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브리핑 #15: AI 거품과 현명한 투자
The Core
최근 들어 AI 거품 얘기가 많이 나오고 있는데, 이에 대한 글을 잘 정리한 내용이 있어 공유해봅니다.
골드만 삭스의 “생성 AI: 너무 많은 비용, 너무 적은 이득?(Gen AI: Too much spend, too little benefit?)” 보고서
25년 6월 25일 발행된 31쪽 분량의 보고서
AI가 거품인 이유: AI에 대한 천문학적 수준의 투자 진행 또는 필요. but, AI로 인한 경제 수익까지 많은 시간 필요
MIT 경제학과 대런 아세모글루 교수의 주장 : AI 발전으로 인한 미국 생산성 향상과 그에 따른 GDP 상승 효과는 많은 전문가들이 예상하는 것보다 훨씬 낮을 것
새로운 세대의 AI 모델은 기하급수적으로 더 많은 컴퓨팅을 요구하며, H100과 B100으로 대표되는 컴퓨팅 파워는 결코 저렴하지 않음
더불어 데이터센터의 전기 수요도 급증.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 해당 제품 및 서비스의 가격은 상승
세쿼이아 캐피털의 “AI의 6,000억 달러 질문" 보고서
지금까지 AI에 6,000억 달러가 투자되었지만, 관련 매출은 약 1,000억 달러에 머물고 있다는 점
AI 칩의 감가상각: 엔비디아의 H100 -> B100구매 투자 예상, B100은 H100 대비 가격은 25% 저렴하고 성능은 2.5배 향상
기업의 이익 감소 - 감가상각비는 비용 항목 처리 => 기업의 순이익 감소 =>투자자들에게 부정적 신호 => 주식 가격 영향
기업의 자산가치 하락 => 기업 가치 영향 => 주식가치 영향
이코노미스트의 “인공지능 혁명에 무슨 일이 일어났나요?” 기사
2024년 7월 분석 기사
AI가 (아직까지) 비즈니스 혁신을 가져다 주지 못했다고 주장
AI 비용-GPU와 전기료-이 치솟고 있지만 관련 수익이 이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음
AI 도입 지연: 데이터 보안, 편향된 알고리즘, 환각에 대한 우려 등
아직 작은 업무에 적용되는 AI서비스: 도입을 하더라도 고객서비스(CS), 마케팅 등 상대적으로 작은 업무 범위에서 이용
-> 보다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주세요.
원문: https://thecore.media/aibriefing240715/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7월 14일 오후 3:10
토
... 더 보기1. 세상에 없던 새로운 건 모두 한 사람의 상상에서 시작된다. 그 결과인 창작물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미 육군 리더십센터는 리더십, 조직심리학, 인지과학 분야에서 세계 유수 연구기관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곳이다. 특히 불확실한 상황하에서의 의사결정, 위기 관리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미 육군 리더십센터의 연구성과 중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독성 리더십(Toxic Leadership)’에 관한 것이다.
... 더 보기회
... 더 보기미들캡 딜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준오헤어의 초기 매각가는 5000억원대로 거론됐다가 현재 8000억원대로 치솟았다. 블랙스톤 KKR 칼라일 등 글로벌 대형 PEF들이 관심을 보이면서 몸값이 올랐다는 게 업계의 후문이다. 한 IB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PEF들이 과거에는 조 단위 이상 대형 딜에만 집중했지만 최근에는 투자집행이 중요한 만큼 1조원 안팎의 거래라도 성장성이나 시너지가 있다고 판단되면 적극적으로 들여다보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 더 보기“왜 나는 욱하고 말았을까?” “왜 나는 그렇게 화를 분출했을까?” 회의 중, 메신저에서, 피드백을 주고받을 때 리더의 감정 폭발은 일순간에 리더십 전체를 흔들어놓는다. 그리고 회의가 끝나고 긴장이 풀리면 리더는 ‘지적의 정당성’과는 별개로 자신의 감정적 태도를 후회하고 자책한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