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원티드 HIGH FIVE 후기
Brunch Story
모두가 창업가가 될 수는 없다.
창업자는 일단 기업을 세우고 나면 다른 기업을 선택할 수 없지만, 기업가형 인재는 자신에게 맞는 산업이나 조직구조, 문화를 가진 기업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자신의 커리어 목표에 맞는 역량과 스킬을 갈고 닦기 위해 특정 기업과 조직에 합류해 성장해 나갈 수도 있다
이들은 창업자들과 달리 위험을 선호하지 않는다. 다만, 위험을 좀 더 편하게 받아들인다. 필요한 경우에는 위험을 감수하며 이로 인해 지나치게 고민하거나 걱정하지 않는다. 전반적으로 불확실성을 보다 능숙하게 다루며, 새로운 경험에 대해서 보다 개방적이었다.
또한 이들은 권력욕이 많은 사람들이 아니었다. 즉, 하급자에게 존경을 요구하고 권위를 기반으로 명령을 내리는것을 좋아하지 않았다. 가치 있고 유용한 것을 만들었다는 자부심을 느끼기를 원한다.
기업가형 인재는 창의력이 특별하게 뛰어나지는 않았다. 대신 이들은 탁월한 설득력을 가지고 있었다. 차분하고 지적인 태도로 조직 관련 이슈를 얘기하고 가능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무엇보다 기업가형 인재는 적절하게 리스크를 감수하면서 성공확률을 극단적으로 높일 수 있다. 만약 창업을 한다면 평균적으로 30%미만으로 생존하겠지만, 기업가형 인재는 그보다 훨씬 더 큰 확률로 역량을 키우고 성장해나가며 고연봉과 스톡옵션의 혜택까지도 누릴 수 있다.
by 세컨드 펭귄 -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1월 26일 오전 5:59
1. '바쁘다'는 건 열심히 많은 일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훌륭한 데이터 분석가란 어떤 사람인가?’에 대해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