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COVID에도 불구 지속 성장중인 Data, AI 업체 landscape] - Snowflake, Datadog, Palantir등의 DB, analytics 업체들의 IPO, Direct listing의 폭발적인 성공을 기반으로 더 많은 돈들이 data, AI업체에 몰리고 있음 - 향후에는 data를 기반으로 정확한 예측을 하지 못하는 업체들은 도태될 수 밖에 없는 상태로 갈수 밖에 없음 - Key trend in data infra: 더 많은 data를 기반으로 더 정확한 분석을 원하고, 그것도 실시간으로 원하는 needs가 커짐에 따라 data infrastructure에서의 새로운 기회들이 많이 지고 있음 1) Modern data stack: Cloud data warehouse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면서, 각 cloud source에서 분석을 위한 data pipline을 구축하고, 빠른 분석을 하는데 대한 needs가 커짐 2) 기존 data 분석을 위한 process였던 Extract, Transform, Load (ETL)에서 1)의 data pipeline을 기반으로 하여 data warehouse 내의 transform이 가능하게 됨을 기반으로 Extract, Load, Transform (ELT)로 진화 중 3) 위의 1), 2)로 인해 transform의 복잡함이 줄어든 덕분에 data engineering을 많은 부분 자동화 할 수 있게 됨 4) 위의 1)~3)으로 인해 big data 시대에 다소 소외되었던 Data Analyst들이 오히려 Data engineer만큼 심도있는 tast를 수행할 수 있게 됨 (Cloud data warehouse는 오히려 굉장히 scalable한 RDB와 비슷하여 SQL을 통한 업무 영역이 훨씬 넓어짐) 5) 각종 data가 dump되었던 data lake와 structured data 위주의 data warehouse 간 merge가 일어나고 있음 - 계속 더 simple하고 통일된 기반의 data로 가는 것이 main trend (그래야 data를 사용하기 쉬워지니까) - 그래서 아이러니컬 하게도 더 복잡한 case들이 많이지게 되고 그래서 이런 복잡성을 다루기 위한 영역도 커지는 추세 -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insights를 뽑아내는 ML/AI업체들이 다시 각광을 받는 중

The 2020 data and AI landscape

VentureBeat

The 2020 data and AI landscape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0월 22일 오후 5:4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최고의 리더가 되기 위한 덕목을 알려주는 지식은 수없이 많다. 대표적인 것이 2008년 구글이 발표한 ‘산소 프로젝트’다. 구글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팀장급 이상 관리자의 인사자료 1만 건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실시했다.

    ... 더 보기

    ‘최악의 리더십’ 평가 받은 리더들의 공통적 특징 살펴보니…

    비즈N

    ‘최악의 리더십’ 평가 받은 리더들의 공통적 특징 살펴보니…

    🍚한촌설렁탕의 파격적인 도전은 성공할 수 있을까요?

    ... 더 보기

    외식 온라인몰의 비밀: 한촌설렁탕엔 있고 더본코리아엔 없는 것

    더스쿠프

    외식 온라인몰의 비밀: 한촌설렁탕엔 있고 더본코리아엔 없는 것

     • 

    저장 1 • 조회 279


    대기업 전직 임원이 골프장 캐디가 된 이유

    ... 더 보기

    경험담)섣불리 판단하면 안되는 이유?


    주말에 한식 뷔페에서 식사하던 중,

    ... 더 보기

    ⟪디자인의 역할은 프로세스에서 낭비를 줄이고 생산성을 개선하는 것⟫

    ... 더 보기

    공공디자인, 중앙정부를 넘어 - 영국 디자인카운슬, 2025

    www.designdb.com

    공공디자인, 중앙정부를 넘어 - 영국 디자인카운슬, 2025

    < 완벽한 계획은 없다, 그런데 왜 계획을 세울까? >

    1. 작전계획이란게 왜 필요한 걸까?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4 • 조회 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