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코드에 대하여

클린코드, 가독성이 좋은 코드를 작성해야 한다는 이야기는 우리가 자주 접하게 되고 그에 대해 우리는 동의합니다. 


그러나 어떤 코드가 좋은코드인지 구체적으로 논하게 되면 언제나 어려움이 따르기 마련입니다.


좋은 코드에 대한 절대적 기준은 없고 주관적일 수 있으나 그래도 같은 주관적인 맛에 대해서도 맛집과 맛 없는 집이 있듯이 명확한 기준은 없어도 그래도 좋은 코드와 그렇지 않은 코드가 존재합니다.


이 글은 그래도 좋은코드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명쾌한 설명과 예시를 아주 쉬운 글로 작성하고 있습니다.


한번씩 읽어두면 좋을 것 같아 공유 합니다.


https://kciter.so/posts/what-is-beautiful-code/

아름다운 코드에 대하여

kciter.so

아름다운 코드에 대하여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2월 7일 오전 7:23

 • 

저장 40조회 3,55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비전공자에서 독학으로 시니어 엔지니어가 된 이야기 1탄]

    20대 중반에 나를 만나 코딩을 알게 되어 2년 독학으로 엔지니어가 된 남편 이야기. 독학 준비 중인 사람들에게 도움되고자 공부 팁을 공유할 겸 독학 현실 이야기도 함께 해봅니다. 남편은 패키징 산업 공학 전공으로 졸업 후 IT 감사원으로 컨설팅 회사에 입사했습니다. (IT 감사원 경력이 엔지니어가 되는데 큰 도움이 되었는데, 그건 나중에..) 개발자인 저를 만나고 테크 쪽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코딩 독학을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혼자 공부해서 개발자가 되기에는 버거웠고, 무엇보다도 남동생이 컴공 공부하다가 어려워서 포기한 것을 알기에, 선뜻 개발자가 되는 건 망설여졌습니다. 또한 이미 경력이 좀 있어서 “이걸 살려서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라는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근무하던 회사는 커리어에 도움되지 않다고 판단하고 이직을 결정합니다. 약 3개월의 준비 후 경력을 살리면서 보안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사이버 컴플라이언스 컨설턴트로 테크 컨설팅 회사에 입사했습니다. 전 회사는 IT 기업이 아니어서 듣는 정보가 부족했지만, 테크/IT 쪽으로 이직하면서 많은 정보를 듣기 시작합니다. 직장 동료...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60 • 조회 6,349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개정 2판

    ... 더 보기

    조회 434


    정직한 경험 소개

    

    ... 더 보기

     • 

    저장 1 • 조회 453


    < 1등을 베끼는 당신이 1등이 될 수 없는 이유 >

    1. 당신 자신을 믿어라. 결코 모방하지 마라.

    ... 더 보기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6 • 조회 4,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