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버전,중요도 같은 메타 정보를 파일명에 우겨넣는 원래 디자인 의도와는 다른 사용 행태를 보면 흥미롭습니다. 그 간극에서 사용자의 이용 맥락과 만족되지 못한 니즈를 읽을 수 있기때문입니다. 파일명이 메일이나 다른 os에서도 공통적으로 지원하는 메타 정보라 이 안에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우겨넣는게 유용하기 때문일 것 같은데요. 암튼 정보를 담은 파일명은 타인과 공유할 때 특히 더 중요합니다. 메일에 "이력서.hwp" 같은 파일을 첨부하면 상대의 사회적 경험에 대해 의심을 할 수 밖에 없거든요. 나에게는 충분한 정보이지만 상대의 맥락에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신입사원부터 C 레벨까지 습관 들이는 파일명 작성 규칙

ㅍㅍㅅㅅ

신입사원부터 C 레벨까지 습관 들이는 파일명 작성 규칙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월 24일 오전 10:4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누구나 특정 회사에 들어서는 순간 느끼는 회사마다의 분위기가 있다. 가정도 마찬가지이다. 분위기가 엄해보이는 집, 까불까불한 집, 대화는 없어도 화목해보이는 집.

    ... 더 보기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사례뉴스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간만에 공개 발표를.. 이번 주 토요일,

    ... 더 보기

    Build with AI 2025 Seoul - 이벤터스

    event-us.kr

    Build with AI 2025 Seoul - 이벤터스

    조회 1,206


    요즘 사람들이 가장 많이 AI를 활용하는 분야 Top 10

    1

    ... 더 보기

    How People Are Really Using Gen AI in 2025

    Harvard Business Review

    How People Are Really Using Gen AI in 2025

     • 

    저장 4 • 조회 707


    서비스 텐션

    ... 더 보기

    서비스 텐션

    K리그 프로그래머

    서비스 텐션

     • 

    댓글 1 • 저장 5 • 조회 3,744


    < '네이버 다녀요'라는 말에 아무도 무슨 일을 하는지는 묻지 않았다 >

    1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