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케이팝의 '케이'는 어떤 의미일까? 단순히 '한국'이라고 번역은 되지만 그 맥락은 좀 더 복잡할 것이다. 한국적, 한국성, 한국의 등으로 읽힌다고 해도 소비 과정에서 그 맥락은 겹겹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케이'는 문화적이면서도 정치적일 수밖에 없다. 문화정치학적 관점으로 케이팝을 들여다보는 칼럼. [이 뉴스를 고른 이유] 내용도 내용이지만, 기사 마지막에 "이 글은 깊이 읽어야 할 주제를 다루는 콘텐츠 서비스 북저널리즘 신간 '갈등하는 케이, 팝' 내용을 압축, 정리한 것입니다. 전문은 북저널리즘 웹사이트에서 읽어 보실 수 있습니다."라는 안내문이 있다. 북저널리즘과 조선일보의 '위클리비즈'의 협업 사례. 콘텐츠 비즈니스에서는 노출이 제일 중요하다는 점에서, 위클리비즈는 그 자체로 플랫폼이 된다. 2020년 기준에서 사업 구조를 고민할 때 콘텐츠/플랫폼의 경계를 구분할 필요가 없는 이유. [그래서...?] 케이팝은 더 확장될 것이다. 개인적으로 관심이 더 가는 영역은 산업구조 안에서 케이팝의 유통과 소비, 그러니까 마케팅/미디어믹스 영역이다. 고민하는 영역을 좀 더 잘게 쪼갤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미국인이 한국어로 부른 K팝, 태국인이 영어로 부른 K팝... 인기 갈렸다

Chosun

미국인이 한국어로 부른 K팝, 태국인이 영어로 부른 K팝... 인기 갈렸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월 17일 오전 6:2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