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종이책을 읽어야만 독서인가. 난 책을 고르기만 하는 것도, 또 베스트셀러가 뭔지 검색하는 것도 다 독서의 범주라고 생각한다. 이런 독서와 관련한 일상에 관심이 많다. 그동안 이런 독서의 가치가 너무 억눌려 왔다. 1년에 책 1권도 제대로 안 읽는 95% 사람들도 이런 욕구는 다 있다. 그런 사람들이 우리의 잠재 고객이다.” '독서의 범주'를 다르게 정의했다. 책을 안 읽는 95%가 메인 타겟이 되었다. 교보가 아닌 페이스북, 유튜브와 경쟁한다. 출판계에 만연한 상식을 깨는 '문제적 기업' 밀리의 서재가 죽은 듯 고여있던 출판시장에 파란을 일으킨 비결.

[안혜리의 비즈니스 현장에 묻다] "책 안 읽는 95%가 희망입니다"

중앙일보

[안혜리의 비즈니스 현장에 묻다] "책 안 읽는 95%가 희망입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월 22일 오전 12:5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1 • 조회 1,258


    '망한 디자인'이었나 싶었는데..알고 보니 고도의 마케팅!

    ... 더 보기


    왜 좋은 콘텐츠를 수시로 업데이트 받아야 하는가?

    1

    ... 더 보기

    [25년 6월] 썸원 프라임 멤버십 모집 안내

    somewon on Notion

    [25년 6월] 썸원 프라임 멤버십 모집 안내


    《달리는 마음, 일하는 마음》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