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블리부 146
Product Manager 역할은 제가 정말 좋아하는 직무입니다.
고객이 겪고 있는 문제를 해결한다는 미션으 정말 마음에 듭니다.
그래서 PM 관련 콘텐츠는 그냥 지나갈 수가 없죠!
나는 어떻게 일 하는 PM인지 자가 테스트 해볼 수 있는 내용을 공유합니다 :)
나는 어떤 PM일까? 진단부터 커리어패스까지 한 번에 정리하기
저자 이준
마이크로소트프, 트립어드바이저를 거쳐 페이스북 제품책임자, 틴더의 CPO로 재직한 라비 메타(Ravi Mehta)는 세상 모든 PM의 발전 단계를 차트 한 장으로 정리했는데요. 이 차트가 설명하는 12가지 PM의 핵심 역량을 토대로 서비스 기획자/PM의 현 상태를 진단하고, 보다 체계적으로 커리어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1) 기능 명세(Feature Specification): 고객들의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필요한 기능을 정의한다. 팀이 목표한 바를 실행할 수 있도록 일의 단위를 쪼개고 분배하는 역량이 탁월하다.
2) 과제 실행(Product Delivery): 더 나은 제품을 위해 어떤 기능을 도입해야하는지 목표를 설정한다. 성공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서 협업 부서들과 능숙하게 일하고, 제품에 필요한 기능이 잘 도입되도록 돕는다.
3) 품질 보증,QA(Product Quality Assurance): 제품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 기능적 문제점을 다양한 환경에서 찾고 해결하는 능력이 있다.
4) 데이터 활용(Fluency with Data): 데이터를 활용해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를 찾고, 사업 결과로 이어질 수 있는 연결고리를 발견한다.
5) 사용자 피드백 수렴(Voice of the Customer): 인터뷰, 설문 등을 통해 사용자들이 제품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이해하고, 더 나은 방향으로 의사결정을 이끄는 능력이 있다.
6) 사용자 경험 설계(User Experience Design): 사용자들이 제품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요구사항을 정의하며,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는 데 능력이 있다.
7) 비즈니스 오너십(Business Outcome Ownership): 팀과 회사의 제품 기능, 목표, 전략을 연결해 사업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만드는 데 집중한다.
8) 제품 비전과 로드맵(Product Vision and Roadmapping): 회사와 팀의 비전을 연결하기 위해 명료한 로드맵을 수립하는 능력이 있다.
9) 전략적 임팩트(Strategic Impact): 회사의 비즈니스 전략을 이해하고, 팀 업무가 비즈니스적 성과로 연결되도록 기여한다.
10) 이해관계자 관리(Stakeholder Management): 이해관계자들과 능동적으로 협력하며, 그들의 요구사항을 제품 의사 결정에 반영한다.
11) 팀 리더십(Team Leadership): 팀이 제품을 만들고 개선하는 과정을 이끌며 비즈니스적 성과를 낼 뿐 아니라, 구성원 각 개인의 커리어적 목표까지 케어한다.
12) 상향 관리(Managing Up): 상위 리더가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돕고, 회사와 팀의 전략적 방향 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매니징 능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