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인터뷰]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 "인도에서 새로운 20년 시작"
한국경제
미래에셋증권이 12일 인도 현지 증권사 쉐어칸을 4800억원에 인수했다.
→ 6월부터 진행했던 딜이 드디어 이번주 공시되었습니다.
동고동락했던 딜 TF 멤버들 너무 고생했고 고맙습니다.
앞으로 또다른 시작. 기업이 아니라 시장을 산 성격의 인수!
이제 성장을 잘 할 수 있게 계속 전략적으로 지원할 것입니다!
아래는 한경 기사 인용.
▷인도의 자본시장은 어느정도인가
"시가총액이 약 5000조원이다. 현재 우리나라가 2000조원. 인도 시장 규모가 홍콩과 근접해 가고 있다. 최근 10년 데이터를 보면 인도 시장이 매우 좋았다. 10년전 2만이었던 선섹스 지수가 현재는 6만9000까지 세배 이상 올랐다. 한국은 10년동안 23% 오르는 데 그쳤다. 인도 센섹스가 전세계적으로 보면 나스닥 다음으로 좋았다. 앞으로도 여전히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있다. 더 좋게 보이는 것은 인도의 중간 연령이 28세밖에 안된다는 점이다. 또 인도 14억 인구중에 단 3%만 주식 계좌를 가지고 있다. 그만큼 어마어마한 가능성이 있다"
▷시장의 잠재 성장성 외 현지 증권사들이 아직 잘하지 못하는 선진화된 기술, 역량을 키울 수 있지 않을까.
"시장을 산 것으로 봐달라. 사실 인도 증권사들도 글로벌 스탠다드에 근접해 있다. 단지 개방이 덜 돼 있다."
▷미래의 해외진출 20년은 일단락 되는건가
"의미있는 딜이었다. 나머지는 후배들이 해도 문제 없을 것 같다. 대우증권 살 때 의미를 몰랐다. 이번에 인도딜이 미래에셋그룹 전체에 탄력 줄 가능성이 크다. 이 딜을 보고 가슴이 뛰었다. 미래에셋이 성장하겠구나는 생각에. 대우증권 살 때, 글로벌X 인수할 때도 느꼈던 감정이다. "
▷이번 M&A 협상과정에서 애를 많이 태웠다고 들었다
"협상 파트너 쪽의 속도가 우리보다 늦었다. 직원들이 고생이 많았다. 의사결정 구조가 인도, 싱가포르, 파리 중첩되다 보니 늦어진 것 같다. 직원들이 휴일을 반납하면서까지 성공시켰다. 이제는 조금 쉬어도 될 것 같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12121609i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2월 16일 오전 2:53
방송이나 유튜브 보다보면 경제전문가라 말하는 하락론자와 비관론자가 판을 치는데, 최소 지난 수년, 더 나아가 20여년동안 매번 틀려도 여전히 전문가라고 말하고 다니는 걸 보면 재미있다.
모든 인간사가 그렇듯 인간은 믿고 싶은대로 믿는 존재라 그렇게 믿고 싶은 사람들의 감정적 지지를 받아 밥벌이하고 있다는 건 이해가 된다. 하지만 확율적으로 벌어지기 어려운 천재지변 수준의 사건으로 벌어지는 현상이나 전체 흐름에서 일시적으로 벌어지는 현상, 혹은 인간의 욕망과 본성이 외부적 요인으로 잠시 억눌린 상황에서 현실적 경험 없이 뇌피셜로 몇몇 논리적 근거만으로 설명되는 현상을 바탕으로 자산 가치 떨어지고 세상 망할 것처럼 이야기하는데, 결국 제대로 맞추지도 못하는 사람들을 여전히 추종하는 건 글쎄...
... 더 보기1
... 더 보기Clay는 AI를 통해 50개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영업팀이 잠재 고객을 빠르게 찾도록 돕는 아웃바운드 마케팅 중심의 리드 생성 소프트웨어입니다. Clay 공동 창업자 Kareem Amin의 인터뷰 중, 창업가의 성격이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이 담긴
... 더 보기초중고딩 어렸을 적 과학시간에 석유와 석탄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과정을 배울 때마다 이해가 되지 않아서 그냥 외웠었다. 석유는 공룡을 비롯 동물이 죽어서 만들어지고 석탄은 식물이 죽어서 만들어진다고 배웠는데, 석탄이야 식물이 워낙 많았고 죽으면 자연스럽게 땅에 묻히니 그럴 수도 있겠다 이해가 되었지만, 석유는 아무리 생각해도 말이 안되었다. 동물이 화석이 될 확율이 극도로 낮다는 점을 생각하면 동물이 한꺼번에 같은 장소에서 갑자기 많이 죽어서 결국 석유까지 될 확율은 매장되어 있는 석유량을 볼 때 더 말이 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배울 때마다 당시 과학선생님들께 이해가 안된다고 질문을 드렸으나 속시원한 답을 들어본 적은 없었다. 그렇게 10대에 그 궁금증을 묻고 지금까지 잊고 살았다. 그러다 우연히 생각나서 찾아보니...
비행기가 나는 과학적 원리와 마찬가지로 과학자들조차 속 시원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질문 중 하나라고 한다. 많은 학설 중 다수의 과학자와 전문가들이 동의하는 하나는 바다 미생물 이론인데, 이 이야기는 들으면서 고개가 끄덕여질 정도로 납득이 되더라.
... 더 보기창업 기초, 창업 로드맵, 나도 한번 창업을 해볼까? 이 궁금증을 해결하는 'PBR B라운지 : (직장인 이후의 삶을 위한) 사업 아이디어 선명하게 다듬기' 과정 오늘 저녁 드디어 시작!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