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동기가 동기보다 빠른 이유

웹서버 Nginx는 이벤트 기반 구조의 비동기 방식으로 Apache의 동시 커넥션 이슈인 C10K 문제를 해결했는데요. 일반적으로 비동기 방식은 I/O 바운드 작업(파일,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및 동시성이 중요한 작업(웹 서버, API 서버 등) 일 때 동기 방식보다 유용하고 빠른 처리가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케이스에서 왜 비동기는 동기보다 빠를까요? 1. 자원 활용 최적화: 비동기 방식은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 시스템 자원(CPU, 메모리, 네트워크)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즉, 프로세스 또는 스레드의 대기 시간이 최소화됩니다. 2. 대기 시간 최소화: 비동기 방식은 작업을 독립적으로 처리하며,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이 실행되는 동안 다른 작업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즉 병렬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작업 처리 속도가 향상됩니다. 다만 비동기는 동기 방식보다 코드가 조금 더 복잡하고 (Async, Await ...), 에러 핸들링 처리 및 작업 순서 보장 등의 약간의 코드 복잡성이 추가됩니다. 그렇지만 시스템의 성능과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애플리케이션과 시스템에서 비동기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3월 26일 오전 1:30

 • 

저장 19조회 3,72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Medium] 자바 개발자가 피해야 하는 11가지 실수 (1)

    1

    ... 더 보기

    15 + 11 Mistakes Every Java Developer MUST avoid TODAY

    Medium

    15 + 11 Mistakes Every Java Developer MUST avoid TODAY

     • 

    저장 312 • 조회 12,561


    감사합니다. 멋진 서비스 잘 만들어보겠습니다.

    ... 더 보기

    조회 1,284


    이번 구글 I/O, 구글 여러분들 행사전에 입이 근질근질하셨겠네요. ㅎㅎ


    내용은 다들 소개하셨으니 한줄평하자면, 구글이 처음으로 OpenAI에 비해 반발짝정도 앞서나간 이벤트인 것 같습니다.


    더불어 출시한 모델과 서비스들을 보니.. 역시 AI는 돈빨이며 구글이 돈빨을 제대로 세웠.. 쿨럭..


    무너지고 있는 프론트엔드, 백엔드 직군의 경계에 대한 고찰

    AI 기술이 우리 일상과 산업 전반에 스며들면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역시 큰 변화의 물결을 맞이하고 있다. 특히 코딩을 돕는 AI 에이전트의 등장은 개발 생산성에 대한 큰 변화를 만들고 있다. 나 역시 이러한 변화를 체감하며, 나에게 익숙한 소프트웨어 개발의 대표적인 두 축인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영역에서 AI 기술이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해 변화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역할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 본다.

    ... 더 보기

     • 

    저장 32 • 조회 4,204


    좋은 개발자가 되고 싶어서 기술을 열심히 익혔어요.

    새로운 프레임워크가 나오면 바로 써보고,

    더 효율적인 아키텍처를 고민하며 코드를 다듬기도 했어요.


    ... 더 보기

    질서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 • 조회 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