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떠한 기능을 만들지 정리가 되었다면 개발과 디자인에 필요한 문서들을 작성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3번 과정부터 정리해보았습니다.
--------------------------------------------------------------------------------------
1. 사업 분석
2. 주요 기능 정의
3. 기능 명세서/ 기술 요구사항 작성
4. 개발 일정 수립
5. 스토리보드 작성
--------------------------------------------------------------------------------------
3. 기능명세서 / 기술 요구사항 작성
✔기능명세서 : '무엇을' '어떻게' '언제' 개발할지 정의
ㄴ프로젝트 시작 전이기 때문에 100% 정확할 필요는 없지만 개발자들이 어떠한 결과가
나올거라고 예측할 수는 있어야 합니다.
ㄴ기능 명세서의 상당 부분은 스토리보드를 통해 화면과 함께 보충 설명됩니다.
✔기술 요구사항
ㄴ현재 우리 회사의 개발자들을 어떤 환경에서 개발하는가
ㄴReact, SPA ,ERD, AWS 가 무엇인지 알면 좋지만 회사, 서비스, 개발자아 어떤 개발
환경을 필요로 하는지는 알고 있어야
4. 개발 일정 수립
✔거대한 기획을 바탕으로 하는 기능, 화면 단위의 일정 수립
ㄴ 서비스가 완전히 완성되기 전까지 형태를 충분히 확인하기 어려움
ㄴ최소 기능 단위 테스트 중요
✔ MVP 중심의 일정 수립
ㄴ중간에 완성한 버전이 실제로 상용화 가능한 서비스여야 합니다.
ㄴ 아무리 큰 프로젝트라도 반드시 핵심 기능은 포함되어 있으니, 그것들을 바탕으로 일정
수립
최초 수립한 개발 일정은 아래와 같은 사율 조금씩 변동되기도 함
1. DB의 변동 : 심각할 경우 프로그램을 리셋해야 하는, 절대 발생하지 않아야 하는 경우
2. 주요 기능의 변동 : 빠르게 현재 버전을 완료할 수 있다면 개선 작업으로 이관
3. 심각한 오류 : 급하게 개발하거나 커뮤니케이션이 부족할 때 자주 발생
ㄴ 주요 기능에 대한 UNIT 테스트 문서를 미리 작성줌으로써 예방 가능
4. 잘못된 구현 : 커뮤니케이션오류로 인한 엉뚱한 형태의 기능 개발
5. 스토리보드 작성
✔정보 구조(IA) 설계
ㄴ주요 목적은 서비스에 대한 거시적인 이해도 향상
ㄴ모든 정보를 단번에 이해할 수 있는 커다란 정보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기본
(경우에 따라 세부적으로 묘사 가능)
✔스토리보드
ㄴ한쪽에는 뼈다귀 같은 와이어프레임을 그려내고 항목에 대한 기능 명세서를 붙인 것
☝와이어프레임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
-출력이 필요한 정보
-이미지 혹은 버튼의 위치 및 형태
-화면 이름 (이름을 통해 화면의 위치를 빠르게 파악하기 위함)
☝스토리보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
- 상태 : 변화에 관한 설명
- 동작 : 상호작용에 대한 결과에 대해 설명
-문제와 해결 : 오류 발생 이유와 해결 방법
-수량 : 텍스트와 컴포넌트 등의 개수에 따른 화면 변화 설명
여러 화면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상호작용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때문에 연쇄적으로 페이지를 수정해야 할 경우가 많아, 작업자들간에 혼란을 주지 않기 위해 일지를 작성해야 합니다. 사용 툴과 양식은 회사마다 다르니 프로젝트 규모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사용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