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인기 아르바이트 플랫폼의 프로젝트가 극찬을 받은 이유.

'마이 네비바이트'는 일본에서 인기가 많은 아르바이트 구직 플랫폼인데,
(한국의 알바몬,알바천국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작년 '마이 네비바이트'가 아르바이트 직원을 돕겠다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 이 프로젝트가 큰 호평을 받았고 일본에서 현재까지 수백개의 기업이 이 프로젝트에 동참하면서 크게 확산이 되었다.

알바생을 돕겠다는 '마이 네비바이트'의 프로젝트에는 어떤 솔루션이 담겨 있을까?

https://bit.ly/49yi6BE

#일본광고 #스투시의마케팅노트

책 <마케터의 브랜드 탐색법>
https://bit.ly/3H10pgM

*협업/기업강연,교육 문의
https://linktr.ee/stussygo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2월 11일 오전 11:1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팀장으로 승진하는 사람들이 현실적으로 꼭 알아야 하는 6가지

    1. 성공을 하기 위해 꼭 관리자가 되어야 하는 건 아닙니다 : 많은 사람들이 (직장 생활에서) 더 많은 돈을 벌고, 지위도 올라는 길은 승진해서 관리자가 되는 것, 하나뿐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비슷한 연봉을 받고, 비슷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또 그러면서도 전반적

    ... 더 보기

    구글 AI 모드. 언어설정을 영어로 해놓아야만 보이는군요.

    ... 더 보기

    조회 380


    '소셜임팩트'란 무엇일까요? 아직 명확하게 합의된 기준은 없습니다. '소셜임팩트의 종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가 있지만 글로벌 차원의 기준이기 때문에 기업의 소셜임팩트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그래서 임팩트투자 크라우드펀딩 <비플러스>에서 나름의 기준을 세워서 공유했어요. '소셜임팩트'를 "사회의 빈 곳을 채워 긍정적인 영향력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정의하고, 그렇게 만들어진 영향력들의 분야를 분류했다고 합니다. 그렇게 6개 대분류, 19개 하위분류로 이루어진 '소셜임팩트 카테고리'를 선보였어요.   1. 로컬 - 도시이슈, 지역발전  2. 삶 - 문화, 교육, 빈곤, 주거, 건강  3. 환경 - 1차산업, 동물, 에너지, 자연보호  4. 연대 - 공동체, 소상공인, 공유경제  5. 사람 - 취약계층, 다양성, 여성, 청년  6. 혁신   자세한 분류 설명은 아래 링크를 눌러보세요!

    비플러스가 사회적가치를 분류하는 법, '소셜 임팩트 카테고리'를 소개합니다

    Naver

    비플러스가 사회적가치를 분류하는 법, '소셜 임팩트 카테고리'를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