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idating Segments Early with BDD Test Conversion
Medium
육아 휴직 기간이 어느새 절반을 지나가고 있습니다. 직무 복귀에 앞서 스스로에 대한 개발을 위해 프로덕트 매니저가 갖춰야할 항목을 정리하고 항목 별로 개선시킬 계획을 세워봅니다.
책 1. 프로덕트 매니저는 무슨 일을 하고있을까 2. 프로덕트 매니지먼트(저자 김영욱) 목차를 긁어와 Chat GPT에게 읽게하고 중복된 부분 등을 추려 프로덕트 매니저가 갖춰야할 항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제품 정의와 구분: IT 업계의 제품, 제품의 예시와 구분 방법.
제품 개발 절차: 애자일, 워터폴 방법론을 포함한 제품 구현 절차와 단계별 과업.
제품팀 구성과 운영: 스프린트 운영, 백로그 관리, 제품팀과 유관부서 협업.
요구사항과 화면 설계: 요구사항 정의서, 화면 설계서의 작성과 구성요소, 유저 스토리 작성.
제품 구현: 디자인, 마크업, 프런트엔드 개발, 백엔드 개발과 상황별 대응 전략.
테스트와 배포: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배포 과정과 필수 사항.
제품 운영과 모니터링: 상시 운영, 장애 모니터링 및 대응, CS 대응.
커뮤니케이션과 리모트 근무: 업무 환경에서의 커뮤니케이션 기술, 리모트 근무의 특수성.
자기계발과 역할 정의: 프로덕트 매니저의 자기계발, 역할, 조직의 기대.
리더십: 프로덕트 매니저의 리더십 스킬, 상황별 리더십.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기본: B2B와 B2C의 차이, 프로덕트 매니저와 프로젝트/프로그램 매니저의 차이점.
프로덕트 라이프 사이클과 프레임워크: 프로덕트 라이프 사이클, 개발 라이프 사이클, 프레임워크.
고객 개발: 고객 개발 방법, 사용자 스토리, 고객 설문 및 인터뷰.
프로덕트 전략과 로드맵: 사용자 필요성, 경쟁자 평가, 전략 개발, 로드맵 작성.
일상 업무: 와이어프레임, 프로토타입, 백로그 관리, 우선순위 정하기, MVP.
능력 있는 PM 되기: 제품 시장 적합성, 주요 지표, OKR과 KPI, 협업의 중요성.
이중 골라낸건 크게 3가지 입니다. 4, 15, 11,
4번은 가장 약한 부분입니다.
15번은 약한 부분도 있고, 공부가 필요해보이는 부분도 있습니다.
11번은 설명하라면 확실하게 설명하지는 못하지만 머리속으로는 대충 알고 있습니다.
천리길도 한걸음이니 쉬운거 부터 시작해보겠습니다.
(다음글에서 계속됩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3월 12일 오전 6:11
B
... 더 보기1.●지금의 준비가 내일의 운을 부른다.
2.●사람은 변하지 않는다. 다만 보여줄 뿐이다.
저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