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진스의 "OMG"는 스포티파이에서 얼마나 벌었을까?

미국 스트리밍을 기준으로 음원 수익을 확인하는 계산기가 나왔다.


음악 스트리밍 로열티 계산기는 미국의 음악 산업 전문 법무/컨설팅 회사인 매나트, 펠프스 앤 필립스(Manatt, Phelps & Phillips)가 제작했다. 이 회사가 직접 음원 로열티를 지급하는 기업들로부터 수집한 미국 내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동한다. (빌보드PRO의 10월 30일 기사) 단, 추정치라는 것을 참고할 것.


이 계산기는 미국 기준으로, 창작자와 권리 보유자가 스트리밍으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을 보여준다. 사용법은 간단하다. 총 스트림 수를 넣으면 스포티파이와 애플뮤직에서 총 얼마를 벌었는지 보여주고, 또한 전체 금액에서 Sound Recording, Mechanical, Performance 3개 항목 당 얼마의 수익을 배분하는지 제시한다.


Sound Recording | 저작권 소유자에게 지급되는 금액. 대부분의 경우 음반사를 말하지만 포괄적으로 독립 아티스트, 프로듀서, 투자자도 포함된다.


Mechanical | 저작물을 디지털 및 물리적 형식으로 복제해 얻는 수익으로, 퍼블리셔에게 기계적으로 지급되는 로열티. 쉽게 말해 작사/작곡가가 버는 돈.  


Performance | 음악 작품이 공개적으로 연주되거나 방송될 때마다 받는 로열티. ASCAP, BMI, GMR 및 SESAC 같은 공연 권리 단체들이 포함된다. 


🧮 뉴진스의 음원 수익을 계산하면?


스포티파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뉴진스의 싱글은 "OMG"다. 총 526,999,947회 스트리밍을 기록했다. 그런데 이 수치는 전체 스포티파이 기준으로, 미국 내에서만 얼마나 스트리밍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구글에서 이런 저런 키워드로 좀 더 검색해보자.


몇 페이지 뒤에 kworb.net라는 네덜란드 개발자가 만든 음원 통계 사이트가 나온다. 두어 명의 아티스트를 스포티파이 및 유튜브 조회수로 크로스체크했더니 공유된 수치가 정확하다. 아이튠즈, 유튜브, 스포티파이, 라디오 에어 플레이 등의 수치를 자동으로 수집하는데, 불친절한 것만 빼면 참고할 만 하다.


특히 스포티파이 탭에서는 아티스트별, 싱글별, 국가별 스트리밍 횟수와 포지션도 확인할 수 있다. "OMG"의 미국 내 누적 스트리밍 횟수는 53,813,456회로 기록되었다. 이 숫자를 기반으로 계산해보자. 


53,813,456 스트림을 계산하면, 스포티파이 기준 25만 8,212달러, 한화로 약 3억 4,800만원의 수익이 나온다. 그 중 19만 9,135달러(=2억 6,883만원)는 어도어 레이블에 지급되고, 3만 1,821달러(=4,295만 8,350원)는 작사/작곡 크레딧에 명시된 David Dawood, Gigi, 하니, 박진수(FRNK), Yiva Dimberg에게 차등 지급된다.


물론 이 비용은 추정치일 뿐 아니라 개별 계약 조건에 따라 권리자들에게 다시 배분될 것이므로 레이블이나 작사/작곡가가 실제로 얼마의 수익을 얻는지는 알 수 없다. 게다가 미국에만 한정한 수치다. 다만 대략적으로 물가 및 환율 등을 고려해 글로벌 수익을 추정해볼 수는 있을 것이다. ("OMG"의 글로벌 스트리밍 횟수는 미국의 10배 수준이므로, 보수적으로 계산해도 10억 원 이상의 수익을 예상해볼 수 있을 것 같다)


https://maily.so/draft.briefing/posts/37bca612

💵뉴진스의 "OMG"는 스포티파이에서 얼마나 벌었을까?

우디 디자인 취업고민

💵뉴진스의 "OMG"는 스포티파이에서 얼마나 벌었을까?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0월 31일 오전 4:43

 • 

저장 1조회 1,21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 더 보기

    [인사이드 스토리]'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비즈니스워치

    [인사이드 스토리]'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이직의 조건

    

    ... 더 보기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청년미래플러스 사업, 이전에 공유했었는데요.

    ... 더 보기

    청년미래플러스 참여 재직자 1기 모집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청년미래플러스 참여 재직자 1기 모집

    🙉 달레의 찐팬이 되어주실래요? 💕

    ... 더 보기

    PM이 이해하면 좋은 지표 개념

    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

    《어떤 것은 다르게 살게 한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