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에도 필요한 프로세스 이코노미

요즘 제 커리어를 어떻게 정립하고 고민하는 과정들을 어떻게 표현할지 생각이 정말 많았는데 또 한 번 프로세스 이코노미가 와닿는 내용이네요! 감사합니다🙏
profile picture

장홍석

스페이스오디티 부대표/CPO

1 책의 제목이 강력하다. 표지만 읽어봐도 컨셉이 이해된다. 제목을 제대로 이해했다면 책을 읽지 않아도 괜찮다. 그래서 읽을까 말까 잠깐 고민했다. 책이 얇고 쉬워서 그냥 금방 읽어버렸다. ​ ​ 2 책 ‘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의 인트로에 재밌는 개념이 있다. 저자는 철학에서 취할 수 있는 실용적 이익을 두 가지로 구분한다. 하나는 결과 자체를 배우기, 두 번째는 과정에서 배우기이다. 이 책 ‘프로세스 이코노미’는 그 과정에 집중한다. 공교롭게도 두 저자가 서로 교류하는 사이라는 게 이 책에도 나온다. ​ ​ 3 결과보다 과정이 왜 중요해졌을까?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자원과 기술이 급속하게 평준화되었기 때문이다. 무엇이 없어서 못하는 시대는 갔다. 누구나 쉽게 새로운 시도와 도전을 할 수 있다. ​ ​ 4 그래서 어떤 결과를 카피해서 만드는 일도 매우 쉬워졌다. 어떤 모델과 결과가 성공하면 곧바로 아류작과 카피들이 쏟아져 나온다. 당연히 본래의 오리지널에 영향을 크게 줄 수밖에 없다. 수많은 카피들이 생겨나서 잊혀진 오리지널은 이미 수없이 많다. 그럼 이런 환경을 어떻게 돌파해야 할까? ​ ​ 5 핵심은 과정이다. 과정은 베낄 수 없기 때문이다. 과정은 ‘왜?’다. 같은 결과를 만들었어도 왜? 그렇게 만들었는지는 다른 사람은 알기 어렵다. ​ ​ 6 결과만으로는 더 이상 차별이 어렵다. 그래서 과정과 본질적인 왜? 가 더 중요하다는 맥락에는 공감한다. 하지만 그래서 갑자기 '왜 Why'가 더 중요해진 것은 아니다. 왜 ...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9월 19일 오전 12:5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연봉 올라가도 팀장처럼 되긴 싫어요 I MZ 퇴사 이유

    ... 더 보기

    최근 어떤 기업의 창업자가 고향 주민들과 지인들에게 최대 1억 원씩 총 1,400억 원을 나누어 주었다는 언론 보도가 화제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흔치 않은 ‘나눔’의 사례로 창업자가 도움받았던 사람들에게 보은하는 ‘감사의 정신’을 실천한 것이다.

    ... 더 보기

    기업가와 장사꾼의 차이 | 한국일보

    한국일보

    기업가와 장사꾼의 차이 | 한국일보

    《어떤 것은 다르게 살게 한다》

    ... 더 보기

    🍨'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 더 보기

    [인사이드 스토리]'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비즈니스워치

    [인사이드 스토리]'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이직의 조건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