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덕트 매니저의 다이어리] 플랫폼을 구상하다보면 최종적인 컨텐츠의 상이 없이 로직을 설계하는데 매몰될 때가 있다. A와 B가 일단 논리적으로 이어지기만 하면 의미가 창출될거라고 막연히 믿는다. 플랫폼을 만들 때 가장 많이 하는 실수는, A와 B라고 하는 노드를 탁상공론으로 떠올린 후 거창하게 포지셔닝 시킨 다음, 일필휘지로 플랫폼 설계를 마무리 짓는 것이다. 직관적으로 설정된 노드는 PoC나 MVP를 거쳐 검증해야 하는 가설로 취급되어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실천적 시장 조사이다. 빠른 검증 후 실패했다고 판단되는 노드는 과감하게 버려야 한다.

플랫폼과 컨텐츠의 관계

Brunch Story

플랫폼과 컨텐츠의 관계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0월 30일 오후 11:4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단순 비교 말고 영감 얻는 벤치마킹 하려면

    "

    ... 더 보기

    카피 아닌 벤치마킹. 뭐가 다를까?

    Brunch Story

    카피 아닌 벤치마킹. 뭐가 다를까?

    < 상대방이 스스로 이겼다고 착각하게 만들어라 >

    1. 설득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설득하지 않는 것'이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2 • 조회 653


    < 우리 유전자에 각인된 가장 오래된 공포 >

    1. 우리 몸은 신체적 위험처럼 '거절'에 반응한다. 과거에 거절이 곧 우리 인간 종을 신체적 위험에 처하도록 만들었기 때문이다.

    ... 더 보기

    < 매일 아침 헬스장 가기 싫은 당신에게 >

    1. 두 선택지가 팽팽히 맞서고 어느 한쪽이 단기적으로 더 고통스럽다면 그 길이 장기적으로 이익일 가능성이 높다. 복리의 법칙에 따라 당신은 장기적인 이익을 선택해야 한다.

    ... 더 보기

    요즘 '바이브 코딩'이라는 단어 자체가 유행이긴 하구나 싶습니다. 워낙 가타부타 말이 많아서요. 그래서 '근본'의 말을 들어보고 싶었습니다. 바이브 코딩의 창시자 안드레이 카파시는 역시 단순히 그 자체에 집중하기보다 '소프트웨어의 발전사'라는 큰 그림에서 바이브 코딩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어떻게 발전해 나가야 할지 보고 있었어요.

    ... 더 보기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서울대 출신 90만 유튜버 김진짜의 첫 책 <진짜의 마인드>를 읽었다. ‘삶의 본질에 집중하는 태도에 관하여‘라는 카피에 혹해서. 무엇보다 JTBC 축구 예능 ‘뭉쳐야 찬다’에서 본 그의 유니크한 플레이의 근원이 궁금해서.

    ... 더 보기

    서울대 출신 90만 유튜버 김진짜가 사는 법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n.news.naver.com

    서울대 출신 90만 유튜버 김진짜가 사는 법 [김지수의 인터스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