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맥킨지는 최근 "뉴욕, 샌프란시스코 등 세계 주요 9개 도시 사무용 빌딩 가치가 2030년까지 8000억달러(약 1000조원)정도 사라질 수 있다"는 내용의 글로벌 인스티튜트 보고서를 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 이후 매일 출근하는 근로자는 37% 수준이며 사무실 출근율은 코로나 이전에 비해 30% 낮아졌다고 한다. 팬데믹 이후 사무실 공실률은 오르고 임대료가 하락하면서 상업용 부동산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는 미국 노동부 설문조사를 인용해 "미국 근로자들의 평균 재택근무 시간이 하루 평균 5시간 25분으로 엔데믹 이후에도 원격 재택근무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우리나라 상황은 어떨까?
지난 3월 카카오는 재택근무제 폐지를 발표했다. 그러자 직원의 절반이 노조에 가입하는 일이 벌어졌다. 카카오 외 다수 재택근무를 실시했던 기업 경영진들은 재택근무로 인해 성과가 떨어지고 있으니 출근해야 한다는 입장이고, 직원들은 이해가 안된다는 입장이다.
“재택 가능한가요?”
인재추천을 위해 후보자들에게 회사를 소개할 때 '많이 묻는 TOP 3' 안에 드는 질문이다. 개발자 대부분은 이 질문을 빠뜨리지 않는다. 재택이 불가능하다면 지원하지 않는 이들도 있다. 그들의 이력서를 보면 자연스럽게 이해가 된다. 신도시 개발 영향으로 예전에 비해 사람들의 거주 지역이 다양해졌다. 같은 서울 안에서도 1시간 이상 걸리는 곳도 많다.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지옥철을 매일 겪어내야 한다. 출근하기도 전에 이미 진이 빠져버린다.
나도 신입사원 시절부터 10년간 경기도 분당에서 서울 강남까지 출퇴근을 했다. 분당 초입에 위치해 서울까지 차 안 막히면 20분 거리였지만, 출퇴근 시간에는 1시간 30분을 꼬박 운전해야 했다. 이런 시간을 10년쯤 보냈을 즈음, 매일 왕복 3시간 운전하는 것도 힘들고 시간도 아깝다는 생각에 회사에서 가장 가까운 곳으로 이사하고 출퇴근 지옥을 탈출했다.
며칠 전 친한 40대 지인이 연락을 해왔다. 8년간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게 되었다며 직장을 구한다고 했다. 20년간 '9 to 6' 출퇴근을 고수하던 대표가 코로나 이후 직원들이 재택근무에 익숙해져 출근하는 직원들이 많지 않다며 전직원 재택근무로 근무체제를 바꾸었다고 한다. 그로인해 '출근해서 일하고 싶어도 할 수 없다'는 것이 퇴사 사유였다. 남들은 재택을 못해서 난리인 시점에 재택근무하라는데 왜 회사를 그만두냐고 물었다. 그는 가족이 함께 거주하는 곳, 집에서는 도저히 일에 집중할 수 없다고 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 27일 "시대 흐름과 청년들의 가치관 변화에 발맞춰 중소·중견기업들이 재택·유연 근무 등 다양한 근무형태 도입을 확산할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출근이든 재택이든 직원 스스로 근무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혼합형이든, 이제 개인의 니즈에 맞춘 다양한 근무제는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현상이 되었다.
김소진
뉴욕대학교(NYU) 인사관리 석사. 서울시·과학기술부·경찰청 등 공공기관 채용 면접관으로 활동 중이며, KBS ‘스카우트’, tvN ‘크리에이티브 코리아’ 심사위원으로 출연했다. 저서로는 《성공하는 남자의 디테일》, 《성공하는 남자의 디테일 두 번째 이야기》가 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1월 15일 오전 5:07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어
... 더 보기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