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항상 부탁을 받으면...

나는 항상 부탁을 받으면... 내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 하면 항상 100% 아니라 120% 다해서 답을 한다. 그것이 내게 단기적으로 이득 돌아오는 것이든, 그런 것 보이지 않고 순수하게 도와주어야 하는 일이든 간에 내가 돕겠다고 했으면 그것에 대해서 120%로 돌려주려고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대부분 부탁이 와도 거절하는 편이다. 상대방이 어떤 요청을 했을 때 (그것이 비즈니스든 혹은 그렇지 않든), 상대방이 기대하는 것이 100이면 80만큼 도와줄 수 있는 상태면 애초에 도움 요청 자체를 수락하지 않는 것이 좋다. 돈을 받는 일이라면 더더욱 수락해서는 안 되고 돈 받지 않고 그냥 선의로 도와주는 것이라도 수락하지 않는 것이 좋다.상대방은 말로 절대 하지 않겠지만... 100이 아니라 80을 하면 내 평판만 낮추는 꼴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더더욱 어떤 도움 요청 오면 수락하는 과정에서 제일 고민 많이 한다. 그것이 가벼운 일이든, 무거운 일이든 그런 것 경중 따지지 않고 그 '상대방'하고 '나'의 인간적인 관계랑 유대, 신뢰, 그런 것들을 중심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만약 수락했으면 이 사람에게 정말로 내가 줄 수 있는 120% 제공해서 신뢰 제공하려고 노력을 한다. 그렇게 한 번이 되었을 때, 그다음 또 무엇이 오고, 오고 가고, 그러면서 연쇄작용 발생해서 새로운 기회들이 인생에서 펼쳐지는 경험들을 종종 했다. 착하거나 도덕적이라서 남들 돕는 게 아니라, 그것이 그냥 그래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을 해서 한다. 내가 사람으로서 할 수 있는 일이고, 그 일을 최선을 다할 수 있고, 그래서 누군가가 살아가면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일이라면 '왜 그렇게까지 해야 해?'가 아니라 '왜 안 해야 해?'라는 질문이 먼저 나온다. 물론, 사람들 중에는'내가 받은 만큼만 하고 (...)' 류의 사람들이 분명 있음을 나는 부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적어도 그런 사람들이 내 주변에는 없다. 내가 그렇게 행동하려고 하지 않고, 내 주변 사람들도 그렇다 보니 유사한 사람들이 서로 자기 일 아니라도 돕는 사람들로만 가득 차 있게 된다. 관계에도 복리가 적용한다고 생각한다. 만약 내가 처음부터 나의 이득이나, 내가 '받은 만큼만' 돌려주려고 사람들에게 대했다면 아마 내 주변에도 그런 사람들이 가득 차있지 않았을까 싶다. 그래서 더더욱 나는 주변 사람들에게 최선 다해서 돌려주려고 노력을 한다. 그런 노력들이 쌓이면 내 주변 사람들도 나에게 그렇게 대해준다고 믿고 있고, 실제로도 그렇기 때문이다.

나는 항상 부탁받으면 : 네이버 블로그

blog.naver.com

나는 항상 부탁받으면 : 네이버 블로그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8월 28일 오전 2:1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접근성, 누구라도 경험하는 가치》

    ... 더 보기

    괜찮아 괜찮아 괜찮아!

    

    ... 더 보기


    BDD 테스트코드로 미리 검증하기

    B

    ... 더 보기

    Validating Segments Early with BDD Test Conversion

    Medium

    Validating Segments Early with BDD Test Conversion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이 문제는 왜 해결해야 하죠?” 토스페이먼츠의 Product Manager는 늘 이 질문에서 시작합니다. 화면을 기획하거나, 기능을 정리하는 일보다 먼저 우리는 문제의 본질을 정의하고 싶은 사람들입니다. 그렇다면 ‘문제의 본질’부터 고민하는 토스페이먼츠의 PM은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일하고 있을까요? 토스페이먼츠 PM 김명훈님의 이야기를 함께 들어보세요.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PM

    toss.im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PM

    나는 종종 생산성을 올리기 위한 각종 개발 툴은 물론, 라이브러리나 소스 코드를 구매하기도 한다.


    소스 코드의 경우 실제로 써먹지 못하는 경우도 상당수 되긴 하지만, 그래도 구성이나 코드를 보면서 배우는게 있기 때문에 학습 비용이라고 생각하고 가끔 구매하는 편이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