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달 전 · nox 님의 답변 업데이트
스프링부트 공부방법
현재 고2이고 학원에서 스프링부트 배우고있는 고등학생입니다. 3월초부터 지금까지 배웠고 기본적인 mvc, jpa는 조금 아는데 코드볼줄 모르겠어요. 개인프로젝트중이라 gpt쓰면서 해도 이해가안되는데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까요?
개발자
#백앤드
#스프링부트
답변 2
댓글 0
조회 109
2달 전 · Jin 님의 새로운 답변
JPA+QueryDSL vs MyBatis
백엔드 개발자가 되고 싶어서 스프링을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스프링을 공부하다 보니 DB 연결에 대해서 더 공부하고 싶어져서 두가지 중 한가지를 우선적으로 공부하려 하는데 선배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스프링은 당연히 JPA를 쓰는 줄 알았는데 현업에서는 아직도 MyBatis를 사용하는 곳이 많다고 들어서 어느 것을 선택해야할지 고민이 됩니다. 한가지만 하고 나머지는 버리는게 아니라 한가지를 집중적으로 공부하여 제 핵심역량으로 만들고자 하는 바입니다.
투표
개발자
#백엔드
#db
#jpa
#querydsl
#mybatis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243
5달 전 · 이상래 님의 새로운 답변
공부를 하고 프로젝트할 때 바로 구현이 되시나요???
안녕하세요! 고민이 많은데 조언을 구할 사람이 없어 익명 질문 올립니다. 예를 들어 제가 MVC에 대해서 또는 JPA에 대해서 강의를 듣거나 책을 보고나서 개인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려고 했을 때 코드가 바로 안쳐지는게 정상인가요..? 같은 강의를 2번을 들었고 바로 프로젝트를 해본 것이 아니라 몇 개월이 지난 후 프로젝트를 구현하려 했을 때 백지장처럼 기억이 하나도 안나는 상태입니다. 뭔가 보면 이해는 되는데 제가 다 기억을 하는 상태가 아니리서 이게 너무 고민이 되어서 질문을 남겼습니다. 다른 분들은 공부 후 시간이 지난 다음 구현하려 했을 때 기억이 나시나요? 개발 경력으로 치면 걷 만 3년을 채워가는 3년차 입니다. 비전공자로 국비 출신으로 시작을 했습니다. 경력에 비해 실력이 이게 맞나? 라는 생각이 많기도 하고 공부를 해도 남는게 없는 거 같아서 조언을 듣고자 두서없이 질문 올려봅니다. 공부 방법에 대한 조언도 방향성도 다 감사히 듣겠습니다.
개발자
#개발공부
#개발고민
#물경력
#주니어개발자
#비전공자
답변 1
댓글 0
조회 80
6달 전 · CP 님의 새로운 답변
백엔드 좋은 코드는 어디서 보나요?
백엔드를 공부하고 있는 대학생 3학년입니다. 현재 스프링부트로 친구들과(총 백엔드 3명) 스터디 후 프로젝트를 하려고 하는데요. 김영한님 무료 강의를 보니, 간단한 개념은 알겠는데 코드를 어떻게 짜야 할지 감이 잘 안 오더군요. 1. 김영한님 MVC 1편과 jpa 강의를 추가로 보고 프로젝트를 시작해야 할까요? (늦어도 6월까지 개발을 끝내고 싶습니다.) -> jpa 강의만 봐도 될까요? 2. 다른 좋은 코드를 보고 싶은데 어디서 어떻게 봐야하나요?
개발자
#백엔드
#토이프로젝트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120
7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개발자 신입 준비
안녕하세요 개발자 준비중인 컴퓨터공학과 4학년 학생입니다. 우선 저는 3회정도의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어쩌다 보니 팀 프로젝트 였지만 제가 거의 풀 스택으로 진행했고 Spring, Node, React를 사용가능하고 아키텍처적으로 규모가 있진 않지만 대략 30개 이상의 Entity를 가지는 규모의 프로젝트들이며 기업인분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은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Flutter로 간단한 앱도 만들어보았고 , 어플리케이션 프로젝트도 진행 해보았습니다.) React는 타입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사용해서 나름 자유자재로 만들고 수정할 수있고 타입스크립트(TypeScript)로 전환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으며 Node는 레거시로 Express와 sql사용해서 사용했고 Spring은 Spring Boot, Spring MVC, Spring Security,JPA, Redis, JWT 등으로 다양하게 접목 시키고 있고 왜 필요할까를 생각하며 다양하게 접근하고 있습니다. (JPA나 AOP 등의 깊은 공부도 함께 하고 있습니다.) 실제 서버에 배포도 해보았고 지금 진행중인 프로젝트는 AWS를 통해 여러 인스턴스로 나눠서 최적화 하여 배포해볼 예정입니다. 이렇듯 부족하지만 웹쪽에서는 나름 발전의 자신감이 있는편입니다 하지만 제가 코딩테스트에 준비를 하지못했는데 요즘 코딩테스트가 거의 모든 기업 필수여서 아직 프로젝트 진행중이기도 하고 코딩테스트 때문에 아직 입사지원을 생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코딩 문제를 한번도 풀어본적 없고 기본문법조차 잘 모르고 그런 상황입니다 ㅜㅜ 막상 시작하려고하니 시간적 압박도 그렇고 어떻게 어느정도의 기간을 잡고 해야할지 막막해서 글올려봅니다 선배님들 현직자분들 저는 웹 관련해서 너무 재밌게 찾아보고 고민하며 작업을 하는데 코딩테스트를 따로 준비해서 내년에 입사를 지원하는게 맞을까요 보통 어느정도가 되어야하고 어느정도 시간이 필요할까요 도움 부탁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신입
#개발자
#코딩테스트
#취업준비
답변 0
댓글 0
조회 137
8달 전 · MB😍 / JPA🤮 님의 답변 업데이트
jpa entity에 setter 사용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setter 사용은 지양하라해서 사용하지 않으려 하는데 생각해보니 결국 테이블의 데이터를 바꿔야 할때가 있는데 그럴때는 setter를 사용하지 않으면 어떻게 하는건가요?
개발자
#jpa
답변 1
댓글 0
조회 35
8달 전 · psmon 님의 새로운 답변
안녕하세요 자프링 VS 코프링 고민 중입니다.
현재 4학년 2학기고, 학교 어짜피 전공은 다 끝났고 교양 3개 정도만 싸강으로 돌린 뒤, 부트캠프를 듣고 있습니다. 자바로 스프링을 아예 쓸 줄 모른다 이건 아니고, 학교에서 프로젝트 3개 정도를 자바 백엔드로 진행해봤습니다. 음... 시큐리티, JPA, API 통신 등으로 프로젝트 진행 했었는데 코프링도 한번 배워보고 싶습니다. 장점이 많은 거 같아서요 근데 지금 현실적으로 코프링 취업이 될까요?? 아니면 그대로 자프링으로 계속 파고 나가야 될지가 문제입니다 지금 코프링의 현실적인 상태라고 해야되나 인식이나 의견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개발자
#자바
#코프링
#코틀린
#스프링
#자프링
답변 3
댓글 2
추천해요 2
조회 1,072
10달 전 · 이상래 님의 새로운 답변
좋은 방향으로 공부하고 있는걸까요?
안녕하세요 현재 개발자를 준비하고 있는 22살 남성입니다, 저에게는 한 가지 고질적인 고민이 있습니다, 바로 제대로 된 네트워킹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점 인데요, 고졸이라는 학력과 주위에 아무런 인맥도 없는 상황에서 20살부터 혼자서 공부를 했기에 불안함이라는 감정이 아무리 공부를 하더라도 지워지지 않는 거 같습니다, 아마 객관적으로 현재 저가 어느정도 수준인지 파악이 안되는 상황이라서 생기는 감정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사실 개발자를 준비하면서 여러 차례 네트워킹을 노력 했지만 뜻대로는 안 된 거 같습니다, 하지만 지속적인 불안함 때문에 2년간 계속해서 공부방식에 대한 의심이 많았고, 누가봐도 좋은 방식이라는 생각이 들 수 있도록 방향에 대한 교정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본론은 지금부터 입니다, 현재까지 몇 번의 서비스를 만들어 왔으며, 매번 서비스를 만들면서 백엔드 개발 관점에서 더 좋은 코드를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면서 이전에는 구현하기 바빴다면, 이번에는 개발서적을 읽고 여러 레퍼런스를 보면서 개발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예를 들어, JPA의 경우 현재 내 코드가 선택적 비식별관계인지 필수적 비식별관계인지 점검하고 만약 선택적 비식별 관계일 경우 N + 1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부 조인을 사용하여 해결하는 등 서적을 읽으면서 문제점을 계속해서 찾다보니 점검해야하는 체크 리스트가 약 150개 정도 되는 상태입니다. 또한 책을 읽다보니 간단한 CRUD을 구현하는 것도 사실 간단한게 아니라 저가 놓치고 있는게 정말 많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지금은 한 가지 기능을 구현할 때 많은 고민을 가지면서 개발하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이외에도 빨리 데이터베이스와 아키텍처 그리고 네트워크에 대한 내용도 서적을 읽으면서 제 기준으로 최대한 깊게 공부하고 싶은 생각이 들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이러한 부분에서 “다른 개발자들은 기본적으로 알고 있는거면 어떡하지?” “지금 고치고 있는게 의미 없는거면 어떡하지?” “열심히 서적을 읽고 정리하고 코드에 적용하고 그걸 기록하고 남들이 읽기 쉽도록 PR하는데 이게 아무 가치가 없는거면 어떡하지?” 같은 불안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방식이 괜찮은지 현업 선배님들의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되도록이면 쓴소리를 듣고 더 좋은 방향으로 발전하고 싶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서적
#불안
#기본개념
#실무
#멘토
답변 2
댓글 1
추천해요 1
조회 134
10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스프링, 노드 백엔드 취업을 위한 공부
대학교에서는 스프링이나 노드, 리액트 같은 프레임워크를 가르쳐주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신입으로 취업하시는 분들은 얼마나 공부하고 취업하시는 건가요? 부트캠프는 5~6개월 과정이긴 하지만, 솔직히 자바 람다 스트림 까지의 내용을 한 달 만에 끝내고, 스프링 부트, JPA, DB 등을 2~3개월 만에 배우고 나머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부트캠프도 이미 기본기가 있는 사람이 대부분인듯하네요) 전공자분들은 취업을 위한 공부 얼마나 하셨나요??
개발자
#취업
#스프링
#spring
#백엔드
#부트캠프
답변 0
댓글 0
조회 71
10달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무조건 대학부터 가야할까요?
안녕하세요, 현재 22살이며 군복무를 70일 남긴 상황입니다, 요즘 저에게 있어 “무조건 대학부터 가는게 맞을까?” 라는 큰 고민이있습니다. 우선 지금 저의 상황을 말씀드리고자합니다, 20살때부터 개발 공부를 시작해서 운 좋게도 군복무와 개인 공부를 함께 할 수 있는 상황이라 현재도 서비스를 만들고 있는 상황입니다, 여태까지 두 번의 기획 to 배포까지의 서비스를 만들어보았고 잡다하게 여러 프로젝트를 시도해보았습니다. (덕분에 디자인, 웹퍼블리싱, 프론트, 백엔드, CI/CD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와 각 영역마다 편차는 크지만 숙련도가 조금은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만들 서비스는 이전과 다르게 레퍼런스와 서적을 참고하면서 약 3개월간 (현재까지 5권, 12만자 정도의 핵심 내용들을 필기) 개발 중인 상태며, 과거 저가 일했던 시장에서 불편한 점을 개선하는 서비스라 이 서비스를 원하는 분들이 어느정도 있으실거라 생각합니다. (랜딩 페이지를 만들었을 당시 조금의 홍보로 이틀간 200명이 방문 하셨고, 100분 정도가 이 서비스를 원한다는 의견을 보이셨습니다) 여튼, 개발 과정에서도 이미 얻은게 많고(이미 전체적인 구현이 완료됐음에도 불구하고 아쉬운 점들에 대한 작업이 약 80개 정도 남은 상황입니다) 런칭을 했을 때도 어느정도 기대가 되는 서비스를 만들고 있는 상황이며, 전역 후에는 현재 개발 서적을 정리하고 블로그에 기록하는 방식과 같이 나만의 개인 블로그를 만들어서 조금 더 체계적이며 남들이 저를 알기 쉬운 방법으로 CS 공부를 기록할 예정입니다. (이거를 위해서 20살때부터 영어 공부를 했으며, 아직 부족하지만 필요하다면 mit open course도 번역하면서 cs 공부와 영어 공부를 함께하는 방식으로 가고자 합니다) 이후 상반기에 아쉽게 면접에서 떨어진 연합 동아리에 다시 지원해보면서 다른 활동들(우테코, 소마, etc)에도 도전해 보고자 합니다, 이때 cs와 같은 이론적인 부분에서 부족한 점들을 딥 다이브 해보면서 개발자로서 역량을 키울 생각입니다. (이번에 개발 서적을 읽으면서 cs를 빨리 깊게 공부해보고 싶은 욕구가 생겼습니다) 그래서 종합적으로 2025년에는 계속해서 여태껏 만들고 싶었던 서비스를 만들고 부족한 공부를 하며, 여러 활동에 참여하면서 구직 활동도 해보는, 모든면에서 성장하고 싶습니다. 서론이 길었습니다, 지금까지의 이야기만 봤을 때 이미 제 마음이 정해진 상태에서 질문을 드리는 거 같아 죄송한 마음이 들지만, 이런 상황에서도 저가 “착각하고 있는건 아닐까?” 하는 불안함 때문에 “재수를 해서라도 나름 괜찮은 대학을 가야할까?”, “돈만 주면 가는곳이라도 가서 학사라도 따야할까?” 라는 고민이 드는 거 같습니다. 20살, 처음 개발을 시작했을 당시에 품고있던 의심이 어느정도 개발자로써 성장한 이 상황에서도 계속해서 드는 거 같습니다, 그래서 현재 제 생각은 “우선 취업을하고 경력자로써 인정 받을 수 있는 시기에 대학을 가서 학사를 따는게 좋지 않을까”하는 생각입니다. 이외에도 경제적 형편과 같은 추가적인 요소도 있지만 이전에 나이에 비해서 쉽게 돈을 벌었던 경험때문에 오만 또는 자만하고 있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입니다.(영상 관련일을 했었습니다) 부연설명을 해야하는게 많아서 글에 두서가 없는 점 죄송하며,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세줄요약 1. 취준생으로써 어느정도 실력이 쌓인 상태 (3년 정도 공부, 군복무 포함, 코테 플4) 2. 그래도 학사가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마음 3. 우선 취업하고 경력을 인정 받는 시기에 학사따기 vs 나이가 어리니깐 일단 아무곳이나 대학가보고 아니면 자퇴하거나 계속해서 학사따고 취업 (경제적 형편이 안 좋다는 문제가 있음) 마지막으로, 솔직히 아무곳이나 가더라도 4년 동안 다니면서 학사를 딸 용기가 없어서 반년내로 자퇴할 거 같은 느낌인데 이게 착각이 아닐까 하는 마음입니다, 그리고 뜬금없지만, 매칭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대신 가독성과 확장성 측면에서 더 좋은 코사인 유사도를 사용하거나 아호코라식 알고리즘이나 엘라스틱 서치를 쓸려다가 오버 엔지니어링 느낌이 들어서 Spring Data JPA Specification으로 해결하거나 조회수 중복을 막기 위해서 유저의 ip 주소를 redis에 저장하고 ttl 으로 자동으로 초기화하거나 n + 1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fetch join에서 EntityGraph로 해결하고 동시성 문제도 AOP를 사용해서 해결하는 등 책을 통해서 또는 직접 찾아보고 해결하는 과정이 즐거운데 이게 틀린길인가 싶으니깐 슬픈 거 같습니다..
개발자
#학사
#취업
#개발공부
#대학교
#취준고민
답변 1
댓글 1
조회 188
일 년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개인의 성격과 협업 경험의 기회
안녕하세요 저는 백엔드 개발자를 지망하고 있는 대학교 2학년 학생입니다. 올해 군전역 후 2학기 복학 예정입니다. 현재는 스프링과 JPA를 공부하고 있고, 개인프로젝트를 마친 상황입니다. 제목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저는 매우 내향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람들과 대화하는 것과 다가가는 것이 어렵습니다. 항상 성장하고 싶어하고, 발전하고 싶어하는 의지가 있어서 공부는 꾸준히 해왔습니다. 하지만 항상 독서실에서 혼자 독학을 하면서 해왔기에 개발자로서 중요한 부분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키울 수가 없었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외부 동아리와 홀라 등의 커뮤니티를 통해 스터디와 동아리를 신청했지만, 모두 떨어졌습니다. 처음에는 실력이 문제라고 생각하여 더욱 공부에 매진했던것 같습니다. 따라서 이번 개인프로젝트를 마치게 되었습니다. 개인프로젝트를 통해 간단한 쇼핑몰 사이트를 만들었습니다. 기본적인 기능과 OpenAI API를 이용한 간단한 추천 서비스 정도의 기능을 개발했습니다. 알고리즘은 solved ac 기준 골드 2입니다. 이제는 개인적으로 협업을 할 수 있는 실력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탈락의 경험으로 확신이 서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해왔던 것 처럼 계속 지원하는게 맞을까요? 아니면 대학교 2학년으로 어리니까, 아직은 협업의 단계는 아니기에 CS나 자바 기초처럼 기본적인 실력을 향상시키는데 집중하는 게 맞을까요? 내향적인 성격과 1학년 당시 코로나 상황으로 인해 대학교에서는 한번도 활동을 해본적이 없습니다. 당연하게도 아는 사람이나 친구도 없는 상황입니다. 이번 학기에 복학을 해서 친구와 같이 협업을 해보는 노력을 해야 할까요? 내향적인 성격에 벌써부터 긴장이 되는 거 같습니다.
개발자
#성격
#협업
#내향적
답변 2
댓글 2
조회 81
10달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백엔드 신입 프로젝트
안녕하세요! 게시판 기능을 만들기 위해 spring,springboot,jpa,mariadb, aws, 헥사고날 아키텍처, Rest Api로 (화면x) 만들었었습니다. 그런데 이것으로는 당연히 포토폴리오로 부족할 것 같아서 , 멘토-멘티 매칭 시스템을 하나 제대로 개발해서 포토폴리오로 사용하려고 계획중 입니다. 그런데 처음 만든 게시판 프로젝트에 회원관리 쪽에서 jwt와 시큐리티를 못써봤고, 화면을 못만들었던게 신경이 쓰입니다… 이 상황에서 그냥 저 게시판프로젝트에 못했던걸 해결 하고 나서 새프로젝트로 넘어가는게 좋을까요?……
개발자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답변 1
댓글 1
조회 114
일 년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스프링 mvc와 jpa 중 뭐를 먼저 배워야 할까요?
** 아는 게 많이 없다 보니 고민만 더 많아져서 질문글이 두서 없이 길어졌는데 한번만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ㅜㅜ 선배님들의 의견 하나만 남겨주셔도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제 갓 스프링을 배우기 시작한 컴공과 학생입니다. 웹 개발은 이번이 처음 접하는 거고, 인프런 김영한님 강의를 보면서 배우고 있으며 현재는 스프링 기본편을 보며 전반적인 기능을 훑었습니다. 참고로 스프링을 이용해 제 스스로 뭔가를 만들어보진 않았고, 단순히 강의만 보며 코드를 따라쳐본 수준입니다 .. 우선 제 목표는 한달 뒤에 개인 토이 프로젝트를 할 만한 실력을 갖추는 겁니다! (대외활동/인턴 지원을 위한 포트폴리오 용도입니다) 한달 동안 김영한님의 스프링 MVC 강의와 JPA 활용편(+기본편) 강의를 모두 들을 예정이긴 한데, mvc와 jpa 중 뭐를 먼저 배워야 하나 고민입니다 .. 스프링에 대해 아는 것이 많이 없어서 그러는데, mvc와 jpa 둘 중에 필수인 것과 선택사항(?)인 것이 있을까요? 물론 둘 다 현업에서 중요한 것 같긴 하지만 당장 실무 투입이 목표는 아닌지라, 단순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 있어 굳이 따지자면 둘 중 뭐가 더 중요한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둘을 배우는 데 있어 하나를 먼저 배우면 다른 하나를 배우기 쉽고 이런 선후관계가 있을까요?? 완전히 다른 기능이라고 이해하고 있긴 한데 혹시나 싶어 여쭤봅니다..! 뭔가 머릿속으로는 mvc를 먼저 하는 게 낫지 않나 싶으면서도, jpa 활용편 강의에서 jpa를 사용하여 (mvc강의의 예제보다 훨씬 복잡한)웹 애풀리케이션 예제를 전반적으로 개발해본다고 해서,, jpa 활용 강의를 먼저 들으면서 웹애플리케이션에 좀 익숙해진 다음에 mvc를 들어야 하나 싶기도 합니다.. 그런데 jpa 활용편 강의를 듣고 나서 jpa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다룬 jpa 기본편 강의도 들을 예정이라, 두 강의를 이어서 들으려고 하는데요. 처음 생각했던 순서는 mvc->(혼자 진짜 간단한 프로그램 만들어보기)->jpa활용->jpa기본 인데, 만약 jpa활용을 먼저 듣는 순서로 바꾼다면 jpa기본과 mvc 중에 뭘 먼저 들어야 하나 싶기도 합니다..ㅠㅠ 혹시 답변해주시는 데 도움이 될까 싶어 제가 고민 중인 두 강의의 설명 적어놓겠습니다! mvc 강의: “자바 웹 기술과 스프링 MVC의 핵심 개념을 다지고, 스프링 MVC의 기본 기능을 이해합니다. 자바 백엔드 웹 기술을 소개하고, 서블릿, JSP, MVC 패턴, MVC 프레임워크까지 웹 기술 전반을 학습합니다. 이렇게 웹 기술의 배경을 이해한 다음에 스프링 MVC의 핵심 개념을 단단히 다집니다. 이후 스프링 MVC의 기본 기능 기능을 학습하고, 스프링 MVC를 사용해서 기본 CRUD가 가능한 웹 페이지도 개발합니다.” jpa 활용 강의: “이 강의는 게시판 같은 단순한 예제를 넘어서, 실무의 복잡한 상황을 재현할 수 있는 난이도 있는 예제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요구사항 분석부터 설계, 개발, 테스트, 성능 최적화까지 이 모든 과정을 순서대로 진행합니다. 이렇게 실무에 가까운 예제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 설계하고 개발해보면, 이 과정 속에서 스프링 부트와 JPA를 활용하는 올바른 방법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무에서 이 기술들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이해하게 됩니다.” 물론 이런 글 올릴 시간에 뭐 하나라도 먼저 시작하는 게 낫다는 건 정말 잘 알고 있지만 .. 아직 아는 게 정말 많이 없다 보니 확신도 안 서고 계속 고민만 하느라 혼자 땅굴만 깊이 파고 들어가게 되더라구요ㅜㅜ 이럴 바에야 얼른 다른 분들 조언 받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해서 이렇게 글 쓰게 되었습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투표
개발자
#스프링
#김영한
#jpa
#mvc
답변 2
댓글 2
추천해요 3
조회 1,915
일 년 전 · 프레드윰 님의 새로운 답변
26살 백엔드 지망입니다
건동홍 컴공 졸업하고 백엔드 지망하고있는 26살입니다. 원래 게임쪽으로 지망했어서 유니티로 프로젝트도 2개정도 해보고 면접도 몇번 봤는데 취미로 하는것과 취업하는거랑 괴리가 점점 느껴져서 백엔드로 틀게 되었습니다. 면접때 기본기의 부족을 느껴서 cs를 어느정도 다지고 자바 공부하고 이제 김영한 강사님 스프링 강의 들으면서 공부하고 있는데 백엔드는 학생때부터 공부하신 분들이 많다보니 많이 늦은 느낌을 받고있네요. 질문은 3가지입니다. 1. 백엔드는 공부해야할 것이 상당히 많던데 현재 이렇게 백엔드를 시작해도 많이 늦지 않았는지 2. 현재 스프링 강의를 완강하고 db연동 및 curd 구현한 쇼핑몰 개인프로젝트를 계획중인데, 스프링 강의만 듣고 구축 후 추후 스프링 부트, jpa등으로 리팩토링 하는것이 나을지 아니면 스프링 부트 강의까지 완강 후 프로젝트를 시작해보는 것이 나을지 3. 위의 개인 프로젝트 이후 추가로 더 해보면 좋을 것 같은것이 있는지 궁금해서 질문하게 되었습니다
개발자
#스프링
#취업
답변 1
댓글 0
조회 233
일 년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백엔드 개발자로서 마이그레이션 경험은 스팩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대학 졸업 후 SI회사에 근무하며, 마이그레이션 업무를 담당 중인 신입입니다. 원래 백엔드 개발자가 하고싶었으나, 부서 배치를 이쪽으로 받으면서 U2L, JDK, DB 마이그레이션 업무를 하게 됐어요. 내년 2월이면 1년을 채우게 됩니다. 마이그레이션 업무가 스팩이 될까요? 그리고 마이그레이션 업무는 전망이 어떤가요? 추가로, 6개월짜리 괜찮은 국비지원 웹/앱 코스를 알게 돼서 지원해볼까 고민 중입니다. 합격하면 8월 말부터 시작이에요. (기업에서 진행하는 거예요.) Spring + MyBatis, Springboot + JPA로 CRUD 개발 가능한 정도이고, 현재 퇴근하고 매일 백엔드 공부 중입니다. 이렇게 틈틈이 공부하면서 1년을 채우고 학원을 알아보거나 신입 백엔드 개발자로 취업을 준비할 지, 국비 코스에 지원할 지 고민 중입니다. 의견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백엔드
#마이그레이션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2
조회 215
일 년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GPT의존도가 심해서 고민입니다.. 백엔드 개발자 커리어
제가 Java+ Spring boot를 활용하는 서비스 어플 만드는 프로젝트에 참여해서 열심히 API를 구현중입니다 (회원가입API등) 근데 저는 스프링부트는 커녕 스프링도 해본적이 없습니다.(자바는 할 줄 압니다) 그래도 배포까지 하면 포트폴리오도되고 경험이라 생각해서 투입되어 개발하고 있는데 솔직히 저는 코드를 못짭니다.. 스프링을 약 일주일정도 공부하긴 했지만.. JPA 의존성 MVC 등등 개념은 조금 아는 상태지만 코드를 읽고 해석하는 것도 안되는 매우 부족한 상태입니다., 스프링 생태계에 대해서 아는건 없지만, GPT4 가 있기에 API 구현이 어느정도 되는 편입니다. 스웨거 같은걸로 테스트할때도 꽤 괜찮고 근데 문제는 이런식으로 코드를 짜는게 저한테 발전이 있는가 의문입니다. 제가 명령하면 GPT가 코드를 짜줍니다. 당연히 한번에 컴파일이 되진 않겠지요 근데 몇번 수정하다보면 어느정도 됩니다.. 저의 지식이 15%라고 하면 GPT4가 85% 지식을 추가시켜줘서 코드를 짜주고 구현을 해줍니다. 방학기간 한달 남짓한 시간이라 팀원한테 민폐가 안되려고 어쩔수없이 쓰고있습니댜.. 나중에 배포까지 됬을때 어떻게 포트폴리오로 사용해야하나 고민입니다. 지피티가 없는 시절 파이썬으로 프로젝트를 할때는 저의 지식50% 구글링50%으로 했다면 GPT는 거의 대부분을 의존해서 걱정입니다.. 요약 GPT의존도 심함 1.프로젝트 긴급 투입 어찌저찌 요구사항 구현중 2.코드는 GPT가 짜주고 본인은 실행만 시키는 수준 3. 본인에게 발전이 있을지.. 4. 포트폴리오로는 어떻게 활용을 할지
개발자
#자바
#스프링
#백엔드
#포트폴리오
#gpt
답변 2
댓글 0
조회 1,128
일 년 전 · 개발자A 님의 새로운 답변
풀스택?4년차 전향을 해야할지 아니면 백엔드로 그대로 가야할지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이제 3년2개월이 된 풀스택 개발자입니다. spring도 하고, vue.js도 해서 풀스택이라고 적었습니다ㅜ 첫 개발회사에서 2년정도 근무하고 새로운 기술을 접하고 싶어서, 이직을 했다가 갑자기 저한테 웹하드를 개발하라고 하기도했고, 성인사이트 기획도 하면서 회사의 전반적인 사업 방향이 저와 너무나도 다르다고 생각하여 이직을 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지금 현 회사에 와서는 vue.js나 JPA 배워서 프로젝트 진행했었습니다. 그러고 일이 없어요... 간단한 기능 수정같은건 있는데 그 외에 없어요... 그래서 이직을 하려고했더니 아시잖아요 요즘 취업이 너무 추운거... 그래서 이직도 안되고 일도 없고 회사에서 공부만 하자니 백엔드 자체가 너무 싫어졌습니다. 그런 와중에 아는 지인이 프로젝트 진행하는데 좀 도와달라고해서 flutter를 접했습니다. 배우고 나니까 너무 재밌기도하고 이 프로젝트 끝난 다음에 앱개발로 전향한다면 도움이 되지않을까 싶더라구요 제가 애플을 좋아하기도해서 노트북,시계,핸드폰 다 애플이거든요. 그래서 iOS를 해야겠다! 싶었습니다. 근데 이쪽분야도 신입은 영 쉽지않더라구요... 결론은 기다리면서 java공부 더 해서 백엔드 갈지 아니면 iOS 부트캠프나 국비로 공부를 한 다음에 신입으로 전향을 할지 고민입니다. 참고로 제가 만29살인 여자이기도 해서 미래에 아기도 낳고 하면 백엔드보단 앱개발이 나을거같기도하고, 지금 회사에서 너무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좀 쉬고싶기도 하구요(공부는 열심히 하겠지만요) 제 고민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개발자
#전향
#ios
#백엔드
답변 2
댓글 0
조회 153
일 년 전 · 이양일 님의 답변 업데이트
JPA를 사용해서 부모(1)와 자식 목록(N)을 가져올 때 쿼리를 2번 발생시키나요?
안녕하세요. JPA와 QueryDSL을 사용하여 개발을 하고 있는 홍길동입니다. 예를 들어 상품 테이블(부모)과 옵션 테이블(자식 목록) 정보를 조회하는 service에서 쿼리를 보통 2번 발생시키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부모 조회 쿼리 1번, 자식 목록 조회 쿼리 1번 총 2번의 쿼리를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다른분들은 현업에서 부모와 자식의 데이터를 가져와야 하는 경우 쿼리를 몇번 발생시키는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jpa
#자식데이터-조회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520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PostLike 테이블에서의 JPA 관계 설정 (Web, Spring, JPA)
Post 테이블 (Long pno, String cotent) UserInfo 테이블 (String uid, String nickname) PostLike 테이블 (Long pno, String uid) Post에 대한 좋아요 정보를 PostLike테이블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PostLike 엔티티를 정의할 때 1) UserInfo userInfo, Post post를 @ManyToOne으로 관리할지, 2) 아니면 그낭 Long pno, String uid로 관리할지 고민입니다. 1번 방법) 장점 : Post, UserInfo를 delete 할때 알아서 관련된 좋아요 정보를 찾아서 삭제해준다는 면에서 무결성 관리가 편함. 단점 : JPA는 where pno=(삭제하는 게시글 id)처럼 쿼리 한 번으로 삭제하지 못 한다. 먼저 PostLike 테이블에 pno가 삭제 게시글 id와 같은 것들이 무엇이 있는지 확인하고, 해당 id에 해당하는 row를 deleteById로 하나하나 삭제하기 때문에 쿼리가 N+1 필요해서 성능 이슈가 생긴다. 2번 방법 ) 장점 : 성능 문제가 해결된다. 쿼리 한 번으로 게시글 혹은 유저를 삭제했을 때 관련 좋아요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단점 : 무결성 관리를 직접 해줘야 해서 프로그래머가 신경써서 관리해야 한다. ◼️ 질문 1 1번 방법과 2번 방법 중에서 2번 방법을 선택하려고 합니다. Trade off를 제대로 한 게 맞을까요? Post와 Comment에서는 @ManyToOne을 사용하고, Follow나 PostLike에서는 @ManyToOne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제멋대로인 것 같아서 고민입니다. ◼️ 질문 2 유저를 삭제할 때 해당 유저가 좋아요를 누른 기록을 유지하는 것이 좋을까요, 삭제하는 것이 좋을까요? 요구사항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은 알지만 그래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개발자
#spring-boot
#jpa
#backend
#web
답변 0
댓글 0
조회 32
일 년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이직 한 회사에서 성장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해 퇴사할 지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만 3년이 안된 주니어 백엔드 개발자입니다. 2년반 조금 넘게 중소기업에서 si업무를 하며 인프라부터 백, 프론트까지 풀스택 개발을 담당했고 기획 업무도 했었습니다. 좀 더 백엔드개발에 집중하고 싶어 스프링부트와 JPA, AWS를 공부하고 회사에서도 공부했던 걸 적용하면서 아웃풋도 냈지만 회사에 JPA와 스프링부트를 제대로 사용할 환경이 되지 않아 이직을 선택하게 됐습니다. 중견기업으로 이직하게 되었고 이직한 회사는 채용공고와 다르게 전자정부프레임워크를 주로 사용하고 있고 AWS 혹은 JPA는 접해볼 기회가 없습니다.. 또한 업무 난이도도 쉬운 편이라고 판단됩니다.. 이직한 지 3일차 되는 날이라 너무 섣부른 판단이지만 서비스가 매력적이지도 않고 기술스택도 맘에 들지 않아 이대로 여기 있다간 성장하지 못할 것 같아 걱정이 너무 됩니다ㅠㅠ.. 좀 더 근무하면서 여기 있는 것이 좋을까요.. 아님 퇴사하고 다른 회사로 이직하는 것이 좋을까요...
개발자
#이직
#성장
#주니어백엔드
답변 1
댓글 0
조회 247
일 년 전 · 정지우 님의 새로운 답변
(Java) '연봉/워라벨은 좋으나 레거시한 기술스택 회사'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나름 큰 기업의 오퍼를 받았습니다. 연봉 및 워라벨은 나름 좋은 편입니다. IT 총판사라고 합니다. 근데 사용하는 기술스택이 Java, 스프링 프레임워크,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Vue.js 등이며, 지원자격에 JSP, JQuery 개발경험 등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B2C기업, JPA사용 등 조건의 IT회사에 가고싶지만 당장 코테도 준비가 안되어 있어서 원하는 방향의 좋은 기업은 못가고, 코테를 보지않는 괜찮은 기술스택 회사 위주로 알아보고 있긴 합니다만,, 연봉/워라벨이 발목을 잡네요ㅠㅠ (비슷하게 금융권SI도 최신의 기술 스택위주는 아닌 것 같네요) 현재 SI 3년차인데, 여러분들이라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조언이나 경험공유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투표
개발자
#java
#백엔드
#jsp
#전자정부프레임워크
답변 7
댓글 0
조회 2,004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전자정부프레임워크 쓰시는 분들께 질문입니다.
혹시 현업에서 전자정부프레임워크에 jpa를 쓰시는 분 계신가요? 시도해봤는데 안된다던가 오류가 발생하는지 Jpa의 어느정도 수준까지 쓰고 계신지도 궁금합니다.
개발자
#jpa
#전자정부프레임워크
답변 0
댓글 0
조회 79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Paging 관련 질문 있습니다.
jpa, pageable 활용하면 findall로 페이지에 속하는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고 알고 있는데요. 1. repository 데이터가 변경돼서 예전 1페이지가 시간이 흐른 뒤 1페이지를 호출하면 다른 데이터가 나오게 돼서 데이터베이스 상태가 바뀌지 않도록 해야 된다고 GPT가 가르쳐 주는데 DATE 타입의 컬럼을 활용해서 소팅 하는 알고리즘의 경우는 어떻게 데이터베이스 상태가 바뀌지 않도록 하나요? 2. 유저1(최신순)과 유저2(추천순)가 서로 다른 알고리즘으로 Paging을 수행 할 때 Paging 객체를 유저 객체에 넣어서 기억 하나요?
개발자
#spring
#jpa
#pagable
답변 0
댓글 0
조회 45
일 년 전 · 장성호 님의 새로운 답변
백엔드 독학 커리큘럼 고민
안녕하세요 컴공과 4년제 졸업생 백엔드 개발자 희망하는 취준생입니다. 제로베이스 부트캠프와 독학 고민하다 독학을 해볼까 커리큘럼 계획 중인데 고민이 있어 글 작성 합니다. 1. 자바 언어(이것이 자바다 책), 코딩테스트(자바), CS지식(큰돌님 강의) 2. 김영한님 스프링 로드맵(기본 - mvc - db - jpa - 고급), 스프링 시큐리티(정수원님 강의) 추가적으로 상황이 된다면 redis, Jenkins, AWS 배포, 코드 리팩토링 등 이 순서로 공부를하면서 준비하려하는데 불 필요한 부분이 있다, 부트캠프가 더 효율적이다 등 다양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카톡으로 조언해주셔도 좋습니다..! https://open.kakao.com/o/snOaa5wg
개발자
#spring
#취업
#백엔드
답변 2
댓글 1
추천해요 1
조회 737
일 년 전 · Ted 님의 새로운 댓글
신입 백엔드 취업 지원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현재 부트캠프 수료 후 취준을 하고 있는 취준생입니다. 현재 자바와 스프링, JPA 공부를 했고 아직 많이 부족해서 공부를 계속 하고있는 상태입니다. 그런데 취업 공고를 보면 다른 언어를 찾거나, 자바와 JSP를 구하는 곳이나 DB를 필수로 하는 곳이 많더라고요. 신입을 뽑는 곳이 많이 않은데 조건도 맞지 않아서 걱정입니다. 지금이라도 JSP나 DB공부를 해야할까요?
개발자
#java
#spring
#취업
#신입
#백엔드
답변 2
댓글 4
조회 393
일 년 전 · 김하늘 님의 새로운 답변
개발자 구하고 있습니다. (지학사, ~ 06/09)
https://jihak.co.kr/company/recruit_list.asp ① 풀스텍 개발 경력(5년 이상) 정규직 : 주요업무 - 자사 교육 플랫폼 서비스 개발 및 운영, 교과서 관련 교육 콘텐츠 웹 서비스 개발, LMS 시스템 고도화 및 운영 : 자격요건 - Linux, JAVA 등 개발언어 사용, AWS/DB 클라우드 연동, Web 개발 및 운영 : 포트폴리오 제출 필수 : 우대사항 - JPA, DBMS 경력, Rust 도큐먼트 프로세싱(파싱,랜더링)경력, 에듀테크업체 개발 경력 ② 프론트엔드 개발 경력(5년 이상) 정규직 : 주요업무 - 자사 교육 플랫폼 서비스 개발 및 운영, LMS 시스템 고도화 및 운영 : 자격요건 - Vue, React 등 Java script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 사용 개발 경험, 오픈 소스 활용 및 SaaS서비스 연동 개발 경험, 다양한 뷰어 콘텐츠 연동 개발 경험 : 포트폴리오 제출 필수 : 우대사항 - 에듀테크업체 개발 경력, SI프로젝트 경험자, JAVA 개발 경험자, 웹 표준, 반응형 서비스 이해도 보유 ③ 백엔드 개발 경력(5년 이상 )정규직 : 주요업무 - 자사 교육 플랫폼 백오피스 개발 및 운영, LMS 시스템 고도화 및 운영, CRM 개발 및 운영 : 자격요건 - Web 개발 및 운영 , JAVA, ASP, Linux 등 개발언어 사용, AWS/DB클라우드 연동 : 포트폴리오 제출 필수 : 우대사항 - 컴퓨터 관련 학과 전공, JAVA개발경험 - 본사(서울) - 급여 : 회사내규 - 전형절차 : 1차(서류) → 2차(팀장면접) → 3차(임원면접) 개발자 구하기가 하늘에 별따기네요. 어떻게 하면 구할 수 있을까요?
개발자
#채용
#개발자
#프론트엔드
#백엔드
#풀스텍
답변 1
댓글 0
조회 271
일 년 전 · 구운감자 님의 새로운 답변
개발 서적 10권 읽으면서 개발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어쩌다 보니 매일 6~7시간씩 개발 서적을 읽을 수 있는 기회가 생겨서 개발 서적을 읽으면서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서비스를 개발해본 경험은 있고 기획 to 배포까지 했었습니다, 그래서 저번 서비스를 만들면서 아쉬웠던 점들이 많았고 가장 큰 아쉬움은 뭐가 문제인지 확인하는거조차 어렵다는 점 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총 책을 10권 정도 사서 4개월간 읽으면서 서비스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책을 읽을 때는 기존에 알았던 지식 검증, 새로 알게 된 지식, 기존에 알았지만 오류가 있는 지식을 기준으로 책을 읽고 이러한 내용들을 느낀점과 더불어 현재 문제점 등 메모장에 저가 이해한 대로 꾸준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 챕터에 2-3 페이지? 정도 “아 이래서 그런거구나” 느낌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현재 책을 읽은지는 약 2주차이고 책을 읽으면서 지속적으로 개발하면서 고쳐야할 점을 리팩토링 하고 있습니다, 곧 토비의 스프링 Vol2 를 읽을 거 같습니다, 읽을 책 리스트는 순서대로 아래에 있습니다, 현업분들 입장에서 신입이 이런 경험이 있고, 그런 내용을 블로그에 회고록으로 아주 자세히 적어놓는거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토비의 스프링 1,2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실전 스프링 부트 도커/쿠버네티스를 활용한 컨테이너 개발 실전 입문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 구축을 위한 쿠버네티스/도커 Real MySql8.0 Clean Code 클린 코드 개발자의 글쓰기 휴대폰으로 쓴 글이라 가독성이 떨어지는 점 죄송하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서적
#독학
#블로그
답변 2
댓글 0
추천해요 2
조회 483
일 년 전 · lecarap 님의 답변 업데이트
2학년 학부생입니다. 객관적인 의견과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4년제 대학교 소프트웨어과 2학년 휴학중인 학부생입니다. 올해 2월에 군제대를 한 후 전공이 2학기때 열리는 이유로 휴학중이며, 올해 2학기때 복학할 예정입니다. 지금 휴학중이고 개인적으로 정말 중요한 시기라 생각이 들어 2월부터 꾸준히 공부를 해오고 있었습니다. 현재 인프런 김영한 강사님의 강의를 모두 구매하고, 고급이나 실전을 재외한 10개 정도의 강의를 완강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스프링, 스프링부트, JPA, 스프링 JPA, 타임리프 정도 해봤다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1학번 코로나 학번이어서 개발 관련 지인이 없어 협업 프로젝트 경험은 없습니다. 개인 프로젝트로는 김영한 강사님 강의를 들으면 만들어지는 쇼핑몰 페이지를 발전시킨 정도입니다. 기본적인 회원, 상품, 주문 추가 및 수정 기능. 회원가입 과 카카오 api를 통한 카카오 회원 가입 기능 상품 좋아요 기능 상품 가격별, 좋아요, 이름 순 정렬 및 페이징 기능 관리자 페이지 기능 (관리자는 상품 추가 가능, 멤버 강제 삭제 가능 등..) 정도의 기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코딩 테스트는 현재 백준 골드 4이며, 프로그래머스는 230문제 정도 푼 거 같습니다. 사실 래벨과 문제 양만 많지 실력은 뛰어나지 않는 것 같습니다. 프로그래머스 2단계 까지는 무난하게 풀고, 3단계부터는 1-2시간 이상 걸리거나 못 푸는 것 같습니다. 프로그래머스 기준 카카오 인턴 커트라인 언저리에 있는 것 같습니다. CS는 아직 학교에서 배우지 않았고, 유튜브와 KOCW를 통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이화여대 반효경 교수님의 운영체제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 백엔드라는 진로는 군대에서 정했고, 군대에서는 코테와 인프런 강의를 조금 들었습니다. 지금 제 상황은 현재 이렇습니다. 군대 전역한 지 3개월 지났고, 9월 복학까지는 3개월 정도 남았네요.. 군 전역 후 3개월 열심히 공부했다고 생각하지만, 막상 하루 집중량은 많지 않는 것 같습니다. 지금은 스터디카페에서 계속 독학중인 상태입니다. 유명 개발 동아리는 몇 번 지원해봤지만, 서류에서 떨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물론 포트폴리오나 깃허브는 정말 잘 안 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지금 고민은 공부의 방향과 방법에 확신이 들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즉, 어느 쪽에 힘을 주고 공부를 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개인 프로젝트를 더 해볼까 싶지만 개인프로젝트이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생각에 한계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개발을 하면서 특히 스프링 데이터 JPA를 하면서 이런 식의 찍먹 기술은 정말 위험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페이징 처리나 정렬 처리가 너무 쉽고 간편했기 때문입니다. 영상에서 특정 스킬의 찍먹은 신입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말을 들어 더 그런 것 같습니다. 따라서 이런 식의 기술 스텍의 찍먹이 아닌, 서블릿부터 JDBC까지 기본적인 부분을 자세히 공부를 먼저 해야 하나 싶기도 합니다. 그래서 현재는 코테 준비와 CS 공부만 하고 있습니다. CS 강의와 코테를 공부하고 공부한 내용을 티스토리 블로그에 정리하는 형식으로 복습하고 있습니다. 지금 계획으로는 9월 복학까지 CS 및 코테 공부를 확실히 한 후, 내년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에 신청할 생각입니다. 소마는 코테 실력을 많이 본다는 점에서 좀 유리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 스프링 기본 지식이 필요할까봐 토비의 스프링 책도 1,2를 구매했고, 1권 절반정도 읽은 상황입니다. 사실 읽다가 너무 어려워서 포기한 감이 있습니다... 지금 다시 또 공부해야할지도 또 고민입니다. 또 최근에는 프로젝트 배포 경험이 중요한가 싶어 도커와 AWS도 기웃기웃거리고 있습니다. 글을 보시면 아시겠듯이 지금 저는 하나에 몰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무엇을 공부해야 할 지. 하루 스케줄은 어떻게 해야할지. 지금 내가 하고 있는 공부가 맞는건지에 확신히 서지 않습니다. 특히 저는 병렬적인 공부에 취약한 것 같습니다. 사실 하나만 파는 것이 더 쉬워보입니다.. 실력있는 개발자가 되고 싶고, 평생 공부하며 발전하고 싶습니다. 목표는 졸업 후 1년 내 대기업 취업입니다. 1년 해보고 안되면 바로 경력을 쌓을 예정입니다. 졸업은 별일 없다면 25살 겨울에 할 것 같습니다. 공부에 손이 잘 잡히지 않습니다. 막막하고 답답한 기분이 요즘 많이 들고 있습니다. 열정은 있지만 정말 아는게 없네요.. 현업 개발자 선배님께 조언을 여쭙고 싶습니다. 지금 저는 객관적으로 어떤 상황이고, 무엇을 해야할까요?
개발자
#백엔드
#공부-방법
답변 1
댓글 0
조회 360
일 년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SpringBoot와 MySQL 도커 배포 과정에서 계속 오류가 발생합니다.
선배님들 안녕하십니까? 제목 그대로 스프링부트와 MySQL 배포 과정에서 HikariPool-1 - Exception during pool initialization. server-1 | server-1 | java.sql.SQLNonTransientConnectionException: Could not create connection to database server. Attempted reconnect 3 times. Giving up.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MySQL은 정상적으로 배포가 되어서 접근이 가능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SpringBoot의 경우, 계속 DB와 연결이 실패합니다. 아래는 SpringBoot의 application.properties 파일과 docker-compose.yml 파일입니다. 한 수 가르쳐주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spring.datasource.driver-class-name=com.mysql.cj.jdbc.Driver spring.datasource.url=${SPRING_DATASOURCE_URL} spring.datasource.username=${SPRING_DATASOURCE_USERNAME} spring.datasource.password=${SPRING_DATASOURCE_PASSWORD} spring.jpa.show-sql=true spring.jpa.hibernate.ddl-auto=update spring.jpa.properties.hibernate.format_sql=true
개발자
#오류
#스프링부트
#도커
#mysql
답변 1
댓글 3
조회 399
일 년 전 · cozy 님의 답변 업데이트
ERP 개발 스타트업에서 현장실습(직무체험)이 도움이될까요?
저는 4학년 막학기를 준비하는 서비스기업을 목표로하는 학생입니다 작년부터 스프링을 공부해서 최근에는 react 개념공부도 끝내서 프론트는 gpt도움으로 스프링부트와 jpa를 쓰면서 백엔드 위주의 토이프로젝트를 준비중에 있습니다. 사실은 2학기때도 막학기 다니면서 혼자 이렇게 포폴용 프로젝트를 하거나 스터디를 찾고 들어갈 계획을하고있었는데 사실 혼자준비하면서 방향이 이게 맞나 의구심이 들던차에 학교 현장실습으로 막학기때 학기대체로 erp개발 스타트업을 현장실습 하면서 퇴근후에 공부를 하는건 어떤가해서요. 설명은 다음처럼 돼 있었습니다 ‐-‐------------------------------------------------------- 교육목표 : 본 교육과정은 Java 프로그래밍 언어와 Spring Boot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안정적이고 확장 가능한 웹 애플리케이션 백엔드를 개발할 수 있는 전문 개발자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교육생들은 Java 프로그래밍의 기초부터 고급 문법까지 습득하고, Spring Boot를 통한 RESTful API 설계와 구현, 데이터베이스 연동, 웹 서버 보안 등 백엔드 개발에 필요한 실무 기술을 배우게 될 것입니다. ‐-‐------------------------------------------------------- si회사에 다니면서 체험하는것이 서비스기업을 목표로할때 도움이될까요? 괜히 개인공부시간만 방해받을거 같기도하고..제가알기로 erp쪽은 도메인이 너무 특수해서 사실 제가 목표하는쪽이랑은 다를거같기도하고요 직무체험이라 괜찮을까싶기도하고..
개발자
#현장실습
#백엔드
#인턴
답변 1
댓글 0
조회 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