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 정말 좋습니다. 문제는 제목을 매!우!x(우주만큼) 잘못지었다는 것인데요. 내용을 한 마디로 말하지면, 잡스 이야기는 0.001% 정도 나오고 ㅋㅋ 애플에 대한 내용이 많이 나오긴하지만, 그보다 애플에 재직했던 개발자의 성장기에 가까운 이야기입니다. 내용 자체도 재밌지만, 제품 개발자(프로그래머)가 어떻게 일 해야 하는가, 어떻게 생각하고 개발해야하는가에 대해 아주 모범적인 답안을 보여주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이폰 키보드와 auto correct 기능을 개발하는 내용이 중심인데요. 보면서 네이버에 있을 때, 네이버 키보드에 뉴럴넷을 이용한 오타 수정 기능을 만들던 기억이 나서 아련.. 현재 종이책은 다 품절이고, 전자책으로만 구매 가능하네요. (이름과 내용의 괴리 땜에 망한 듯) https://books.google.co.kr/books/about/%EC%9E%A1%EC%8A%A4%EC%9D%98_%EA%B8%B0%EC%A4%80.html?id=UKXsDwAAQBAJ&printsec=frontcover&source=kp_read_button&hl=ko&newbks=1&newbks_redir=0&gboemv=1&redir_esc=y#v=onepage&q&f=false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9월 12일 오전 10:12

 • 

저장 14조회 1,68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훌륭한 데이터 분석가란 어떤 사람인가?

    ‘훌륭한 데이터 분석가란 어떤 사람인가?’에 대해

    ... 더 보기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4,938


    PM이 이해하면 좋은 지표 개념

    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