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 지식 노동자의 생산성 📝 Type & Highlight [Highlighted🖍] ✅ 과학적 관리법을 통한 육체 노동자의 생산성 테일러는 산업화 시기에 공장 노동자들의 작업 패턴을 연구하여 과학적 관리법을 만들어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테일러를 ‘인간을 도구화시킨 사람'이라고 기억하지만, 그에 대한 평가가 과소평가 되었다는 시각도 있다. 자본주의가 힘에 부쳐 무너질 것이라는 마르크스의 주장과 달리, 20세기 말의 노동 생산성은 50배까지 향상되었고,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은 국가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 ✅ 현대 사회에서의 테일러리즘 테일러는 노동자의 작업 생산성 향상을 위해 연구했고, 그 결과 과학적 관리법이 탄생했다. 하지만 노동자의 대부분이 지식 노동자인 현대 사회에서, 테일러리즘은 더이상 유효하지 않다. 생산성에 있어서 시공간의 제약이 있었던 20세기 산업혁명 시대와 달리, 오늘날의 사회는 생산성에 한계가 없는 자원인 ‘지식’을 기반으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 현대 사회와 지식 노동자의 생산성 지식 노동자의 생산성의 핵심은 ‘Self-management’이다. 지식 노동자는 높은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스스로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인지해야하며, 자신이 소유한 모든 자원을 생산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원을 최대한으로 사용하는 효율성과, 그 자원을 목적성 있게 활용하는 창의성이 필요한 것이다. [Typed⌨️] 지식 노동자의 생산성의 핵심은 효율성과 창의성입니다. 이제는 ‘무엇을 얼만큼 생산할 것인가’보다 ‘지식을 어떻게 관리하고 활용할 것인지’에 초점을 맞춰 사고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지식노동자의 생산성

Brunch Story

지식노동자의 생산성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1월 23일 오전 7:5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망한 디자인'이었나 싶었는데..알고 보니 고도의 마케팅!

    ... 더 보기

    누구나 특정 회사에 들어서는 순간 느끼는 회사마다의 분위기가 있다. 가정도 마찬가지이다. 분위기가 엄해보이는 집, 까불까불한 집, 대화는 없어도 화목해보이는 집.

    ... 더 보기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사례뉴스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 

    저장 6 • 조회 687


    < '네이버 다녀요'라는 말에 아무도 무슨 일을 하는지는 묻지 않았다 >

    1

    ... 더 보기

    왜 좋은 콘텐츠를 수시로 업데이트 받아야 하는가?

    1

    ... 더 보기

    [25년 6월] 썸원 프라임 멤버십 모집 안내

    somewon on Notion

    [25년 6월] 썸원 프라임 멤버십 모집 안내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1 • 조회 1,222


    PM이 이해하면 좋은 지표 개념

    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