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줄 요약: 당근마켓의 UX를 분석해봅니다.] 당근마켓은 현재 중고 시장에서 가장 큰 플레이어 중 하나입니다. 당근마켓의 사용자 경험에 대해서 유저 입장에서 자세히 분석한 아티클이 있어 공유드립니다. [ 🔎핵심요약] - 본 아티클은 당근 마켓을 / 앱의 목적과 사용자층 / 앱 정보 구조 / 앱 디자인 시스템과 인터랙션 등으로 구분하여 자세히 분석했습니다. - 중고 거래 플랫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유저들에게 '서비스가 안전하다는 신뢰'를 주는 것인데 당근 마켓은 이를 '주거 지역 반경에서만 거래'하는 것으로 해결했습니다. - 지역기반 거래를 기반으로 거래 쌍방 매너 평가 및 실시간 모니터링 등으로 사기거래를 원천 차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당근마켓의 Primary 유저는 중고거래 사용자이며, Secondary 유저는 지역업체입니다. 플랫폼이 지역기반 커뮤니티를 지향하기에 지역내 사용자가 많아야 하고, 해당 지역 유저 수의 증가를 토대로 지역 업체의 광고수요도 늘어납니다. 이는 당근마켓의 주요 수입원이 됩니다. - 당근 마켓의 앱 정보 구조에 대해서 아티클 내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코멘트로는 해당 내용을 요약 정리해드리기가 어렵네요 ㅎㅎ;) - 아티클 내에는 저자의 주관적인 분석을 토대로 UX 구조에 대해 훌륭하다고 느낀 점, 아쉬웠던 포인트들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 또한 당근마켓의 UI 디자인 중 컬러요소, 문구사용, 인터랙션 요소들에 대해서도 분석하였습니다. 풍부하게 분석된 글을 통해서, 당근마켓의 또다른 유저인 저 역시도 함께 고민해볼 수 있었습니다. 앱을 사용하는 일 자체는 몹시 재미있고 쉬운 일이지만, 꼼꼼히 분석하는 것은 꽤 시간이 걸리는 일이죠. 많은 UX 디자이너 분들께 도움이 될 아티클이기에 권합니다. 당근마켓 혹은 번개 장터 등 중고거래를 사용하시는 분들이라면 더더욱 자신의 경험과 비교하며 읽기 좋으실 거에요.

[UX분석의 정석] APP Critique로 UX분석하기 – 당근마켓편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UX분석의 정석] APP Critique로 UX분석하기 – 당근마켓편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2020년 7월 11일 오전 8:2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