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백 관련 9가지 팁 in 골든해빗
PM/PO는 다른 직군들보다 "소프트 스킬"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데요, 실무적인 레벨에서 커뮤니케이션, 인간관계, 피드백 등 다양한 tip들을 제공해주는 책을 소개드립니다. 쿠팡, 부킹닷컴 등에서 PO를 맡으셨던 경험을 기반으로 쓰신 글이라 PM/PO분들께 더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
그 중 피드백에 대한 팁의 제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내가 먼저 피드백을 요청한다.
2️⃣ 먼저 허락을 구하라.
3️⃣ 보고 관찰한 내용을 얘기하라. 판단하지마라.
4️⃣ 상대방의 행동으로 인한 영향을 얘기해줘라.
5️⃣ 생각할 시간을 줘라.
6️⃣ 1:1로, 편안한 상황에서 피드백을 전달하자.
7️⃣ 바로 피드백을 줘라.
8️⃣ 진심 어린 긍정의 피드백도 함께 줘라.
9️⃣ 어색하면 회의실을 피해라.
3️⃣은 '판단이 아니라 자신이 보고 느낀 점을 사례와 함께 상세히 얘기해줘라. 이것은 최대한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내가 상대방을 판단하지 않고 있다는 걸 보여준다' 이야기입니다.
안그래도 '피드백'이라는 것 자체가 부담스러운데, 피드백을 듣는 사람에게 감정적인 부담을 덜어드리기 위해서라도, 어떤 상황situation에서 어떤 행동behavior에 대한 것인지 구체적으로 이야기하고, 그에 대한 '나의' 판단은 빼고 이야기를 시작해보면 어떨까요?
"미팅할 때 보면 자꾸 주제에 벗어난 이야기를 하는 것 같은데.." 🙅♂️
"어제 미팅때 OOO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을 때, ㅁㅁㅁ에 대해서 이야기 꺼낸 이유가 있을 것 같은데.." 🙆♂️
'소셜임팩트'란 무엇일까요? 아직 명확하게 합의된 기준은 없습니다. '소셜임팩트의 종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가 있지만 글로벌 차원의 기준이기 때문에 기업의 소셜임팩트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그래서 임팩트투자 크라우드펀딩 <비플러스>에서 나름의 기준을 세워서 공유했어요.
'소셜임팩트'를 "사회의 빈 곳을 채워 긍정적인 영향력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정의하고, 그렇게 만들어진 영향력들의 분야를 분류했다고 합니다. 그렇게 6개 대분류, 19개 하위분류로 이루어진 '소셜임팩트 카테고리'를 선보였어요.
1. 로컬 - 도시이슈, 지역발전
2. 삶 - 문화, 교육, 빈곤, 주거, 건강
3. 환경 - 1차산업, 동물, 에너지, 자연보호
4. 연대 - 공동체, 소상공인, 공유경제
5. 사람 - 취약계층, 다양성, 여성, 청년
6. 혁신
자세한 분류 설명은 아래 링크를 눌러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