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요약] 2014년 국내 방송사 클립VOD의 유통/광고권한을 위임받은 SMR은 유튜브에서 콘텐츠를 철수시켰다. 그리고 5년 만에 유튜브 공급을 재개한다. 단, 홀드백을 둔다. 국내 플랫폼에는 방송 직후 클립들이 올라간다면, 유튜브에는 방송 후 3~5일 이후 제공된다. [이 뉴스를 고른 이유] 기사에서 이 대목이 인상적이었다. _ "SMR 권철 대표는 "유튜브에 일정 기간을 두고 콘텐츠를 공급하는 이유는 국내 플랫폼이 클립VOD 제공 초기에 트래픽이 몰리는 '빅헤드' 형태의 소비가 높지만, 추천을 기반으로 한 유튜브는 초기 이후에도 상당한 트래픽이 발생하는 '롱테일' 형태의 소비가 이뤄지는 점을 반영한 전략"이라고 밝혔다. _ 유튜브를 전략적으로 무시할 수 없게 된 상황이고, 롱테일 이슈가 커졌다는 인상을 받았기 때문. 콘텐츠 비즈니스는 결국 롱테일한 구조 안에 들어가야 한다. 그를 위한 조건들을 만드는 게 쉽지 않아서 함부로 시작할 수 없는 영역이기도 하다. [그래서...?] 조건을 달았지만 사실상 SMR이 5년 전과 달리 유튜브에 투항한 그림 같다. 유튜브의 영향력은 더욱 커질 것이다. 2020년에는 OTT의 전환점이 될 것 같다. 드라마/예능/영화 같은 영상 콘텐츠 뿐 아니라 거기에 연결되어 있는 문학, 음악, 패션 등의 업계에도 영향이 있을 거다. 어떤 움직임이 나올까, 궁금함.

SMR, 유튜브에도 국내 방송사 클립 제공한다

n.news.naver.com

SMR, 유튜브에도 국내 방송사 클립 제공한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19년 12월 14일 오전 9:4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경험담)섣불리 판단하면 안되는 이유?


    주말에 한식 뷔페에서 식사하던 중,

    ... 더 보기

    < 초동 100만 장, 그런데 팬은 어디 있죠? - 엔터 테크와 데이터로

    1

    ... 더 보기

    < 완벽한 계획은 없다, 그런데 왜 계획을 세울까? >

    1. 작전계획이란게 왜 필요한 걸까?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4 • 조회 716


    ⟪디자인의 역할은 프로세스에서 낭비를 줄이고 생산성을 개선하는 것⟫

    ... 더 보기

    공공디자인, 중앙정부를 넘어 - 영국 디자인카운슬, 2025

    www.designdb.com

    공공디자인, 중앙정부를 넘어 - 영국 디자인카운슬, 2025

    최고의 리더가 되기 위한 덕목을 알려주는 지식은 수없이 많다. 대표적인 것이 2008년 구글이 발표한 ‘산소 프로젝트’다. 구글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팀장급 이상 관리자의 인사자료 1만 건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실시했다.

    ... 더 보기

    ‘최악의 리더십’ 평가 받은 리더들의 공통적 특징 살펴보니…

    비즈N

    ‘최악의 리더십’ 평가 받은 리더들의 공통적 특징 살펴보니…

    두 가지 목표가 있다. 어떤 목표가 학습 동기를 높인다고 생각하는가?

    ... 더 보기

    쉽고 재밌기만 한 교육은 독이다

    ㅍㅍㅅㅅ

    쉽고 재밌기만 한 교육은 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