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코드로 '실제 서비스 되는' 프로덕트를 만들 수 있을까?] 애드샐러드를 만든 하희철님께서 작성해주신 메이커로그에요 :) - 최초 프로덕트는 개발 외주로 제작했음. 결과물은 만족스러웠으나 업데이트마다 비용 & 외주사 의존에 대한 문제가 있었음 - 하지만 개발자를 고용하자니 수익성 & 사업성이 검증되지 않아 쉽게 결정하기 어려웠음 - 이때 노코드를 알게 되었고, 직접 프로덕트를 제작할 수 있다는 희망과 함께 '유레카'를 외침! - 그렇게 기획부터 론칭까지 9일 밖에 걸리지 않음 - 프로토타입 제작엔 총 5가지 툴을 사용함 - 이 프로토타입으로 광고 없이 약 300명의 실 고객을 확보함 - 개발 비용은 외주 비용의 30분의 1도 되지 않았음 - 현재 리뉴얼 버전 론칭 또한 버블(Bubble) & 제노(Xano)로 제작중

노코드로 '실제 서비스 되는' 프로덕트를 만들 수 있을까? | Disquiet*

disquiet.io

노코드로 '실제 서비스 되는' 프로덕트를 만들 수 있을까? | Disquiet*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5월 9일 오전 6:51

 • 

저장 11조회 57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네이버 다녀요'라는 말에 아무도 무슨 일을 하는지는 묻지 않았다 >

    1

    ... 더 보기

    누구나 특정 회사에 들어서는 순간 느끼는 회사마다의 분위기가 있다. 가정도 마찬가지이다. 분위기가 엄해보이는 집, 까불까불한 집, 대화는 없어도 화목해보이는 집.

    ... 더 보기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사례뉴스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이번 구글 I/O, 구글 여러분들 행사전에 입이 근질근질하셨겠네요. ㅎㅎ


    내용은 다들 소개하셨으니 한줄평하자면, 구글이 처음으로 OpenAI에 비해 반발짝정도 앞서나간 이벤트인 것 같습니다.


    더불어 출시한 모델과 서비스들을 보니.. 역시 AI는 돈빨이며 구글이 돈빨을 제대로 세웠.. 쿨럭..


    < 왜 사람들은 과거를 계속 반복할까? >

    1. 미래는 대개 과거를 되풀이하게 마련입니다. 피상적인 변화는 가능하지만, 진정한 변화는 드뭅니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5 • 조회 1,008


    < '모든 것을 받아들이기'의 진짜 의미 >

    1.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으면 현재를 살게 된다.

    ... 더 보기

    이직의 조건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