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일본에서 스타트업 창업이 활발하지 않은 이유 》 쿠팡, 무신사, 오늘의 집, 당근 마켓 등 최근 한국에서는 스타트업이 주요 소비문화를 이끌어가며 우리의 일상 곳곳에 스며들어 있다. 그러나 일본은 조금 사정이 다르다. 일본에서 '스타트업'이라고 했을 때 딱 떠오르는 기업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은 건 기분탓일까. 기껏해야 중고 거래 플랫폼 '메루카리(メルカリ)’나 최근 페이팔에 인수된 후불 결제 기업 '페이디(Paidy)'정도다. 일본은 아직 대기업에서 주요 소비시장을 꽉 잡고 있다는 인상이 강하다. 일본은 세계 3위의 경제대국이지만, 스타트업에 대한 벤처캐피털(VC) 투자가 주요 선진국 대비 저조하다. CB인사이트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일본의 유니콘 스타트업(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의 비상장기업)은 6개사에 불과하다. 창업률도 여타 선진국 대비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일본이 경제규모에 비해 스타트업 생태계가 활발하지 않은 이유로써 다음 3가지를 생각해볼 수 있다. 첫째, 리스크를 극도로 회피하는 비즈니스 문화 둘째, 정보통신기술(ICT)에 대한 기업의 소극적인 투자 셋째, IT인재 부족 및 창업을 회피하는 일본 청년들 일본의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 우리나라 스타트업이 끊임없이 혁신을 위해 도전할 수 있는 환경과 사회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고민해봐야 할 부분이다.

일본에서 스타트업 창업이 활발하지 않은 이유

성수동 힙스터의 스타트업 이야기

일본에서 스타트업 창업이 활발하지 않은 이유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0월 13일 오전 12:0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완벽한 계획은 없다, 그런데 왜 계획을 세울까? >

    1. 작전계획이란게 왜 필요한 걸까?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4 • 조회 721


    최고의 리더가 되기 위한 덕목을 알려주는 지식은 수없이 많다. 대표적인 것이 2008년 구글이 발표한 ‘산소 프로젝트’다. 구글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팀장급 이상 관리자의 인사자료 1만 건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실시했다.

    ... 더 보기

    ‘최악의 리더십’ 평가 받은 리더들의 공통적 특징 살펴보니…

    비즈N

    ‘최악의 리더십’ 평가 받은 리더들의 공통적 특징 살펴보니…

    경험담)섣불리 판단하면 안되는 이유?


    주말에 한식 뷔페에서 식사하던 중,

    ... 더 보기

    < '모든 것을 받아들이기'의 진짜 의미 >

    1.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으면 현재를 살게 된다.

    ... 더 보기

    👕무신사가 마뗑킴 일본 매장을 성공시킨 비결은

    ... 더 보기

    무신사가 마뗑킴 일본 매장을 성공시킨 비결은

    뉴닉

    무신사가 마뗑킴 일본 매장을 성공시킨 비결은

    < 초동 100만 장, 그런데 팬은 어디 있죠? - 엔터 테크와 데이터로

    1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