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신의 분야에서 최고가되는 방법 ] 1.(실력을 갈고닦으며) 버틴다. 결국에는 실력으로 평가된다. 비가와도 눈이와도 더럽고 치사해도 버티다보면 기회가 온다 2.누구나 오르막 내리막이 있고 경기장에 있어야 똥볼이라도 찬다 3.언제까지 버텨야하는가? 내가 어떤 이유에서건 어떤 일을 시작했다면 내가 이정도까지는 마스터했다고 느껴지는 시점까지 버텨야한다 1)산업이 돌아가는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2)필요한 기술을 익혔고 3)사람을 얻었다는 생각이 드는시점까지 4.게임을 하려면 먼저 티켓(기본 실력)부터 있어야한다. 내가 하는 분야를 공부하고 갈고 닦는 부분에 있어서는 부지런을 떨며 뾰족하게 만들어야 한다. 5.기본적인 숙제를 안하면서 환경이나 기회를 보는 것은 아니다. 6.(내 장점을) 최고로 만드는데 많은 에너지를 써야한다. 80% 에너지는 내 장점을 최고 로만드는데 힘쓰고, 단점은 20%의 에너지만 써서 관리한다. 7.하나가 뾰족하면 나머지 부분의 인식은 저절로 따라오게 된다 8.(다른 사람과) 비교하다보면 그것이 안될 것 같은 이유로 모든 것에 삐딱해지고 일이 꼬이게 된다. ​ 9.어제의 나와 비교하고, 어제보다 나은 사람이 되려고 한걸음 한걸음 가는 것이 목표에 빨리 도달하는 지름길이다. ​ 10.(지속 가능하려면) 목표로부터 보상을 받으려고하지말고 과정을 통해 보상받는 사람이 돼야한다. 오늘 정산은 오늘 한다. 지금에 충실하자. ​ 🛠 인생도구 #1 나만의 뾰족함 만들기 사람들은 각자 장점과 단점이 있다. 하지만 사람들은 자신의 단점을 메우는데 열중한다. 그러다보면 이도저도 안되고 평범한 사람이 될 수 밖에 없다. 나 스스로를 들여다보고 내 장점을 최고로 만드는데 힘쓰자. "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할 수 없는 것에만 신경을 쓰는 사람, 그리고 그 결과 강점을 활용하기보다는 약점을 줄이려는 사람은 그 자신이 약한 인간의 표본이다 -자기경영노트, 피터드러커- " #2 나 자신에게 100% 책임지기 최고 임원을 지낸 최명화님에게 기자들이 항상 묻는게 있다. "어떻게 유리천장을 깼나요?" 본인은 한번도 유리천장이라고 생각해본적이 없었다고 한다. 그런 프레임을 갖게되면 자꾸 그쪽으로 생각하게 되고 결국 도움이 전혀 안된다. 내가 바꿀 수 없는 것에 집중하지 말고, 내가 할 수 있는 것에 최선을 다해야한다. 자꾸 핑계의 울타리를 만들게 되면 발전할 수 없다. 100% 나 자신에게 책임을 두고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한다

현대자동차, LG전자, 두산 마케팅 최고 임원이 말하는 성공하는법 (최명화)

www.youtube.com

현대자동차, LG전자, 두산 마케팅 최고 임원이 말하는 성공하는법 (최명화)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2월 26일 오후 12:12

조회 12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32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