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하는 조직을 만드는 방법

조직문화에 대해 이야기할 때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이 소통문화입니다. 각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의견 등을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는 조직문화가 형성 될 때 이를 바탕으로 조직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조직의 소통문화 구축을 위해 1on1과 동료피드백 도입을 필수인데요. 1on1과 동료피드백 내용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글이 있어 공유드립니다. 😎1on1과 동료 피드백이 중요한 이유 소통의 부재는 조직이 위험에 처했을 때 큰 위기로 다가옵니다. 경직되고 수직적인 조직문화 속에서 대표가 주장하는 사업모델이 대표를 제외한 모든 구성원에게는 '실패가 당연한' 사업이더라도 아무도 이러한 의견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몇 번 반복하다보면 조직이 침몰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합니다. 의견 교류가 없었기에 상대적으로 빠르게 업무를 처리한다고 느꼈던 것의 몇 배로, 더욱 빠르게 조직이 침몰할 수 있습니다. 🤾소통문화를 구축하기 위해선 1on1과 동료 피드백은 필수 입니다. 1on1은 리더와 멤버가 만난다는 점에서 소통을 습관화하기에 용이하고, 목표 달성 과정에서 나타난 어려움을 솔직하게 공유했을 때 더 좋은 성과가 창출된다는 점을 직접 경험하면서 솔직한 소통의 중요성을 깨닫기 위한 가장 좋은 수단입니다. 동료피드백은 상시적으로 언제든 구성원과 주고받을 수 있는 CFR 활동입니다. 협업했던 동료들이 남겨준 동료피드백은 구성원으로 하여금 자신의 강점과 보완이 필요한 점을 인식 할 수 있게 해주고 리더 입장에서는 자신이 미처 파악하지 못했던 부분들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합니다. 🏃‍♂️1on1과 동료피드백 활용방법 - 멤버가 받은 긍정적 피드백에 대해 리더의 공감을 표현해주세요. 1on1에서 동료의 피드백에 대해 공감을 표하거나 리더로서 느꼈던 유사한 사례를 제시하면, 멤버는 동료피드백 하나를 받았을 뿐인데 두 번의 인정을 받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정은 구성원을 몰입하게 만드는 주요 동력으로 작용합니다. - 멤버가 받은 부정적 피드백에 대해 리더의 의견과 함께 도움을 제시해보세요. 멤버가 받은 피드백의 내용을 확인하고 리더로서 해당 부분에 공감하는지에 대해 1on1에서 이야기를 나눠보세요. 혹여 피드백이 부적절하다고 생각되면 그러한 의견을 전달하는 것도 좋습니다. 부정적 피드백의 수용 여부에 대해서는 온전히 멤버의 결정사항이기에 멤버가 자신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도움을 제공하는 측면으로 바라보세요. 또한 해당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리더로서 도움을 제공할 부분이 있을지에 대해 멤버의 의견을 물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동료피드백을 활성화 하는 방법 - 리더가 먼저 해당 멤버에게 동료피드백을 작성해보세요. 동료피드백 작성을 어려워하는 가장 큰 이유는 '피드백을 위한 글 작성이 어렵게 느껴져서'입니다. 먼저 리더가 간단한 동료피드백을 남겨보세요. 해당 피드백을 받은 멤버는 '짧은 글이어도 피드백의 내용만 잘 담기면 되는구나'라고 느끼는 계기로 작용해 동료 피드백에 대한 부담감을 내려놓을 수 있게 됩니다. - 1on1에서 멤버가 작성한 피드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세요. 멤버가 자신이 작성한 피드백에 대해 자신감이 없다면 1on1을 통해 멤버가 작성한 피드백을 함께 살펴보며 코칭해주세요. 특히 멤버가 쓴 피드백 중 참고로 삼으면 좋을 피드백을 명확하게 짚어주면 멤버 입장에서는 레퍼런스가 생겨 피드백 작성에 대한 어려움이 줄어들 것입니다.

소통하는 조직을 만드는 방법 - 1on1과 동료피드백

CLAP 블로그

소통하는 조직을 만드는 방법 - 1on1과 동료피드백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4월 24일 오후 3:45

조회 2,03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우리가 음악에 중독되는 이유 (feat. 도파민) >

    1. 우리는 음악이 우리의 기대를 충족하고 우리의 기대를 위반 하는 방식에서 즐거움을 얻는다.

    ... 더 보기

    디자인 컴포넌트 기반 AI 프로토타이핑

    A

    ... 더 보기

    - YouTube

    YouTube

     - YouTube

     • 

    저장 15 • 조회 834


    < 성공한 사람들은 ‘의도적으로’ 선택한다 >

    1. '의도적'은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단어다. 우리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일한 핵심 단어일 수도 있다.

    ... 더 보기

    《초여름》

    ... 더 보기

    《친구의 취향》

    ... 더 보기

    ⟪토스가 만든 리서치툴, TNS⟫

    ... 더 보기

    토스가 특허 낸 리서치툴, TNS (Toss Navigation Score) 제작기

    toss.tech

    토스가 특허 낸 리서치툴, TNS (Toss Navigation Score) 제작기

     • 

    저장 3 • 조회 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