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개발자인 걸까...

AI 초급 과정이라고 모집해서 갔더니, FE과정이라하고. 학습내용을 보니 FE도 아니고 웹 퍼블리셔인 준 야매 교육과정을 마치고 운 좋게 취업에 야매로 성공.

좋은 동료분들이 계시기에 아직까지 살아남아 다니고 있지만. 항상 드는 불안과 의문.


' 나... 진짜 개발자인걸까'


버라이티한 회사생활 속, 이제야 정신차리고 '찐 개발자로 성장하기' 여정을 기록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2월 13일 오전 10:58

조회 191

댓글 1

함께 읽은 게시물

팀장으로 승진하는 사람들이 현실적으로 꼭 알아야 하는 6가지

1. 성공을 하기 위해 꼭 관리자가 되어야 하는 건 아닙니다 : 많은 사람들이 (직장 생활에서) 더 많은 돈을 벌고, 지위도 올라는 길은 승진해서 관리자가 되는 것, 하나뿐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비슷한 연봉을 받고, 비슷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또 그러면서도 전반적

... 더 보기

'소셜임팩트'란 무엇일까요? 아직 명확하게 합의된 기준은 없습니다. '소셜임팩트의 종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가 있지만 글로벌 차원의 기준이기 때문에 기업의 소셜임팩트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그래서 임팩트투자 크라우드펀딩 <비플러스>에서 나름의 기준을 세워서 공유했어요. '소셜임팩트'를 "사회의 빈 곳을 채워 긍정적인 영향력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정의하고, 그렇게 만들어진 영향력들의 분야를 분류했다고 합니다. 그렇게 6개 대분류, 19개 하위분류로 이루어진 '소셜임팩트 카테고리'를 선보였어요.   1. 로컬 - 도시이슈, 지역발전  2. 삶 - 문화, 교육, 빈곤, 주거, 건강  3. 환경 - 1차산업, 동물, 에너지, 자연보호  4. 연대 - 공동체, 소상공인, 공유경제  5. 사람 - 취약계층, 다양성, 여성, 청년  6. 혁신   자세한 분류 설명은 아래 링크를 눌러보세요!

비플러스가 사회적가치를 분류하는 법, '소셜 임팩트 카테고리'를 소개합니다

Naver

비플러스가 사회적가치를 분류하는 법, '소셜 임팩트 카테고리'를 소개합니다

구글 AI 모드. 언어설정을 영어로 해놓아야만 보이는군요.

... 더 보기

조회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