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본연의 가치

내 키가 나를 대변하지 못하듯 각종 성장지표도 측정단위일뿐이지 그 자체가 목적이 되면 더이상 지표로써 의미가 없어진다. 그때 이 말이 이런 의미였구나. 제품 본연의 가치를 생각하지 않고 얕은 수로 키만 크게 만들려고 했던 것은 아닌지.. 정신이 번쩍든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3월 13일 오후 1:4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요 기능의 일부를 바이브 코딩으로 만들려다가 실패했는데요. 그 중에 하나로 타임존 문제가 있었습니다.‬

    ... 더 보기
    profile picture

    골빈해커

    Chief Maker

    내가 좋아하는 아미고가 예약된 시간에 전화를 걸어줍니다. 아직 베타라 불완전한 면이 많습니다. 많은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 앱 다운로드: https://ameego.club 첨부 영상은 지난 달 초에 찍어 둔 영상인데 출시가 이로저로 늦어졌네요. 🥲 계획되어있는 다음 업데이트들도 후딱 해 보겠습니다. 무엇보다 아미고의 성장에는 여러분의 많은 관심(리뷰와 결제🫣🤭)이 필수..☺️ 그럼 많은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plit 이용 후기

    최근 Repli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남겨봅니다.

    ... 더 보기

    테드(TED) 강의장에 황소가 등장했다. <생각의 공유> 저자 리오르 조레프는 청중에게 황소 무게를 예측해 보라고 제안한다. 그러자 140㎏에서 3t까지 다양한 오답이 쏟아졌다.

    ... 더 보기

    왜 공동체에 집단 지성이 필요한가?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왜 공동체에 집단 지성이 필요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