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O 역할의 진화> 1/ 시대별로 마케터의 역할은 변모해왔다. 제품을 홍보하기 위한 광고 캠페인을 설계하고 TV 등 미디어 채널에 실행하는 역할에서 최근에는 비즈니스의 성장을 주도하는 전략적 업무까지 그 범위가 다양해졌다. 하지만, 역할이 확대된만큼 여전히 CMO의 역할이 조직마다 명확치 않은 것도 사실이다. 2/ 1950년대 마케팅은 소비자에게 제품을 홍보하기 위해 TV와 프린트 광고를 만드는 역할이었다. 주로 소비재 회사와 자동차 회사에서 마케팅 임원들이 활동했다. 3/ 1960년대 광고는 여전히 TV와 프린트물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과장된 홍보 문구보다는 고객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한 창의적이고 기억에 남는 마케팅 기법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 때부터 소위 말하는 광고 캠페인이 중요해지기 시작했다. 4/ 1970년대 마케팅에 분석 기법들이 활용되기 시작했다. 고객을 세분화하고 고객에 대한 인사이트를 중요시하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마케터들은 제품 관리 (Product), 가격 정책 (Pricing), 홍보 (Promotion) 및 유통 (Place) 등 4P를 종합적으로 사고하기 시작했다. 5/ 1980년대 케이블TV, 홈쇼핑 등 고객이 접하는 매체가 다양해지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광고 효율에 대한 질문들이 마케터들을 괴롭히기 시작했다. 각 세일즈 채널에서 광고 효율성 측정이 중요해졌으며, 소비재 회사의 마케터들은 P&L을 책임지기 시작했다. 다른 산업에서도 브랜딩과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해지면서 마케터를 고용하기 시작했다. 6/ 1990년대 마케터의 역할이 전 산업 분야에 걸쳐 중요해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반대로 마케팅 임원의 역할이 모호해지기 시작한 시점이기도 하다. 브랜드 포지셔닝, 고객 세그멘테이션, 성장 등의 전략적 업무와 광고를 만들고, 직접적인 제품을 홍보하는 등의 실행적 업무간 균형점을 찾는 것이 애매해졌다. 이 시점에 마케팅 조직은 전사 마케팅 조직과 개별 사업부서의 마케팅 조직 간 매트릭스 조직 구조가 되기 시작했다. 고객 관계 관리(CRM)의 중요성이 부각된 시점이기도 하다. 7/ 2000년대 디지털 채널이 광범위하게 퍼지기 시작하면서 마케터의 역할도 변경되었다. 소셜 미디어가 중요해지면서, 온라인-오프라인 간 옴니채널 커뮤니케이션이 마케터의 중요한 업무가 되었다. 진성팬과 브랜드 간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관건이 되었다. 이때부터 CMO라는 용어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시작했다. CMO는 회사마다 a) 브랜딩과 커뮤니케이션, 광고 캠페인에만 국한된 역할만 수행하거나, 또는 b) 브랜드 전략 등 사업의 성장 전략을 담당하는 역할로 구분되기 시작했다. 8/ 2010년대에는 빅데이터와 AI가 마케팅의 영역에도 중요해지기 시작했다. CMO는 창의적인 인사이트를 다양한 미디어 채널에서 활용하고, 실질적인 사업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고객을 조직 내 의사결정의 중심에 두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한다. 하지만, 최근에 생긴 Chieft Customer Officer나 Chieft Customer Experience Officer과 같은 역할과 혼재되어 역할이 모호해지기 시작했다. <Caren Fleit, "The Evolution of the CMO", Harvard Business Review (July–August 2017)>

The Evolution of the CMO

Harvard Business Review

The Evolution of the CMO

2022년 1월 20일 오전 12:47

조회 553

댓글 0

지금 가입하고 개발 트렌드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개발 관심 분야 중 하나를 관심 분야로 선택하면 받아볼 수 있어요.

이메일로 가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