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조선일보
1
우리 종의 예외적인 변화 능력을 설명하려면 다른 시각이 필요하다.
2
우리의 머릿속을 들여다봐서는 소용이 없다. 뇌 속에서 무언가가 일어났다는 것은 답이 될 수 없다.
3
뇌와 뇌 사이에서 무언가가 일어난 것이다. 이것은 집단적 현상이었다.
4
주먹도끼와 마우스를 한 번 보라. 둘 다 사람이 만든 것이다.
5
하지만 전자는 한 명이, 후자는 수백 명 어쩌면 수백만 명이 만들었다.
6
'집단지능'이란 바로 이런 뜻을 담고 있다.
7
개인으로서 컴퓨터 마우스 제조법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공장에서 마우스를 조립한 직원은 유정을 굴착하는 방법을 알지 못한다(플라스틱은 석유를 원료로 만든다). 그것을 아는 사람 역시 마우스 조립 방법은 모른다.
8
어느 시점에선가 인류의 지능은 집단적이고 누적적인 성질을 갖게 되었다. 다른 어떤 동물에게서도 볼 수 없었던 방식으로 말이다.
#이성적낙관주의자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2월 3일 오후 11:46
“실리콘밸리의 힘은 개인의 자율과 책임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 무슨 일이 있는지 구성원들이 알아야 한다. 소수의 리더가 관리·감독하며 이끄는 조직은 관료화될 뿐, 숨는 사람이 많아지고, 더 크게 성장하지 못한다.”
... 더 보기1. 커리어를 선택하는 기준은 다양하다. 일단 내가 가진 가치관이 가장 큰 영향을 준다. 남들의 시선과 판단도 무시할 수 없다. 이직 트렌드와 경향도 살펴봐야 한다.
... 더 보기안
... 더 보기1. 모든 학습 곡선에는 같은 패턴이 있다. 어떤 분야의 초보자가 있다고 하자. 이제 몇 가지 지식을 배운다. 그럼 마치 그 분야를 완전히 이해한 것처럼 느낀다. 누구나 0점에서 80점까지는 쉽다. 문제는 80점부터다. 전문가의 영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