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Y - 기업 멤버십 이용 안내
Publy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7월 27일 오후 11:49
2023 상반기, 프로필상 학생들이 많이 읽은 콘텐츠 top 10 1. 매일 쓰는 문서 5종, 빨리 끝내는 치트키 모음 2. [퍼블리BEST] 기록으로 업무 관리의 고수되는 법(feat. 노션 템플릿) 3. 시간에 끌려다니지 않으려면? 노션 올인원 업무관리법(템플릿 제공) 4. 게으른 완벽주의자를 위한 일정 관리법 5. 프로젝트 관리부터 개인 관리까지, 7가지 구글 스프레드시트 템플릿 6. 챗GPT로 원하는 결과 얻는 프롬프트(명령어) 세팅법 (템플릿 제공) 7. 일잘러 기획자의 북마크: 자료조사 사이트 100개 모음 8. [퍼블리BEST] 2023 트렌드의 거의 모든 것 (feat. 키워드 정리) 9. 누구든 할 수 있다! 챗GPT로 업무 시간을 반으로 줄이는 법 10. [퍼블리 조회수 2만뷰] 퍼블리 템플릿 모음.zip
어렸을 때 항상 갖고 있던 궁금증 중 하나는 비행기가 어떻게 하늘을 나는지였다. 과학시간에 비행기는 양력에 의해서 뜨게되고 하늘을 날 수 있다고 배웠고 공기흐름의 속도 차이가 힘을 만들어낸다는 것까지는 이해할 수 있었지만 비행기 날개 아래와 위로 흐르는 공기가 날개 앞부분에서 같이 시작해서 끝부분에 같이 도착하기 때문에 속도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은 좀처럼 이해가 되지 않았다. 아래 위로 갈라진 공기가 시작과 끝을 같이 한다는 걸 전제로 깔고 설명이 되어있다보니 내 입장에선 너무 궁금했지만 과학선생님을 비롯 주위사람들이 이는 마치 '1+1=2'인데 왜 궁금해하느냐 같은 반응을 보여서 끝내 궁금증을 풀지 못했다. 그렇게 수십년이 흘렀는데...
최근 갑자기 이 생각이 떠올라서 찾아봤다. 일단 이런 생각을 나만 하진 않았다는 사실이 너무 반가웠다. 과학자들과 항공기 설계사 등 이 분야 전문가들이 나온 여러 콘텐츠들을 봤는데, 비행기가 하늘을 나는 이유는 양력으로 설명되지 않는다가 결론이었다.
... 더 보기1
... 더 보기앞으로의 코테는 설명을 주고 코드를 짜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코드를 주고 설명을 하라는 것이 유효할 것이다.
내 경우는 이미 그렇게 하고 있는데, 요구사항을 주고 개발을 요청. 결과물이 요구사항대로 개발이 잘 되었다면, 다음 단계로 제출한 코드를 리뷰하며 설명을 요청한다.
1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