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브커머스 쇼플 showffle 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과거 공연, 전시 등 콘텐츠 제작 일을 했었고, 광고와 마케팅을 하던 중 이 시장에 발을 디디게 되었습니다. . TV홈쇼핑과 달리 라이브커머스 시장은 진입장벽이 낮아 누구나 판매하고, 방송할 수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쇼호스트, 인플루언서, 배우, 모델, 방송인, 스튜어디스 등 다양한 재능이 이 시장에 모여 있더군요. 이 시장은 쇼플러(저희가 지칭하는 호칭입니다)라는 쇼호스트+인플루언서+엔터테이너의 역량을 가진 새로운 스타가 탄생할 것 같습니다. 직접 만나 함께하려는 쇼플러도 현재 약 80여명이 있네요. 라이브커머스는 콘텐츠커머스, 메타버스 시장으로 가기 전의 중간기착지로 보입니다. 앞으로 그냥 저의 생각을 공유하고 놀기 위한 글을 써보려합니다.

쇼플 :: 갓 구워낸 와플같은 설렘

Showffle

쇼플 :: 갓 구워낸 와플같은 설렘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1월 3일 오후 11:5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모든 시도는 둘 중 하나다. 성공하거나 배우거나 >

    1. 큰 수의 법칙. 시도가 많아질수록 결과는 평균에 수렴한다. 주사위를 많이 던질수록 각 숫자가 나오는 확률은 1/6에 가깝다.

    ... 더 보기

    🙉 달레의 찐팬이 되어주실래요? 💕

    ... 더 보기

    PM이 이해하면 좋은 지표 개념

    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

    🍨'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 더 보기

    [인사이드 스토리]'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비즈니스워치

    [인사이드 스토리]'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최근 어떤 기업의 창업자가 고향 주민들과 지인들에게 최대 1억 원씩 총 1,400억 원을 나누어 주었다는 언론 보도가 화제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흔치 않은 ‘나눔’의 사례로 창업자가 도움받았던 사람들에게 보은하는 ‘감사의 정신’을 실천한 것이다.

    ... 더 보기

    기업가와 장사꾼의 차이 | 한국일보

    한국일보

    기업가와 장사꾼의 차이 |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