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 원동력은 어린이와 같은 호기심 [김소진의 커리어칵테일]



“지금 보시는 게 전자책인가요?”


대기업 CEO인 김 대표가 내 휴대폰을 보더니 물었다.


“네. 맞아요.”

내가 답했다.


“그건 어떻게 하는 건가요? 무료로 보는 건가요?”


“무료도 있고 유료도 있어요. 보통은 유료책이 많죠. 보는 건 종이책과 똑같아요. 전자책서점에서 책을 구매하고 이렇게 휴대폰 앱에 다운받아서 보는 거예요.”



간략히 설명하면서도 사실 별 기대는 하지 않았다. 전자책은 젊은 사람들도 대부분 보기 어렵다느니 사용하기 불편하다느니 하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어서, 이렇게 설명해줘도 진짜 시도해보는 사람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김 대표는 달랐다.


“어떤 앱을 설치하는 거죠?”

“구매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아,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하나요?”

“이렇게 하면 되는 건가요? 그럼 이제 책이 다운된 건가요?”


계속 질문을 해오는 것이다. 덕분에 그 자리에서 한참 설명하며 김 대표의 휴대폰에 전자책 앱 설치와 몇 권의 책 다운로드까지 완료해줬다.


“아! 되네요. 고맙습니다. 잘 볼게요.”

김 대표는 만족스럽게 웃으며 내게 인사했다.



얼마 후 다른 자리에서 다시 김 대표를 만났다. 그는 나를 보자마자 반갑게 인사하며 다가오더니 대뜸 휴대폰을 내밀었다.



“저, 그날 이후로 전자책 매니아가 됐습니다. 읽어보니까 아주 좋더라고요. 이동 중 자투리 시간에도 볼 수 있고, 침대에 누워서도 편하게 읽을 수 있어서 굉장히 유용해서 요즘은 주변에 적극 추천중입니다.”


자랑스럽게 웃는 임 대표를 보며 놀라움이 느껴졌다. 보통 좀 지위 있는 사람들은 주변 사람들에게 자잘한 일을 시키는 경우가 많다. 비행기표 예약, 장소 예약, 정보 검색 등 모든 일들을 다 주변에 맡기다 보니 실제로는 할 줄 아는 게 거의 없어지기도 한다. 그래서 기업체 임원들이 은퇴하면 지하철도 제대로 못 탄다는 우스갯소리도 나온다.


그런데 김 대표는 달랐다. 이 전자책 사례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누가 좀 신기한 것, 새로운 것을 들고 오면 깊은 관심을 표하면서 그걸 배웠다. 그래서 김 대표는 다른 사람들과 달리 시간이 갈수록 다방면으로 유능해졌다.


“제가 원래 이것저것 관심이 많아서요.”

씩 웃으며 아무 것도 아니라는 듯 얘기하지만, 어쩌면 김 대표의 성공 원동력은 이런 소년과 같은 호기심에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이가 들고 한 조직에 머물면서 서서히 호기심을 잃어간다. 재미없어 하는 것이다. 그런데 재미없어 하는 순간부터 성과도 떨어지기 시작한다. 필연적인 일이다. 그래서 일을 지속할 수 있게 하는 힘, 성과를 내게 하는 힘은 호기심이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계속 그런 호기심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당연히 필요한 것이다.


호기심은 생기를 선물해준다. 호기심이 많은 사람은 70대라도 생생히 빛나고, 호기심이 없는 사람은 20대라도 노인 같다. 시몬느 드 보부아르도 ‘호기심이 사라지는 순간 노년이 시작된다’라고 말하지 않았던가?


성공하는 남자는 호기심이 많고 직접 배운다.


관심을 잃고 남에게 맡길수록 빠르게 늙어간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시키지 말고 직접 배워라!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1월 21일 오전 9:3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30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