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인 인수 기업가가 되려면?> 1/ CEO가 되는데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기업 고위 임원이 되기 위해 사다리를 오르거나 스타트업을 창업할 수도 있다. 하지만, 기존 사업체를 매수해서 ‘인수 기업가, acquisition entrepreneurship’가 되는 방법도 있다. 2/ 그렇다면 어떻게 인수 기업가로서 성공할 수 있을까? 가장 중요한 시작점은 본인이 인수 기업가로서 어울릴지 판단하는 1) 자기 성찰이다. 이에 이어 2) 효율적 탐색, 3) 거래 체결 및 4) 성공적 리더십 전환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3/ 저기 성찰이 먼저이다. 성공적인 인수 기업가가 되려면 당연히 기본적인 경영 능력이 필요하다. 사업과 재무에 대한 이해, 직원을 이끌고 관리하는 요령, 의사결정하는 소질이 있어야 하며, 자신감과 설득력, 그리고 끈기가 필요하다. 또한 인수 기업가는 열정적인 배움의 자세를 견지해야 한다. 오너이자 CEO로서 기능적 전문 지식을 개발하고, 호기심을 유지하며, 일에서 성장할 수 있고, 성장해야 한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스트레스와 과도한 책임감 역시 감당 가능하다면, 이제 어떤 회사를 인수할지 탐색을 시작하자. 4/ 혼자 일하든 동업을 하든 6개월에서 2년 동안은 탐색에 전념해야 한다. 탐색은 인수 대상을 찾아 걸러내는 것부터 시작한다. 연간 매출 기준 약 50억원~ 200억원, 연간 영업이익이 10~20% 범위에 초점을 맞출 것을 권한다. 매년 수익을 내고, 앞으로도 계속 그럴 가능성이 높으며, 영속적 수익성이 있는 꾸준한 기업을 찾아야 한다.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스타트업이나 위험 높은 기회는 잊는 것이 좋다. 최종 기준을 통과한 기업이라 하더라도 계약이 성사되지 못할 가능성에 대비해 새로운 인수 대상을 계속 검토해야 한다. 5/ 탐색은 모든 과정의 중요한 시작점이므로, 다음의 7가지 질문에 집중해야 한다. — 흑자 기업인가? — 이미 자리잡은 사업인가? — 매출과 수익성이 원하는 범위에 있는가? — 수익성이 얼마나 영속적인가? — 이 회사를 관리할 능력이 있는가? — 이 회사는 나의 라이프스타일 (지역, 출장 빈도 등)에 적합한가? — 소유주가 매각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는가? 6/ 면밀한 탐색 과정을 거쳐 선정된 기업에 대해서 꼼꼼한 예비 실사을 해야 한다. 회사의 과거 재무 데이터를 활용해 미래 수익과 적정 가격을 도출하고, 예상 투자 수익률을 도출하라. 인수 자금을 어떻게 마련할지도 미리 준비해야 한다. 7/ 매도자와 잘 협의가 되어 우선 협상자로 선정이 되면, 일반적으로 90일 동안 회계사, 변호사, 컨설턴트와 함께 실사(due dilligence)를 수행한다. 다음 사항들을 모두 검토하여 초기에 생각했던 매력도와 일치하는지, 법적으로 이상 없음을 꼼꼼하게 확인한다. — 시장 매력도 및 경쟁환경 — 해당 기업의 시장 내 포지션 — 매출 및 비용 구조 — 사업 성과 예측 — Upside potential — 주요 (법률적) risk 8/ 계약이 체결되면 초기 3개월간 리더십 전환과 안정화에 힘써야 하며, 초기 3개월간 다음 3개월과 6개월간의 성과 우상향 마일스톤을 잘 수립해야 한다. 첫인상이 중요하다. 모든 관리자와 직원에게 자신을 소개하고, 외부 이해관계자들을 만나며, 모두에게 리더십 전환 계획을 전달하고, 현금흐름을 통제해야 한다. 새로운 직원을 만나면 당분간 변화는 없을 거라고 안심시켜야 한다. 마지막으로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구축하는데 프로세스를 우선순위화해야 한다. 9/ 훌륭한 CEO가 되는 방법은 CEO가 되어 실행해보는 것 밖에 없다. 창업을 할수도, 대기업에서 오랜기간 사다리를 타고 올라 갈 수도 있으나 인수 기업가가 되는 방법 역시 훌륭한 선택지 중 하나이다. <Richard S. Ruback & Royce Yudkoff, “Buying Your Way into Entrepreneurship”, Harvard Business Review (January–February 2017)>

Buying Your Way into Entrepreneurship

Harvard Business Review

Buying Your Way into Entrepreneurship

2021년 12월 17일 오전 3:24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