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서히 사라지는 디지털 세계 자유

디지털 세계 자유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는 걸 정리해 앞으로 더 규제가 강해질 우려가 있다는 글이 있어 공유해봅니다. 2011년부터 2023년까지 내용 + 미래 2035년 까지 가상의 시나리오(?)내용인데, 향후는 어떻게 진행될지는 솔직히 모르겠습니다. 다만, 우러 전쟁과 중동 전쟁 양상이 계속된다면 디지털 세계 또한 경직될 것은 자명합니다..


  • 2035년: 대부분의 국가에서 메시징 앱(이메일 클라이언트 포함)은 출시 전에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중요 애플리케이션'으로 간주

  • 2034년: 전 세계적으로 VPN이 대부분 불법화됨.

  • 2033: 미디어 플레이어 앱은 모든 앱 스토어에 게시하기 위해 DRM 검사를 구현

  • 2032: Chrome은 웹 환경 무결성(WEI) 검사를 충족할 수 없고 데스크톱 OS로서의 관련성이 줄어든다는 이유로 Linux에 대한 공식 지원을 중단

  • 2031년: Chrome에 사용자의 지방 정부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 차단 목록이 함께 제공. 이를 패치하면 브라우저는 WEI에서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표시됨

  • 2030년: ARM 기반 Windows 컴퓨터의 시장 점유율이 x86_64를 추월. 제조업체는 호환되는 "Microsoft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등록되기 위해 부트로더 잠금을 적용해야함

  • 2029년: Windows 14 Home에서 타사 앱의 실행을 방지하는 "S 모드"가 영구화. 레거시 프로그램에 의존하는 기업 고객은 유료 구독을 통해 이 기능을 복원 가능

  • 2028년: Chrome 스토어에서 광고 차단 확장 프로그램이 금지됨. 확장 프로그램을 강제로 설치하면 해당 브라우저는 WEI에서 신뢰할 수 없는 브라우저로 표시됨.

  • 2027년: WEI를 준수하지 않는 웹사이트는 Chrome과 Safari에서 '안전하지 않음'으로 표시됨. 이러한 웹사이트에 액세스하려면 "예, 위험에 동의합니다" 대화 상자를 통해 확인을 받아야 함.

  • 2026년: Windows 12 릴리스에서 'S 모드'가 기본적으로 활성화 됨.

  • 2025: Google이 보안 문제를 이유로 Play 스토어 외부에서 Android 앱을 설치하는 기능을 제거

  • 2024: Youtube, Gmail, Spotify, 은행 및 기타 주요 웹사이트가 내부 사용자 평판 점수에 Google의 WEI API를 사용하기 시작하여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브라우저에 더 많은 캡차를 사용하도록 강제


    2023: 현재


  • 2023: 프랑스에서 브라우저에 정부가 제공한 차단 목록을 적용하도록 의무화하는 SREN 법안을 제안

  • 2023: Google, Chrome에 웹 환경 무결성 검사 기능 출시

  • 2022: Apple, "합법적인 장치"의 웹 요청을 검증하는 메커니즘인 "비공개 액세스 토큰"을 출시

  • 2021: 영국 의회가 모든 "사용자 간 서비스"에 콘텐츠 필터링을 부과하는 온라인 안전 법안을 제안

  • 2021: Microsoft, TPM 2.0을 Windows의 필수 요구 사항으로 지정

  • 2020: Apple, MacOS에서 앱 공증 시행

  • 2020: Google, Android에서 하드웨어 기반 디바이스 무결성 검사를 출시하여 대체 ROM을 무력화(링크)

  • 2017: Microsoft, 타사 앱 설치를 방지하는 잠긴 버전의 Windows 10 S 출시

  • 2017: Chrome의 와이드바인 DRM을 더 이상 비활성화할 수 없게 됨

  • 2011: Microsoft, 보안 부팅을 Windows의 필수 요구 사항으로 지정


참고: 테크레시피(https://techrecipe.co.kr/posts/57599)

원문: https://gazoche.xyz/posts/boiling-frog/

The boiling frog of digital freedom

Gazoche's blog

The boiling frog of digital freedom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1월 5일 오후 2:2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2025 NYU REUNION DAY! 테헤란로 소진언니

    

    ... 더 보기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7 • 조회 1,390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32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