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Core Principles for States to Follow When Adopting AI
Technology Solutions That Drive Government
AI/ML이 대세인 지금, 우리나라도 다양한 대국민 서비스에 AI를 채택하고 있고, 지속적으로 투자가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국가 차원에서 AI를 채택할 때 반드시 유념해야 하는 핵심 원칙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관련된 'StateTech' 매거진 기사 공유합니다😃
<국가가 AI를 채택할 때 따라야 할 4가지 핵심 원칙>
프롤로그(Prologue)
🍀시장전문조사기관의 조사에 따르면 인공 지능은 주 및 지방 정부 IT 리더가 가장 관심을 갖고 채택하는 기술로서 자동화에 이어 두 번째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대부분의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AI 구현을 시작했다는 의미는 아니겠죠.
🍀또 다른 조사에 따르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49%가 향후 3년 이내에 AI를 구현할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현재는 자금 부족과 필요한 IT 기술 부족으로 인해 현재 약 10%만이 AI를 구현하고 있다고 합니다.
🍀 지금은 AI와 머신 러닝을 활용하기 위해 막대한 돈이나 자원을 투자할 필요가 없고, 효과적인 AI/ML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습니다. 지금 바로 수익을 창출하는 성공적인 AI 프로그램을 만들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더 지능적이고 데이터 중심적인 시민 상호 작용을 할 수 있습니다.
1️⃣ 심플한 단기 전략으로 시작하기
주요 IT 이니셔티브에는 전략이 필요하며 AI도 예외는 아닙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향후 5년에 걸친 기술 로드맵을 고민하는데요. AI와 관련해서는 단기적이고 달성 가능한 목표를 포함하는 민첩한 계획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처음 6개월에서 1년 동안 무엇을 성취할 것인지에 대한 단기 이정표를 구축하세요. (간단하고 쉽게 확장 가능한 챗봇 서비스 도입 등)
2️⃣ AI는 기본적으로 소프트웨어라는 점을 기억하기
AI가 무엇인지 인식하는 것부터 시작하세요.
혁신적인 소프트웨어이지만 여전히 소프트웨어입니다. 올바른 지원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이 있는 한 다른 유형의 최신 컨테이너형 소프트웨어와 마찬가지로 AI를 구현, 실행, 확장 및 유지 관리할 수 있습니다.
유연한 개방형(Open) 인프라가 데이터 과학자와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간의 협업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고, 이는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성공적으로 만드는 데 중요합니다.
3️⃣ 신중한 거버넌스의 필요성 인식
AI는 소프트웨어이지만 정적이지 않고, 상호 작용하는 운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적응하고 학습하며 발전합니다. 운영용 AI 앱을 모니터링하여 생성된 결과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규정을 준수하는지 확인하는 거버넌스 프로세스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영(state-run) 의료 시스템으로 클리닉 직원이 일상적인 환자 불만 사항을 해결하는 데 소비하는 시간을 줄이려는 경우 AI를 사용하여 섭취를 수행하고, 진단을 수집하고, 환자 이력 기록을 수집하고, 심지어 일반 처방을 승인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AI의 분석 프로세스는 투명해야 하고, 현지 데이터 수집 및 공유 법률을 준수하고, HIPAA를 준수해야 합니다.
AI는 옳고 그름, 편향된 의견과 편견 없는 의견을 구별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인간의 인지 처리 제한을 받지 않는 AI를 관리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4️⃣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 있어 AI를 통해 정부 효율성과 기관이 새롭고 보다 개인화된 방식으로 시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필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변곡점의 시작점에 있습니다. 지금 AI에 대한 투자를 주저한다면 뒤쳐지고 국민들이 기대하는 경험을 제공하지 못할 위험이 있습니다.
원본 기사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Source Link] https://statetechmagazine.com/article/2023/10/4-core-principles-states-follow-when-adopting-ai?sc_cid=701f2000000txokAAA&utm_source=bambu&utm_medium=organic_social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0월 26일 오전 7:10
어
... 더 보기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청년미래플러스 사업, 이전에 공유했었는데요.
... 더 보기실
... 더 보기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