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에서의 핵심인재의 요건

링글의 이승훈님 글이 공감되어서 공유해보아요


스타트업의 핵심 인재가 가지는 특징
1) 팀을 먼저 만들려고 하지는 않는다. 일단 있는 팀으로 impact를 내려고 한다.
2) (관리자의 경우) 관리와 실행을 동시에 한다. 실무를 놓지 않고 직접 뛰며 얻은 인사이트 기반 팀을 관리해 나간다.
3) 안정적 조직 운영보다는 타이트한 실행에 초점을 둔다.
4) 실행 초반 Impact가 잘 나오지 않을 때, 여러 대안을 탐색하기 보다는, 일단 Impact가 나올때까지 실행을 끝까지 해보되 매일 팀에 경과를 공유한다.
5) 회사의 우선순위에 맞춰 실행한다.
6) 분석 결과만 보지 않고, Raw Data를 하나하나 꼼꼼히 읽는다. 디테일 안에 인사이트가 있다.
7) 매일 매일 배우기 위해 노력한다. (새로운 사람을 선발해서 채우기 보다는, 본인이 배워서 채우려고 한다)



https://brunch.co.kr/@seunghoon82/370



스타트업에서의 핵심인재의 요건

Brunch Story

스타트업에서의 핵심인재의 요건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2월 21일 오전 5:0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토스 데이터 직군 집중 채용 - 면접만 봐도 100만원!

    ... 더 보기

    토스 DATA·ML 집중채용

    toss.im

    토스 DATA·ML 집중채용

    초중고딩 어렸을 적 과학시간에 석유와 석탄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과정을 배울 때마다 이해가 되지 않아서 그냥 외웠었다. 석유는 공룡을 비롯 동물이 죽어서 만들어지고 석탄은 식물이 죽어서 만들어진다고 배웠는데, 석탄이야 식물이 워낙 많았고 죽으면 자연스럽게 땅에 묻히니 그럴 수도 있겠다 이해가 되었지만, 석유는 아무리 생각해도 말이 안되었다. 동물이 화석이 될 확율이 극도로 낮다는 점을 생각하면 동물이 한꺼번에 같은 장소에서 갑자기 많이 죽어서 결국 석유까지 될 확율은 매장되어 있는 석유량을 볼 때 더 말이 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배울 때마다 당시 과학선생님들께 이해가 안된다고 질문을 드렸으나 속시원한 답을 들어본 적은 없었다. 그렇게 10대에 그 궁금증을 묻고 지금까지 잊고 살았다. 그러다 우연히 생각나서 찾아보니...


    비행기가 나는 과학적 원리와 마찬가지로 과학자들조차 속 시원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질문 중 하나라고 한다. 많은 학설 중 다수의 과학자와 전문가들이 동의하는 하나는 바다 미생물 이론인데, 이 이야기는 들으면서 고개가 끄덕여질 정도로 납득이 되더라.

    ... 더 보기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개정 2판

    ... 더 보기

    많은 분들이 찾아주시면서 입소문이 났는지 계속 개설 요청이 이어지네요. 지난 3기가 7월 20일경에 끝났는데 개설 요청으로 인해 8월말에 4기를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했습니다. 재무재표를 통해 산업과 시장을 읽고, 기업과 사업모델을 파악하고, 나아가 나의 사업

    ... 더 보기

    [B라운지] 4주만에 재무제표 기초 정복하기 (4기) : PBR

    www.pbr.kr

    [B라운지] 4주만에 재무제표 기초 정복하기 (4기) : PBR

    넷플릭스는 왜 WebFlux를 사용하지 않을까?

    ... 더 보기

    넷플릭스는 왜 WebFlux를 사용하지 않을까?

    kr.linkedin.com

    넷플릭스는 왜 WebFlux를 사용하지 않을까?

    < 보여서 걷는 게 아니라, 걷다 보니 길 >

    1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