영이 되는 것 입니다. 다른게 말하면 이러한 방향은 퍼포먼스 마케팅을 잘 몰라도 허들 없이 매체를 운영할 수 있게 되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퍼포먼스 마케팅은 마케팅 분야에서도 특수한 분야라고 생각하는 분위기 였다면 이제는 <특수함이 조금씩 줄어들고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퍼포먼스 마케팅 혹은 퍼포먼스 마케터 직무는 존재하긴 할 것 입니다. 물론 다른 마케터 직무들도 마찬가지이죠. 그렇다면 매체가 빠르게 고도화 되고 있는 상황에서 마케터는 어떤 방향으로 업무를 해야 할까요? 🔥 How(어떻게)보다는 Why(왜?)를 기반으로 👉예전에는 매체를 운영 할때 <어떻게 해야지 효율이 좋을까?>를 고민 했다면, 지금부터는 <왜 이러한 데이터가 나왔지?>를 생각해야 할 것 같습니다. 과거에는 <어떻게 타겟팅을 하면, 어떤 지면에 노출을 시킬까 등>을 고민 했습니다. 즉, 테크니컬하게 접근을 했었습니다. 그 이유는 마케터가 이러한 방법을 매체에 적용하기 않는다면 매체가 고효율을 만들 수 없었던 상황이였기 때문입니다. 현재는 매체가 앞장서서 논타겟팅을 하는 것이 오히려 효율이 좋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테크니컬한 접근 보다는 데이터가 어떤 현상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는 <왜?>가 더 중요해 졌습니다. <왜?>라는 질문을 통해 가설들을 검증해 나가는 것이 마케터의 칼날을 세우는 방향이지 않을까 합니다.

AI가 장악하는 데이터 마케팅, 마케터가 해야할 일은?

YouTube

AI가 장악하는 데이터 마케팅, 마케터가 해야할 일은?

2021년 12월 16일 오전 12:50

댓글 0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