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요약] 2014년 국내 방송사 클립VOD의 유통/광고권한을 위임받은 SMR은 유튜브에서 콘텐츠를 철수시켰다. 그리고 5년 만에 유튜브 공급을 재개한다. 단, 홀드백을 둔다. 국내 플랫폼에는 방송 직후 클립들이 올라간다면, 유튜브에는 방송 후 3~5일 이후 제공된다. [이 뉴스를 고른 이유] 기사에서 이 대목이 인상적이었다. _ "SMR 권철 대표는 "유튜브에 일정 기간을 두고 콘텐츠를 공급하는 이유는 국내 플랫폼이 클립VOD 제공 초기에 트래픽이 몰리는 '빅헤드' 형태의 소비가 높지만, 추천을 기반으로 한 유튜브는 초기 이후에도 상당한 트래픽이 발생하는 '롱테일' 형태의 소비가 이뤄지는 점을 반영한 전략"이라고 밝혔다. _ 유튜브를 전략적으로 무시할 수 없게 된 상황이고, 롱테일 이슈가 커졌다는 인상을 받았기 때문. 콘텐츠 비즈니스는 결국 롱테일한 구조 안에 들어가야 한다. 그를 위한 조건들을 만드는 게 쉽지 않아서 함부로 시작할 수 없는 영역이기도 하다. [그래서...?] 조건을 달았지만 사실상 SMR이 5년 전과 달리 유튜브에 투항한 그림 같다. 유튜브의 영향력은 더욱 커질 것이다. 2020년에는 OTT의 전환점이 될 것 같다. 드라마/예능/영화 같은 영상 콘텐츠 뿐 아니라 거기에 연결되어 있는 문학, 음악, 패션 등의 업계에도 영향이 있을 거다. 어떤 움직임이 나올까, 궁금함.

SMR, 유튜브에도 국내 방송사 클립 제공한다

Naver

SMR, 유튜브에도 국내 방송사 클립 제공한다

2019년 12월 14일 오전 9:46

댓글 0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