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드디어 핀란드에도]
핀란드가 지난주 금요일, 드디어 마스크 착용 일상화를 선언했습니다. (드디어! ㅠㅠ) 물론... 여전히 '의무'가 아니라 '권고' 수준이라 마스크 미착용 시 징벌적 조항은 없습니다. 하지만 사람 눈치 보이게 한다는 점에서 "사실상" 의무화에 가깝습니다.
1. 정부가 마스크 착용 권고를 내린 지 하루가 채 안되어 대중교통에서 마스크를 착용하는 핀란드인의 수가 눈에 띄게 늘었습니다. 마치 기다렸다는 듯이 정부 지침을 지키는 시민들의 모습이 사뭇 신기합니다. (오오 핀란드 오오) 제 주변 핀란드 분들은 이를 두고 "우리가 스웨덴과는 다르다는 걸 보여주겠어"라며 각오를 다지시기도 하더군요.
2. 핀란드 질본(THL)은 마스크 착용 권고에 대해 지난 6개월 간 뾰로통한 반응을 보여왔습니다. 핀란드 의료계 전문가들이 마스크 권고를 하라고 공개적으로 서한을 보내면 THL과 (스웨덴 집단면역을 옹호하는) 소수 의료진들이 마스크의 과학성이 입증되지 못했다며 이를 묵살하는 과정이 반복되어 왔죠. (할많하않...) 그러나 핀란드 내 2차 파동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일부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마스크를 의무화시키기에 이르자 결국 THL이 한발 물러난 양상입니다.
3. 사회복지국가인 핀란드에서는 무언가를 '의무화' 함은 국가가 이에 대한 상응하는 책임을 지겠다는 의미로 통합니다. 그래서 의무교육은 무상교육을 의미하고, 의무적으로 내는 높은 소득세는 국가가 그만큼의 복지를 제공하고 책임지겠다는 것에서 기반하죠. 개인이나 국가 어느 한쪽이 일방적인 희생을 하지 않도록 끊임없이 균형을 꾀합니다. 오히려 그래서 핀란드 당국은 섣불리 마스크를 의무화시키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마스크를 '의무화'하려면 정부가 국민들에게 무상으로 마스크를 나누어주거나 혹은 이에 상응하는 무언가를 제시해야 할 터인데... 그럴 여력이 되지 못하기 때문이죠. 코로나 19 시작부터 핀란드는 PPE 수급에 어려움을 겪었고 이제는 글로벌 경제위기 마저 북유럽을 덮쳐오고 있거든요.
4. 이에 지난주 초, 핀란드 정부는 (사실상) 마스크 의무화를 내놓기 며칠 전에 우선 국민에 대한 사과와 양해를 구하는 입장문을 먼저 내놓았습니다. 마스크를 구매하는데 필요한 금액을 나라에서 어느 정도 지원을 해줄 수 있으나 제한적일 것이라는 점, 이에 마스크는 결국 개인이 부담해야만 한다는 점, 다만 마스크를 꼭 껴야만 현장근무가 가능한 직군(건축, 교통 등)은 법인이 마스크 구매 비용을 부담해 직원에게 지급하도록 할 것이라는 점 등을 국민들에게 설명하고 또 설득했습니다. 결론적으로... 나라에서 도저히 마스크를 복지혜택으로 제공할 수 없으니 양해해달라는 내용이었죠.
5. 핀란드 국민들은 전반적으로 이 대처를 덤덤히 받아들이는 모양새입니다. 국가적 위기 상황에 개인이 다소의 희생을 할 수밖에 없음을 조용히 인정하고 협력하는 것 같습니다. '마스크는 과학적으로 입증이 안되었어!' '무슨 소리냐!'하고 아웅다웅 투닥거릴 땐 언제고, 어느새 핀란드 사람들은 마스크를 하나둘 씩 구해서 대중교통에 쓰고 다니기 시작했습니다. 타협이 이루어진 순간부터는 딴 소리 없이 조용히 이를 준수하는 모습이 '참 핀란드스럽다'라는 생각도 듭니다.
6. 물론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핀란드의 일일 검사 수는 2차 파동에 대비되지 못했고 (여전히 검사기와 검진인력이 부족하다는군요) 젊은 층들 사이에서 '여름을 즐기자!'라는 들뜬 분위기도 여전합니다. 그래서 신규 확진자 수의 상당 수가 2030대 젊은이들이라는군요. 이를 어떻게든 잘 갈마 무리해야 핀란드의 안전을 확보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한번 지켜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