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인재 빼오자"… 실리콘밸리 덮친 中 빅테크
n.news.naver.com
각 산업영역에서 늘 비슷한 일이 일어나는데 그때마다 지켜만 보게되는 것 같은 이 기시감
———
파이낸셜타임스(FT),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해외 언론은 알리바바, 바이트댄스, 바이두 등 중국 최대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실리콘밸리에 AI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우수 인재 확보를 위한 대대적인 채용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FT는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IT 기업들이 지난 수개월간 실리콘밸리에서 급격히 업무 기반을 확장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 세계 최대 숏폼 콘텐츠 플랫폼 틱톡 운영사인 바이트댄스, 중국 최대 검색엔진 업체 바이두는 미국 경쟁 업체 직원 영입에 사활을 걸었다.
…
중국은 AI 인재 육성에도 적극적이다. 2018년부터 2000건이 넘는 대학 학부 과정에 AI 프로그램을 추가했다. 이 중 300건 이상이 최상위 대학이다. 240여 개 대학엔 AI 전공을 신설했다. 중국 AI ‘4대 천왕’ 스타트업으로 꼽히는 즈푸AI, 바이촨AI, 문샷AI, 미니맥스는 모두 칭화대 교수와 졸업생이 창업했다. 해외 유명 교수 영입에도 적극적이다. 2020년 중국 출신으로 미국 UCLA 교수로 재직 중이던 AI 석학 주쑹춘이 중국으로 귀국해 베이징범용AI연구원장을 맡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61092?sid=105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2월 1일 오전 1:34
1. 모든 학습 곡선에는 같은 패턴이 있다. 어떤 분야의 초보자가 있다고 하자. 이제 몇 가지 지식을 배운다. 그럼 마치 그 분야를 완전히 이해한 것처럼 느낀다. 누구나 0점에서 80점까지는 쉽다. 문제는 80점부터다. 전문가의 영역이다.
1. 커리어를 선택하는 기준은 다양하다. 일단 내가 가진 가치관이 가장 큰 영향을 준다. 남들의 시선과 판단도 무시할 수 없다. 이직 트렌드와 경향도 살펴봐야 한다.
... 더 보기1. 유명한 경제학자 케인스는 단기 투자 전략을 미인선발대회에 비유했다.
1. 자기 철학이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 그런 경지에 오르게 되는 것일까?
특히 AI·바이오·우주항공 등 기술 난도가 높은 분야에선 검증된 경력직 심사역이 희소하기 때문에, 수억원의 연봉을 제시하는 오퍼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평가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