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이야기 : 인생의 점, 선, 면 학교 졸업후의 직장생활은 마치 인생이란 도화지 위에 점, 선, 면을 그려가는 것 같아요. 도화지(인생)의 한 중간이던 언저리던 첫 점(첫 직장)을 찍고, 그 다음 점(다음 직장들 또는 직업들) 들을 찍다보면, 점들은 어느덧 선이 되어 내 경력의 방향이 됩니다. 마케터로 사회에 첫 발을 내디딘 분들이 두세군데 직장을 옮겨서도 마케팅을 계속한다면, 그분의 경력은 마케터로 굳어지는 것 처럼요. 이러한 경력의 방향 하에서 우리는 자신만의 영역(면)을 구축하지요. 본업(마케팅)은 변함없지만, 관리자 노릇을 하는 법을 배우며 조직의 허리가 되고, 마케팅 책을 쓰고 강의도 하면서 자신의 이름을 하나의 브랜드를 만들고 업계의 전문가가 되어갑니다. 이렇게 간다면 참 무난하죠. 흠잡을 데 없는 좋은 커리어를 쌓으시는 겁니다. 그러나 이것만이 답은 아닙니다. 오늘 소개해드리는 분의 인생역정은 그리 간단치 않아요. 80년대에 서울대를 나와 금융기관 등에서 일하다 98년 외환위기 직전에 사업을 하시다가 실패하셨습니다. 그 후 안정적인 직업을 찾아 만 39세에 약대생이 되셨고, 40대에 약사가 되셨습니다. 그런데 약학 공부과정에서 과학에 흥미를 가지게 되어, 지금은 약사일도 접어두고 최신 과학 정보를 번역하고 계세요. 어찌보면 금융인, 사업가, 약사, 번역가의 직업 여정은 방향성이 없고(선), 방향성이 없으니 넓은 영역(면)을 만들었다고 보기도 어렵죠. 하지만 이러한 방향성 없음 속에서 자신의 방향(과학정보 소개)을 찾게 되었고, 이 일에 대해 전문가로(새 영역) 인정받고 계십니다. 한번도 실패하면 안될 것 같지만, 인생은 생각보다 깁니다. 처음에 길을 잘못들어도, 맞는 길로 다시 진입할 기회는 옵니다. 그러니 비관보다는 낙관하며, 오늘밤에도 바람에 스치는 별을 바라보며 나에게 주어진 길을 가요. P.s. 저의 퍼블리 뉴스 큐레이션 계약이 오늘로 종료됩니다. 감사하게도 퍼블리 측에서 향후에도 뉴스 큐레이션을 할 수 있도록 계정을 닫지 않아주셨습니다만, 아무래도 지금처럼 자주 찾아뵙지는 못할 것 같아요. 그간 제 큐레이션을 지켜봐주신 독자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꾹꾹 눌러담아 마지막 이야기를 접습니다. 고맙습니다.

“15년 해온 ‘새벽 3시 지식 전달자’ 노릇 여든까지 할 것”

한겨레

“15년 해온 ‘새벽 3시 지식 전달자’ 노릇 여든까지 할 것”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7월 31일 오후 1:5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