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소한 생각, 특별한 강의

많은 사람이 저를 알지만, 제 진짜 스토리는 잘 모릅니다. 저는 24년간 수많은 분야를 넘나들며 일했습니다. 중심으로 가기 위해 수많은 경계를 넘었고, 이 순간에도 어딘가를 넘고 있습니다. 올 9월부터 전혀 다른 인생을 준비해 왔고, 이제 그 고민의 결과를 많은 분들 앞에서 발표하려고 합니다. 크고 거창한 내용은 아닙니다.

수많은 경계를 넘었던 이야기입니다. 12월 9일(토) 오후 3시부터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 인간의 경쟁력을 시작으로, 고객경험, 데이터 사이언스, 컨셉 기획, OTT와 숏폼 전성시대 스토리텔링의 창작론. 그리고 핵개인화 시대 퍼스널 브랜딩의 본질인 선택 받는 핵심경쟁력 만들기까지. 무엇보다 생각을 파는 기획자로 숨겨뒀던 이야기를 처음으로 공개합니다.

누군가에겐 사소한 생각일 수 있겠지만, 누군가에겐 특별한 메시지가 될 수 있을 겁니다. 김우정이라는 사람이 어떤 경계를 넘어왔고, 어떤 생각으로 살 것인지를 숨김없이 발표하는 자리입니다. 지금까지 말하지 못했던 사실들도 모두 이야기 할 생각입니다. 온라인으로도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정성을 다해 준비하겠습니다. :)

사소한 생각, 특별한 강의

Brunch Story

사소한 생각, 특별한 강의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1월 20일 오전 1:3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내 아이디어는 완벽한데, 왜 아무도 이해하지 못할까? >

    1

    ... 더 보기

    커서 AI를 슬랙과 연결하면 생기는 일

    ... 더 보기

    효과적인 경력 기술 가이드

    

    ... 더 보기

    어렸을 때 항상 갖고 있던 궁금증 중 하나는 비행기가 어떻게 하늘을 나는지였다. 과학시간에 비행기는 양력에 의해서 뜨게되고 하늘을 날 수 있다고 배웠고 공기흐름의 속도 차이가 힘을 만들어낸다는 것까지는 이해할 수 있었지만 비행기 날개 아래와 위로 흐르는 공기가 날개 앞부분에서 같이 시작해서 끝부분에 같이 도착하기 때문에 속도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은 좀처럼 이해가 되지 않았다. 아래 위로 갈라진 공기가 시작과 끝을 같이 한다는 걸 전제로 깔고 설명이 되어있다보니 내 입장에선 너무 궁금했지만 과학선생님을 비롯 주위사람들이 이는 마치 '1+1=2'인데 왜 궁금해하느냐 같은 반응을 보여서 끝내 궁금증을 풀지 못했다. 그렇게 수십년이 흘렀는데...


    최근 갑자기 이 생각이 떠올라서 찾아봤다. 일단 이런 생각을 나만 하진 않았다는 사실이 너무 반가웠다. 과학자들과 항공기 설계사 등 이 분야 전문가들이 나온 여러 콘텐츠들을 봤는데, 비행기가 하늘을 나는 이유는 양력으로 설명되지 않는다가 결론이었다.

    ... 더 보기

    먹은 뒤의 흔적’만 보여준다. 하겐다즈의 광고에 주목하게 되는 이유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