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시사저널의 BTS 특집이다. 작정한 듯 총망라. 물론 이미 나온 얘기를 반복한다는 인상도 있고, 어떤 꼭지에서는 별다른 내용이 없기도 하지만, 이 기사는 세대, 커뮤니케이션 등의 이슈를 다룬다는 점에서 공유하고 싶었다. [함께 읽고 싶은 부분] "인류 대부분을 연결하는 소셜 미디어는 인간의 사회적 욕구를 실현한 새로운 기술 환경을 제공한다. 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를 통해 새로운 부족이 탄생하는 이유는 서로 호혜적 연대를 맺으려는 사람들의 본능과 관습에서 기인한다. 온라인 소셜 네트워킹을 통해 상호 연결성의 진화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자유시장에서 분리되고 파편화된 개인들은 새로운 관계 맺기를 통해 사회적 인간의 욕구를 충족한다. 계급, 정당, 국가가 사라지는 자리에 새로운 작은 공동체가 자리를 잡는다. 영화 《매트릭스》가 포스트모던 현상의 상징이었듯이 방탄소년단과 아미도 새로운 시대적 징후로 해석돼야 한다." [코멘트] BTS는 예외적이면서 징후적이다. 음악산업, 그러니까 '팝 산업'의 변화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징후적이고 BTS의 성과를 공식화/도식화 할 수 없다는 점에서 예외적이다. 바로 그 점이 BTS에 대해 계속 얘기하게 만드는 이유일테지만, 개인적으로는, 이제 BTS가 아닌 다른 팀의 성과 혹은 징후에 대해서 더 많이 얘기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럴 타이밍처럼 느껴지는 게, 내가 이런 얘기들에 너무 익숙해져서일지도 모르겠지만...)

[BTS 혁명] 파편화된 개인들의 새로운 관계 맺기

시사저널

[BTS 혁명] 파편화된 개인들의 새로운 관계 맺기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2월 27일 오후 1:0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초동 100만 장, 그런데 팬은 어디 있죠? - 엔터 테크와 데이터로

    1

    ... 더 보기

    < '모든 것을 받아들이기'의 진짜 의미 >

    1.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으면 현재를 살게 된다.

    ... 더 보기

    네이버가 미국 실리콘밸리에 네이버벤처스를 설립한다. 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신규 자회사다. 글로벌 인공지능(AI) 기술과 인재를 현지에서 적극 발굴해 네이버의 AI 전략과 시너지를 내겠다는 계획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3월 이사회 의장으로 복귀한 이해진 창업자(사진)가 AI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던진 승부수라는 해석이 나온다.

    ... 더 보기

    실리콘밸리에 VC 만드는 네이버…"AI 총력전"

    한국경제

    실리콘밸리에 VC 만드는 네이버…"AI 총력전"

    🍚한촌설렁탕의 파격적인 도전은 성공할 수 있을까요?

    ... 더 보기

    외식 온라인몰의 비밀: 한촌설렁탕엔 있고 더본코리아엔 없는 것

    더스쿠프

    외식 온라인몰의 비밀: 한촌설렁탕엔 있고 더본코리아엔 없는 것

    👕무신사가 마뗑킴 일본 매장을 성공시킨 비결은

    ... 더 보기

    무신사가 마뗑킴 일본 매장을 성공시킨 비결은

    뉴닉

    무신사가 마뗑킴 일본 매장을 성공시킨 비결은

    ⟪디자인의 역할은 프로세스에서 낭비를 줄이고 생산성을 개선하는 것⟫

    ... 더 보기

    공공디자인, 중앙정부를 넘어 - 영국 디자인카운슬, 2025

    www.designdb.com

    공공디자인, 중앙정부를 넘어 - 영국 디자인카운슬,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