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컴공 교직 과정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컴퓨터공학과를 주전공, 자동차소프트웨어학과를 복수전공 중인 2학년입니다. 교직이수자로도 선발되어 현재 세 트랙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진로는 자동차 소프트웨어 분야로 생각하고 있으며, 교직은 혹시 모를 보험용일 뿐, 임용 준비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습니다. 아버지께서 안정적인 직업을 원하시고 앞으로 무슨 일이 생길지 모르니 교직은 해두는 게 낫지 않겠냐하셔서 저도 동의하고 신청했지만, 막상 이수 계획을 세우다 보니 현실적으로 부담이 크다는 걸 느끼고 있습니다. 복수전공이다 보니 졸업 프로젝트도 두 개 진행해야 하고, 학부연구생도 고려 중입니다. 그런데 교직까지 병행하면 이수해야 할 학점이 기본 수강 가능 학점을 5학점 초과하게 되어, - 계절학기나 성적우수자(수강 가능 학점 3학점 추가)로 커버하지 않으면 졸업이 미뤄지고, - 졸업을 미루지 않더라도 모든 학기를 꽉 채워 수강해야 하며, 진로 준비에 쓸 시간과 여유가 거의 없습니다. 성적우수자로 수강 가능 학점이 늘어나더라도 수강신청 실패나 시간표 문제로 실제로 활용하기 어려울 가능성도 있고 학점을 맞추다 보면 듣고 싶은 수업을 포기하게 되거나, 교직 공부 때문에 전공 공부 및 학점 관리가 좀 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게다가 교직에는 교생 실습과 교육봉사 100시간도 포함돼 있어, 수업 외 시간 부담도 작지 않은 상황입니다. 교사로 진출할 계획은 없고, 기업 취업만 고려 중인 상황입니다. 그래서 차라리 교직을 포기하고 진로 준비에 집중하는 게 맞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면서도, 이미 선발돼 이수 중인 교직을 중간에 포기하는 게 괜히 아깝게 느껴지기도 하고 어떻게든 하면 이수 자체는 가능해 보이기 때문에 확실한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현직자, 선배님의 입장에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교직
#교직이수
#복수전공
#진로
#진로고민
답변 1
댓글 0
조회 88
13일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30대 초중반 디자인 커리어로 전향
안녕하세요, 30대 중반 무직자 여자입니다. 건강이 연약했던 부분 때문에 이일 저일 아르바이트만 전전하다 어느새 30대 중반을 앞두고 있네요. 원래 전공은 산업디자인으로 전문대를 졸업하고 편입하여 수도권 4년제 편입까지 마쳤습니다. 다만 산업디자인 전공 쪽으로 일해본 경험은 없습니다. 뒤늦게 학교 다닐때 잘한다고 들었던 제품디자인 3D 라이노 또는 그래픽디자인 uiux쪽으로 재교육을 받아 취업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멘토님들께 2가지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지금 제 나이에 드나마 재진입이 용이한 분야는 어떤 쪽일까요? 첫번째 질문 1. 제품디자인 3D 라이노 모델러 2. 그래픽디자이너 3. uiux 디자이너 두번째 질문 해당 분야에 재교육받는데 부트텐트 또는 내일배움카드 기관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괜찮을까요? + 6개월 ~ 1,2년 경력을 쌓은 뒤에 캐나다에 석사 진학 후 영주권 획득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바쁘신 중에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디자이너
#산업디자인
#그래픽디자이너
#uiux
#제품디자인
#3d모델링
답변 1
댓글 0
조회 23
한 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앞으로의 진로에 대해 의견 듣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여러 관련 글들을 찾아보다가 여기선 좋은 조언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아 글 올립니다. 상황 설명 글이 좀 길 수 있어 양해부탁드립니다! 우선, 현재 저는 26살입니다. 저는 IT융합공학과를 졸업했습니다. 학교에서는 기초 프로그래밍(자바, c, c++, python등)과 AI 관련을 배웠습니다. 졸업 후 약 2년 반동안 IT회사가 아닌 국가연구를 하는 회사에서 IT 쪽으로 근무를 했습니다. 이때 웹 풀스택(React, Node)으로 웹사이트 개발과 AI(이미지, 시계열) 개발을 주로 수행했습니다. 이번에 개인적인 사정으로 퇴사를 하게되었는데, 졸업 후 바로 취업을 하다보니 다른곳을 준비하기가 두렵기도하고 어렵습니다. 어렵다는 말이 이상한데.. 개발자로 취업을 준비하는 분들처럼 다양한 자격증을 가지고있지도, 어학성적을 가지고있지도 않습니다. 다만, 이전 회사에서 다양한 웹사이트를 개발하면서 자료로 남은 포트폴리오는 있습니다.. 그래서, 우선 출발선상이라도 가자 라는 마음으로 토익도 준비하고 정처기도 따고 준비하고있는데 불안한 마음이 너무 큽니다. 첫번째로 고민이 되는 부분은, 제가 이 경력으로 경력직으로 들어갈 수 있을까? 입니다. 경력이 짧은것도 사실이며 워낙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했었기때문에, 전문적으로 웹 개발을 하는 직무를 가게된다면 잘 해낼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사용했던 기술은 React.js와 Node.js , 서버는 회사에 직접 구축했습니다. DB도 구축해서 연동했었습니다. 다만 AI등 다양한 업무를 같이 수행하다보니, 전문적으로 웹만을 개발하는 개발자보단 부족하지않았나? 라는 생각도 듭니다. 사실은 제가 개발한 AI 모델이나 시스템들이 웹으로 표출될 수 있도록 구현한 프로젝트도 있어 이런것들이 다양한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이다! 라는 점에선 이점이라고 생각하고 강점으로 내세웠었지만, 몇 번의 서류 탈락을 겪어보니 그냥 여러개를 얕게 한 사람처럼만 보이지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 이렇게 쌓은 경력을 가져갈 수 있을까 라고 생각했습니다.. 두번째로는, 웹 개발이 아닌 다른 개발자로 가는건 어떤가 에 대한 고민입니다. 업무를 해보면서 아무래도 웹개발이 크게 재밌지도, 적성에 맞지도 않는 느낌이었습니다. 물론, 일이란게 모두 해결하기 위해 하는거니 열심히 결과를 냈지만 흥미를 가지고 재미있게 하진 않았던것같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다시 취업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면서 다른 직무로 가보는건 어떤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가 관심가지는 직무는 네트워크, 클라우드 관련 직무인데 관련된 기술을 사용해본 적 없어서 어떤식으로 준비하면 좋을지가 고민입니다. 처음 생각해본건 국비 수업을 듣는것인데.. 지방에 있다보니 서울에서 하는 유명한 교육은 듣기가 부담이되고, 국비에 대한 안좋은 후기나 시선이 계속 보여 좋은 선택인지 고민이됩니다. 그게 아니라면 독학을 통해 공부하고,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포폴을 만드는게 맞다는걸 아는데, 아무래도 커리큘럼 없이 혼자 수행하려하니 계속 이게 맞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글이 너무 길어 죄송합니다 ㅠㅠ 짧게 제 고민을 정리하자면 현재 짧은 웹 개발 경력을 살려서 가는게 좋을지 공부를 통해 새로운 직무(클라우드, 네트워크)를 신입으로 들어가는게 좋을지 2-1. 그렇다면, 국비 교육을 듣는게 괜찮은걸까요..? 2-2. 아니면 혼자 열심히 공부해서 포폴, 자격증(AWS) 등을 준비하는게 좋을까요 현재 정확히 정해진것없이 두루뭉실한 생각들만 너무 많아 죄송합니다.. 제 고민을 완벽하게 해결하고싶다기보단, 현직에서 일하시거나 개발자로서의 취업을 준비하시는 분들의 의견이 듣고싶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개발자
#이직
#경력이직
#진로
답변 1
댓글 0
조회 104
한 달 전 · HypeBoy 님의 새로운 답변
백엔드 개발자 취업준비생 고민
안녕하세요 27살 백엔드 개발자 준비..? 중인 취준생입니다. 저는 정보통신과를 나왔고 전공은 c언어였어요. 졸업하고나서 웹 개발이 하고 싶어서 무작정 java를 배우기 시작했고, 국비교육으로 부족하지만 프로젝트 경험도 해봤습니다. 하지만 제가 딱 서류를 내기 시작했을 때가 백엔드 개발자 신입을 구하는 곳이 없어지는 추세였어서 진짜 있는대로 자격요건이 맞으면 막 넣었다가, 잦은 서류와 면접 탈락으로 약간의 면접 공포증?이 생겼었어요. 서류 넣는거까지는 어떻게 해보겠는데 어느샌가 면접 준비하면서 진짜 숨이 너무 막히더라고요. 변명일지도 모르겠지만.. 그래서 약 6개월동안 도망치듯 개발을 잠시 놔버렸는데 제가 그동안 잠시 마케팅 일을 했었거든요. 근데 회사를 며칠 다녀보니까 개발하고 싶다는 생각이 자꾸 들어서 결국 다시 개발로 돌아오려고 하는데 27살신입은 너무 늦은 나이일까요? 이력서 상에서 전공생에, 관련 교육까지 들어놓고 또 6개월간 깃허브, 블로그 올렸던 기록이나 프로젝트가 없으면 당연히 부정적으로 볼까요.. 제가 객관적으로 판단했을 때도 이력서가 부실한 감이 있긴 합니다. 그래서 다시 개발 공부를 병행하면서 사이드 프로젝트라도 더 해볼까 하는데 그럼 또 지원하기까지 공백기간이 있다보니..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 안잡히는 상황입니다. 현실적인 조언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코딩하는 건 좋아합니다.. 코테푸는 것도 어렵지만 좋아합니다 ㅠ.. 적성은 정말 개발자가 맞는데 그 실패가 두려워서 시작을 못하겠어요.. 다시 도전해도 될까요 ㅠㅠ..
개발자
#취준고민
#취준생
#취업
#백엔드
답변 3
댓글 0
조회 216
한 달 전 · 민주 님의 질문
CJ제일제당 현직자 인터뷰
CJ제일제당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 현직자 분들의 회사에 대한 인식이 궁금합니다. 회사에 대한 만족도와 어떤 점에서 만족도가 높으신지 알고싶습니다. 2) 현직자께서 생각하시는 CJ제일제당만이 보유한 경쟁력은 무엇일까요? 3) 회사의 경영이념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이에 사내 교육 프로그램에서 어떤 내용을 배우셨는지 간략하게나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질문을 쭉 정리해봤는데 꼭 다 답변해주실 필요는 없고 가능하신 선에서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바쁘신 와중에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M/PO/기획자
#cj제일제당
#cj
#현직자인터뷰
#현직자
#esg
답변 0
댓글 0
조회 20
한 달 전 · aigoia 님의 댓글 업데이트
25살 취준생 고민
안녕하세요, 컴퓨터공학 졸업하고 취준중인 대학생입니다. 취준을 두 달 정도 했는데 면접본 곳 다 불합격했습니다.. 채용연계형 교육 프로그램에 지원했고 합격해서 현재 수업 듣고 있는 중입니다. 채용연계를 위해서 반년을 버텨야 하는 상황인데 문제는...매일 집에 와서 울 정도로 교육을 다니기 싫다는 것입니다ㅠ 커리큘럼은 거의 다 학교에서 배운 내용이라 복습에 가깝습니다. 교육장에 들어갈때마다 숨이 턱 막히는 기분인데 제가 버틸 수 있을까요..? 제가 취준 기간이 길지 않아서 이 프로그램을 듣지 않고도 제 힘으로 취업할 수 있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너무 뭣모르는 소리 하는건지 알고 싶은데 주위에 물어볼 곳도 없고 해서 솔직한 조언 듣고 싶어서 글 올려봅니다!
투표
개발자
#취업
#국비교육
#취준고민
답변 3
댓글 2
조회 631
2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비전공자 부트캠프 출신 선배님 계십니까..?
안녕하세요 이번에 부트캠프로 교육 받고있는 비전공자입니다.. 백엔드 자바 스프링 과정이구요 자바 수업이 시작된건 2~3주차 인데요... 일단 제가 비전공자라 기초 지식이 없는것도 맞고..... 뭔가 강사님 스타일이 저랑 너무 안맞아서 수업 내내 이해를 못하고 슉슉 지나가는 느낌이에요 거의 타자 연습하듯이 코드 따라 치는 느낌으로... 저만 이런게 아닐거라 생각하고 저와 비슷한 경험을 해보신 선배님도 분명 계실걸 생각해서 수업이 잘 안맞고 이해가 계속 안될때 어떻게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따로 공부 하셨다면 어떻게 하셨는지두요..... 다음주부터 자바 끝나고 다른거 들어갈텐데 강사님 스타일도 안맞아서 걱정이에요..
개발자
#부트캠프
#자바
#java
#백엔드
답변 1
댓글 0
조회 138
2달 전 · 최은혁 님의 새로운 답변
툴에 관한 질문입니다.
Java 백엔드 교육중받는중인학생입니다. 부트캠프 6개월 과정 진행중인데 강사가 현업에 가면 vs code를 사용하는 곳도 많다고 vs code 만 고집하더라구요.. 컴파일이 중요하다면서요, 그리고 인텔리제이는 무겁다고 계속 강조하고 실제로 어제 강사 컴터 가 멈추더라구요.. 제가 수업에 참여 하기전에 어떤 강의를 봐도 인텔리제이 아니면 이클립스를 쓰던데 현업에서 백엔드 개발자가 vs code도 많이 쓰는편인가요?
개발자
#백엔드
#intellij
#java
답변 1
댓글 0
조회 87
2달 전 · 최건 님의 질문
GSITM 부트캠프 10기 교육생 모집
안녕하세요. GS그룹의 디지털 선도기업 “GSITM”의 K-디지털 트레이닝 공식운영파트너 (주)오앤오피 입니다. 오는 4/14(월)부터 10/2(목)까지 총 120일 960시간 동안 풀스택 개발자로서의 취업/창업/커리어업을 통해 바로 실무투입이 가능한 개발자를 양성하기 위해 선도기업 K-DT "GSITM 부트캠프 10기"를 경상남도 진주시 윙스타워에서 진행합니다! IT개발자 직무에 관심이 있지만 전공자가 아니여서 포기하신 비전공자분들, 현재 직업이 성향에 맞지않아 새로운 직무를 원하시는 퇴사희망자, 졸업 후 취업에 고민이 있으신 구직자 등 내일배움카드 발급 대상자라면 모두 수강이 가능합니다. ㅇ 교육내용 - 프론트엔드+백엔드+실무 프로젝트 = 풀스택 개발자 All-in-one 과정 - IT계열 취/창업을 위한 GSITM 공식인증강사의 멘토링/코칭 - 현직 개발자 특강 ㅇ 교육기간 - 2025. 04. 14(월) ~ 2025. 10. 02(목) ㅇ 모집기간 - ~ 2025.04.18(금)까지(30명 선착순으로 조기마감될 수 있음) ㅇ 교육장 위치 - 경상남도 진주시 동부로 169번길 12(윙스타워) B동 1103호 ㅇ 수강생 혜택 - GSITM 인증 교육수료증 발급 - 출석 및 성적 우수자 시상 및 채용연계 인턴쉽 기회 제공 - IT직무 취업을 위한 이력서, 자소서 컨설팅, 채용정보 제공, 수강생 홍보 등 취업 지원 - 훈련비용 100% 국비지원 + 출석에 따라 훈련장려금 월 최대 31만 6천원 ✨ 문의 : GSITM 부트캠프 운영파트너 (주)오앤오피 ✨ 신청페이지 : https://kdt.onlms.co.kr 카톡 : http://pf.kakao.com/_VqYxhn 인스타그램 : https://instagram.com/onop.co.kr/ 블로그 : https://blog.naver.com/onopco 전화 : 070-7822-1610 이메일 : kdt@onop.co.kr
개발자
#취업
#이직
#국비지원
#it무료교육
#개발자-도전
답변 0
댓글 0
조회 68
2달 전 · 김 하림 님의 질문 업데이트
노트북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현재 컴퓨터공학과 3학년 재학 중인데, 노트북이 오래되어 하나 새로 장만하려고 합니다. 학교에서는 거의 윈도우로 교육하기 때문에 원래 맥으로 사려고 했으나 호환이 어려워 윈도우로 사려고 합니다. 노트북 살 때 메모리, SSD, 패널, 그래픽은 어떤 걸로 구매하면 좋을까요? 제가 백엔드 개발자를 진로로 삼고 있는데, 혹시 맥북을 추천하신다면 그 이유도 함께 말해주실 수 있나요? 그리고 현재는 그램으로 사려고 하는데, 맥이나 삼성 노트북응 권장하실 경우 그 이유도 함께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백엔드개발자
#노트북고민
#노트북사양
#노트북추천
#프론트앤드
답변 0
댓글 0
조회 80
3달 전 · 허니 님의 새로운 답변
부트캠프 고민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두가지 부트캠프중 선택에 어려움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 멀티캠퍼스 백엔드 자바 스프링, https://multiit.co.kr/pages/ewbKpC240704?mediaCode=site 2. 멋쟁이사자처럼 백엔드 자바 https://bootcamp.likelion.net/school/kdt-backendj-17th 두가지 교육과정중에 비전공자 노베이스 상태에서 교육받기에 어떤 곳이 더 괜찮은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후기를 찾아보는데 찾아볼수록 생각보다 결정이 어렵더라구요..
개발자
#부트캠프
#멀티캠퍼스
#멋쟁이사자처럼
#java
#백엔드
답변 2
댓글 0
조회 128
3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개발자 취준에 부트캠프가 많은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이번에 졸업을 하게된 백수이자 취준생입니다. 저는 백엔드 개발자를 희망하고 있는데 취업하는데 있어서 부트캠프를 추천하시는지 의견이 궁금합니다. 제 상황에 대해 얘기해보자면 저는 비전공자에 코딩을 경험해본 정도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전공이 sw관련 과이긴하지만 제가 전공에서 배운 것은 전기전자, 메카니즘, AI, 프로그래밍 언어 기초(c, python, java)입니다. 그러다보니 CS나 알고리즘처럼 개발자라면 알고있어야하는 기초 지식들이 부족합니다. 부족한 지식을 채우기 위해 독학을 하고있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기도하고 잘 하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커리큘럼이 정해져있고 멘토가 있는 부트캠프에 도움을 받을까, 아니면 계속 독학을 할지가 고민입니다. 독학은 인프런에서 김영한 님의 강의를 듣고 있으며 알고리즘 스터디에 들어서 공부중입니다. cs는 관련 책으로 공부중이며 대체로 백엔드 로드맵을 따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부트캠프의 장점은 체계적인 커리큘럼과 단기간에 cs, 알고리즘, java에 대한 지식 습득, 프로젝트 협업 경험, 멘토의 존재, 취업연계정도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단점으로는 특정 부트캠프를 제외한 나머지 부트캠프에 대한 인식이 좋은 편은 아닌 점, 부캠마다 상이하겠지만 떨어지는 교육의 질, 마구잡이식 취업으로 취업률 홍보 정도가 있는 것 같습니다. 최근 모집 공고를 보면 부트캠프 외 프로젝트 경험이 있는지도 따지더라구요. 그래서 부트캠프에 대한 현직자분들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개발자
#백엔드
#취업
#부트캠프
#인프런
답변 1
댓글 0
조회 335
3달 전 · 박인수 님의 질문
컴퓨터공학과 vs 전자공학과 (편입 과 선택)
성균관대 컴퓨터교육과 중앙대 소프트웨어학부 경희대 전자공학과 위 3개 대학에 편입 합격한 학생입니다. 다만 현재 27살 군필이고, 나이가 많은 29에 학부를 졸업하는게 -요소인것 같습니다. 전적대는 컴공이긴 합니다만, 들은 전공 과목이 6~7과목 정도밖에 되지않습니다. 아주 기본적인 c,파이썬 정도 할줄 아는정도입니다. 백준 실버 문제도 너무 어렵게 느껴지는 수준입니다.(코딩을 한달이라도 마음잡고 공부한적은 없었던것 같습니다.) 토익은 970점으로 영어는 잘하는편이고.. 수학은 나름 좋아해서 대학수학도 공업수학까진 할줄 아는 상태입니다. 다만 고등학교때부터 물리를 아예 놨어서 전자공학과에 필요한 물리 지식이 아예 없는 상태입니다. 코딩이 재밌거나 재능이 있고 그런건 전혀 아니여서.. 컴공을 전공한다면 코테를 준비해서 금융권쪽 개발직군을 목표로 할것같고 전자공학과를 간다면 반도체쪽이나 현기차같은 대기업을 목표로 할것 같습니다. 전자공학과가 반도체, 통신, 소프트웨어 등 진로가 더 넓은건 인지하고 있습니다. 제가 나이가 적지도 않고, 2년동안 전공 과목 위주로 열심히 들어서 졸업을 해야되는 상황입니다. 다음주까지 편입할 대학을 정해야되는 상황인데.. 취업을 좋은데 하고싶은 생각뿐이지 전공공부나 대외활동 경험도 아예 없어서인지 하고싶은건 딱히 없고 그래서 막막한 상황입니다. 졸업하신 선배님들의 조언을 얻고싶습니다. 어떤 기준으로 대학과 전공을 선택해야될까요?
개발자
#편입
#개발자
#컴공
#전자공학
#고민
답변 0
댓글 0
조회 92
3달 전 · 박종찬 님의 댓글 업데이트
비전공자 프론트엔드 신입 취업 조언 부탁드립니다..
28살 비전공자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도약 준비중인 취준생입니다. 23년에 대학교 졸업 후 공간디자인 전공을 살려 인테리어 회사에 입사하여 인테리어 디자인&설계를 진행하였습니다. 누군가가 사용하고 거주할 공간에 대해 설계를 진행하고 인간중심적인 디자인을 고안하는 과정 자체가 재밌고 흥미로웠습니다. 그렇게 나온 결과물을 사용자가 보고 기뻐하고 실제로 이용하는 모습을 보며 뿌듯함을 느끼기도 했습니다. 그렇게 실무를 진행하면서 동시에 인테리어라는 직업의 한계를 느끼기도 했습니다. 현실의 물리적인 제약으로 생각했던 설계가 불가능하기도 하고 사용자 중심으로 디자인을 진행했지만 실현이 불가능하기도 했습니다. 무엇보다 공간적, 시간적 제약이 크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그렇게 생각하던 때에 같은 과 친구를 통해 '부트캠프' 라는 것을 알게되었고, 공간디자인을 전공하면서 관심을 기울이고 있던 '개발'이라는 분야에 대해 꿈을 꾸게 되었습니다. 나이가 더 들기 전에, 더 시간이 늦기 전에 접어뒀던 꿈을 도전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고 다니던 회사를 퇴사함과 동시에 국비지원 프로그램에 지원해 교육원을 다니며 5개월 가량의 수업을 들으며 개발자로서의 역량을 키워갔습니다. 교육원의 커리큘럼은 풀스택 과정이였지만 저는 프론트엔드 개발이 사용자 경험과 직결되어 있다는 부분이 제 이전 전공 경험과 실무 경험을 살릴 수 있다는 생각과 동시에 제 성격과 잘 맞을 것 같아 프론트엔드 개발에 집중하게 되었습니다. HTML, CSS, Javascript, jquery, 리액트 배우고 팀 프로젝트에서 MySQL 과 MariaDB 를 활용하여 프로젝트를 제작하였습니다. 지금은 개인 포트폴리오인 랜딩페이지와 이력서를 작성해 1월 한달동안 공고를 찾아보며 지원하고 있는데 열람은 되지만 연락이 거의 오지 않는 상태여서 나에게서 어떤 부분을 개선하고 어떤 부분에 더 노력을 쏟으면 좋을지 고민이 정말 많이 되고 선택지도 정말 많고,,조금 답답한 심정입니다. 얼른 실무에 뛰어들어 실무역량을 키우고 싶습니다.. 지금도 늦었다는 생각이 자꾸만 듭니다.. 선배님들께 피드백을 받고싶어 질문 드립니다. 아래에는 랜딩페이지 링크입니다. 현실적인 팩트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 https://jonggu-portfolio.vercel.app/
개발자
#프론트엔드
#비전공
#취업
답변 2
댓글 2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268
3달 전 · 밍돌맹돌 님의 새로운 답변
국비지원 커리큘럼 비교&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개발을 배워보고 싶어서 국비지원으로 먼저 시작해 보려고 합니다. 노베이스 상태인데 두가지 국비지원 교육에서 고민이 되더라고요 보시기 편하게 일일이 커리큘럼을 좀 적어서 질문 하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양이 많아서 적기는 어려워서 부트캠프 이름만 좀 적어보려고 합니다. 일단 둘다 프론트엔드 과정이구요 프로그래머스 데브코스 프론트엔드랑 코드잇 스프린트 프론트엔드 중에 노베이스 비전공자가 수업듣기에 조금 더 좋은 커리큘럼을 가지고 있는곳을 추천 부탁드립니다. 직접 비교하려고 해도 노베이스 상태이다보니 잘 모르겠어서요.. 상세한 이유까지는 아니어도 어떤부분에서 더 좋을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부트캠프
#국비지원
#커리큘럼
#비교
#비전공자
답변 1
댓글 0
조회 114
4달 전 · 랄랄라라 님의 질문 업데이트
보안 부트캠프 관련해서 고민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보보호학과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 전반기에 부트캠프를 수료하고 후반기에 BOB를 지원하려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부트캠프 관련해서 질문이 있는데요, 저는 모의해킹이나 취약점 분석 쪽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1. 보안 부트캠프도 어디서 주관하냐에 따라 차이가 많이 큰가요?(차이라 함은 교육 수준과 교육 수료 후 인식 차이 입니다) 2. 저는 모의해킹, 취약점 분석 쪽을 희망하는데, 네이버클라우드 캠프 같은 경우는 클라우드 보안 중점, 카카오 구름 딥다이브 캠프는 보안에 전반적인 과정이라 모의해킹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럴 경우는 어떤 캠프를 듣는 것이 더 좋을까요?(제가 희망하는 직군이랑 차이가 있는 경우) 3. 네이버 클라우드 캠프 같은 경우는 이스트소프트에서 주관하던데, 네이버 클라우드와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 건가요? 주관사랑 회사명이 다른 부트캠프가 많더라고요.
개발자
#보안
#부트캠프
#모의해킹
답변 0
댓글 0
조회 135
3달 전 · @SoftyChoco 님의 새로운 답변
앞으로의 커리어 방향에 대해 고민이 생겼습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커리어 방향을 어찌 잡아야할지 고민이 생긴 뒤로, 방향성을 어떻게 잡고 나아가야할지 고민이 들어 글을 남겨봅니다. 저는 비전공자 + 경력 2년차 인공지능 엔지니어 직무로, 스타트업에서 출시 전인 AI 서비스 개발과정 업무를 하다가, 회사가 문을 닫게되면서 자연스럽게 일을 그만두게 되었습니다. 그 뒤로 개인적인 사정으로 현재까지 공백기가 유지되고 있다가, 이제 다시 시작할 수 있게된 상황이 된지라, 다시한번 취업준비를 하고자 방향성을 갖추고자 하였습니다. 물론 공백기동안 아무 것도 안한것은 아니고, 약 6개월간 추가적으로 국비 교육을 들으면서 인공지능 + 백엔드 과정 코스를 수강하였습니다. 그러던 중 국비교육을 들으면서 백엔드 엔지니어, 서비스의 보이지 않는 부분에 대한 과정들을 다루는 직무에 큰 관심이 생겼습니다. 하지만 이전에 쌓아뒀던 경력이 남아있기도하고, 나이도 있는지라, 고민이 많이 듭니다. - 인공지능 엔지니어에서 백엔드 엔지니어로 직무전환을 하는 케이스가 있는편일까요? 보통은 백엔드 -> 인공지능을 많이 보긴했는데, 반대 상황에 대해서는 많이 보지 못했던 편입니다. - 기존 경력을 놓고 백엔드 엔지니어 신입을 목표로 진행하는 것이 나을 것인지, 이전 경력을 포기하지 않고 나아가야할지 고민이 들어서 게시물 남겨봅니다. 어떤 방향을 고르는게 나을까요?
개발자
#커리어
답변 1
댓글 0
조회 135
4달 전 · 이 승은 님의 새로운 댓글
컴공과 2학년, 조언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제 컴공과 2학년을 앞두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수도권 학교도 아니라서 학교끼리 뭉칠 수 있는 동아리가 전혀 없었고 몇개 알아보나 해커톤을 알게되어서 나가본 이후로 동기부여가 되어서 개발자나 프로젝트를 만들어보고 싶다는 마음이 들게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학교에서는 아직 파이썬, C밖에 배우지 않은 상태이고 교육과정을 보았을때 빠르게 스펙을 쌓을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초조해지더라구요. 꿀팁이나 조언같은게 필요합니다ㅠㅠ 혼자 프로젝트를 할때는 무엇부터 공부해보는것이 제일 좋은지, 그리고 언어 관련 공부에 대해서도 조언부탁드립니다 선배님들 말듣고 무턱대고 백준과같은 문제들을 풀었다가 어떻게 짜야할지부터 막혀서 쩔쩔맸었는데 이건 언어를 다시 공부해야하는 걸까요..?
개발자
#공부방향
#대학생-공부고민
#대학생
#컴공새내기개발자분들께조언을구해요
#컴공과
답변 1
댓글 6
조회 108
4달 전 · 익명 개발자 님의 새로운 답변
신입 채용사이트 이력서 질문
사람인이나 잡코리아 등 채용 사이트 이력서 양식으로 이력서를 쓸 때, 신입이라 경력이 없는데 프로젝트를 포트폴리오 pdf 파일로만 둬도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경력이나 경험/활동/교육 같은 항목에 조금이라도 더 적는 게 나을까요?
개발자
#취업
답변 1
댓글 0
조회 84
3달 전 · soso 님의 답변 업데이트
백엔드 신입 개발자 이력서입니다. 피드백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https://drive.google.com/file/d/127XondGWATg74CSjV6lrPYtFQcVQixpd/view?usp=sharing 여기저기 참고하면서 작성하였는지라, 좀 길고 부족한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ㅎㅎ 여러모로 부족한 점이 많다고 느껴, 현업 분들 입장에서 의견을 듣고 싶어 조심스럽게 질문드립니다. 객관적인 경험이 부족한 건지(더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등), 내용 면에서 무엇이 부족하다고 느끼시는지 피드백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꾸벅. (포트폴리오도 있지만, 중복된 내용에 이미지가 다수라, 너무 벅찰 거 같아서 안 넣었습니다.)
개발자
#백엔드
#취업
답변 3
댓글 3
추천해요 1
조회 555
4달 전 · 이상래 님의 새로운 답변
Si 신입 궁금한 점
이번에 중소기업si 개발자로 취업하게되었습니다. Lg cns 협업기업인데 현재는 교육기간입니다. 파견가게되면 개인 저장장치는 물론 개인 노트북도 반입이 불가하다고 듣게되었습니다. 궁금한게 인터넷도 제한이된다고 들은 것 같은데 모르는 것이 있으면 업무를 보는 중 모르는 것이 있을 때 구글링이나 chat gpt를 사용도 제한되는건가요??
개발자
#si
#si회사
#파견
답변 1
댓글 0
조회 115
14일 전 · 엉뚱한밀크언니 님의 새로운 답변
선배님들의 고견을 여쭙고자 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저는 최경호 라고 하며, 현재 울산에서 MRO소모성 자재(건설업) 납품업체 에서 건축자재 및 공구 또, 산업.안전용품 의 유통회사 에서 배송납품 기사 로 일하는 40대 남성 입니다. 건설업 MRO 라는 키워드 로 검색을 하게되었고, 정확한 내용은 아래 링크 를 보시면 더 자세하실 겁니다. https://blog.naver.com/mmoonhs91hy/221934607016생활안전시장_안전용품 다름이 아니오라, 제가 현재 일하고 있는 회사는 울산지역 에서 S-oil 이나 금호석유화학, SK에너지 등의 회사의 협력업체들 에게 공구 및 작업복 흔히 말하는 산업.안전용품 기타 관련용품들 을 배송.납품 하는 업무를 하고있습니다. 제가 문의글을 올리게 된 이유는, 울산의 공구상가 에서 (사업자 를 가진 회사에게 도매 가격으로 판매를 하고, 개인고객 에게는 소매가격으로 판매를 하는) 업장을 방문해서 물건을 구입후 에 배송을 하고 있습니다. 여러 카테고리 가 있다보니. 품목에 따라 다른 업체들을 방문하여 물건구입 후 배송을 하는데, 저희 회사자체 의 창고에서 물건을 찾아서 가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원체 많은 품목들이 있고, 판매를 될지 안될지 모르는 제품들이기에 창고에 미리 갖추고 있을 여유는 없습니다.) 또한 KEP(코리아이플랫폼) 라는 MRO회사의 네트워크 에 가입이 되어있고-실제 배송.납품건이 많지는 않은것 같습니다. 크레텍 책임&웰딩 이라는 대구에 본사를 둔 회사에서 공구 관련 품목을 납품 받고, 기타 타지역에서 화물로 물건을 받아 그때그때 주문에 맞추어서 발주를 하고 물건을 받아,판매하고 있습니다. KEP 나 서브원 같은 대기업 에서 운영하는 MRO업체들 에게서 물건을 납픔받아 재판매를 하는 식 입니다. 구비하고 있는 기계? 를 일정기간 임대 하고 비용을 받는 부분도 있는것 같습니다. 제가 대표님 에게 듣기로는, 울산 이라는 지역에서 같은 업을 하는 경쟁사 가 약250여개 가 된다고 합니다. 아주 오래된...지금 의 7~80대 어르신 들이 예전에 하던 유통방식 에서 달라진것이 없는 상황 입니다. (물론 연합을 해서 이 물건은 이 가격에 팔자! 라는 방식은 잘 모르겠으나, 공구상가 주변에 모여들어 사업자가 있는 사람에게는 도매가로 판매하고 개인에게는 소매가 로 판매를 하는..) 또한, 건설 프로젝트 를 대기업에서 입찰을 해서 공사를 시작하게 되면 그 협력업체 사람들과의 인맥 과 또 그를 통한 다른 인맥을 만들며 공사에 참여하여 자재를 납품 합니다.. 인맥이 없으면, 장사를 못한다! 라는 그런 이야기 도 들은것 같습니다. 이런 현 상황에서 소상공인들이 대부분 이다보니, 정부에서 기관을 만들어 지원해 주는 경우도 있는데 대부분이 마케팅 과 온라인 유통 에 관련된 교육들이고, 사업자 가 있어야 참여를 할수가 있더군요.. 온라인 유통에 대해 아는것이 없습니다.. 전문성 을 어필하기 위해 홈페이지 에서 구독서비스 를 만들고 공구나 기타자재 들도 풀필먼트 라는 물류시스템을 빨리 갖추어야 한다! 라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만... 홈페이지 에서 클릭해서 장바구니 담고 택배로 물건 보내준다.. 건축자재 들이 원체 부피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다보니, 그게 가능한가? 이런 수준의 생각밖에는 못하고 있습니다. 산업.안전용품 를 유통하는 회사로써, 유통업,서비스업 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생각합니다만, 이 업계에서 저희 회사의 포지셔닝 부터 찾아야 한다고 생각을 하고, 포지셔닝 을 찾은후에 다른 경쟁사 와 다른 저희 회사만의 KSF(Key success factor) 를 만들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짧은 생각으로는, 서비스업 의 특징은 , 고객이 이미 가지고 있는 기대치 를 넘어서는 무언가를 제공해 줄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정확하고 빠른 배송 과 친절함? 이런 부분은 누구나 다 생각하고 가지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유통업 에서 포지셔닝 을 찾기위해 어떤 부분들이 고려되어야 하는지? 저희만의 KSF를 가지기 위해 무엇을 할수있는지? 이 부분에 대해 여쭙고자 합니다. 저는 타 경쟁사 와 다른 저희만의 독점성 을 가지기 위해 개인적으로 해외소싱,구매 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에서 산업,안전용품 은 보급품 이라는 이미지 가 있다고 생각을 하고있으며, 품질적인 부분은 아직 국제사회에서 경쟁을 할 정도는 아니다.라고 알고있습니다. 그리고 항상 편안함 과 안전 이라는 부분이 가장 우선시 되기에. 타업계에 비해 품목의 트렌드 에 영향을 많이 받지는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중소기업 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기 위해. 이미 많은 대기업들이 MRO를 하기에, 해외소싱 이 저희만의 KSF가 되어줄수 있을지에 대해서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국내에 유통이 되지않는, 그런 품목이 필요하다고 생각만 하고있습니다. 많은 전문가 분들은 산업,안전용품 과 공구 등은 해외소싱 및 구매를 할 만한 아이템이 이젠 거의없고 또 아이템 마다 너무다른 방식들이 많아서 그다지 좋은 방법은 아니라고 합니다. 소모성자재 이니 만큼 건설업 만이 아닌. 자동차 ,조선업 ,입찰,항공 또한 조달..등의 이야기 와 온라인 유통에 대해 많은 지식을 갖추라고 이야기 하십니다. 제가 얻은 답변 중 회사의 일원으로써 갖추어야 하는 능력은.. AI UI/UX 설계 데이터 분석 어디서 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어떤 커리큘럼 을 가지고 따라갈수 있을지 문의 드리고자 합니다. 제가 현재 많은 지식을 갖추고 있는 사람이 아닌지라, 어리석은 우문 만 드리게 되었습니다만, 여기 계신 분들의 고견을 부탁 드려도 될런지요?
PM/PO/기획자
#mro
#소모성자재
#납품업
답변 1
댓글 0
조회 90
4달 전 · 구운감자 님의 답변 업데이트
금융 it 쪽에 관심이 생겼는데, 프론트엔드 공부만 해와서 걱정입니다.
안녕하세요. 올 2월에 수료하고 본격적으로 취업 준비하는 취준생입니다. 제가 가진 스펙은 다음과 같습니다. 학력 : 서성한 컴퓨터공학 전공 학점 : 4.17, 전공 성적 다 A 경력 및 교육 : 스타트업 프론트엔드 개발 4개월, 프론트엔드 부트캠프 수료, 자격증 없음 그리고 이번에 우아한테크코스 프론트 과정에도 합격하게 됐는데요. 아마 우테코와 취준을 병행할 거 같습니다. 문제는 아직 제가 서비스 기업에 가고 싶은지, 대기업에 가고싶은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러다 최근에 금융 it 쪽에도 관심이 생겼습니다. 특히 코스콤에 관심이 생겼는데요. 그런데 제가 해온 공부가 전부 웹 프론트엔드 쪽이라.. 증권이나 금융it 신입 채용시 이러한 경력을 선호하지 않을 거 같아 걱정이 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추가적으로 데이터 분석이나 백엔드 프로젝트 경험을 쌓기에는 비효율적이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현업자분들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그리고 선배님들께서는 정통 대기업, 금융 it, 빅테크 기업 중 어떤 곳을 선택할지 어떻게 선택하셨는지도 궁금합니다.. 요즘따라 제가 저라는 사람 자체를 잘 모르는 거 같아 이러한 선택에도 어려움을 겪는 거 같아 속상합니다..ㅎㅎ 참고로 이제 20대 후반인 여자입니다. 문과에서 전공을 늦게 변경해서 졸업이 늦어져서 올해는 꼭 취업을 하고 싶습니다.
개발자
#금융it
#금융공기업
#코스콤
답변 1
댓글 0
조회 503
5달 전 · jin0102 님의 새로운 댓글
노베이스 개발자 취업 재활
안녕하세요. 곧 다가오는 2025년 기준으로 26살이 되는 여자입니다. 학교는 3년제로 관련 없는 전공을 나왔습니다. 졸업 후에는 바로 국비로 6개월 정도 유니티 교육을 들었는데, 정말 아무 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하려니 많이 어렵더군요. 힘겨워하면서도 수료는 했고, 포폴에 올릴 게임도 몇 개 만들었습니다. 깃을 사용해가며 협업한 프로젝트도 두세개 있긴 합니다. 그렇게 포폴 초안을 만들고 수료를 했는데, 이것저것 안 좋은 일의 겹침과 회피 심리, 개발 능력 부족에 대한 불안함으로 인해 학원의 애프터케어에 제대로 나가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결국 포폴은 완성하지 못한 상태로 1년 가량이 지나버렸습니다. 솔직히 그냥 게을러서 그런 것도 있지만 수료 후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버리니 다시 백지 상태에 돌입해서 어디부터 손을 대야할지 막막하더라고요... 이제 26살이면 어린 나이도 아닌 것 같아 위기감이 들어서 다시 시작해 보려 합니다. 그런데 정말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했던 포폴을 다듬고 구직을 하는 게 맞는 것 같은데, 1,2년 전 만든 것에다가 팀프로젝트까지 섞여있어서 이걸 다시 붙잡고 있는 게 맞는가?하는 의문도 듭니다. 또, 지금 올해 안에 취업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 차라리 빠르게 웹 개발자 같은 것으로 전향해야 하는 게 아닌가?싶기도 합니다. 그래서 지금 생각하고 있는 후보군을 정리하자면 1. 좀 오래된 포폴을 어떻게든 한두달 동안 다듬고 공부해서 구직활동을 한다. 2. 몇 개월간 인프런 같은 곳에서 강의를 듣고 응용모작, 창작을 해가며 새로운 포폴을 만든다. (이 경우에는 팀플 경험을 어필할 포폴이 없음) 3. 독학을 조금 더 하고, 유니티 국비 2회차를 한다.(사비 사용) 4. 다른 개발쪽 국비를 듣는다. 정도인 것 같습니다. 정처기나 다른 스펙을 준비해보고 싶지만 초대졸인지라 시험 응시 요건에 충족되지 않더군요... 취업하고 나서면 몰라도 지금 상황엔 영어공부 같은 것보단 포폴이 중요해보여 일단 미뤄뒀습니다. 애초에 개발 공부를 제대로 했다고 할 순 없지만, 재능이 있는지 의구심이 들어 디자인 같은 곳으로 눈을 돌려볼까 싶기도 했습니다... 그래도 어쨌든 게임 개발에 확실히 즐거움은 느끼고, 신입으로서 일해보고 싶은 마음도 존재합니다. 제가 생각하고 있는 방식 중에서 그나마 제일 나아보이는 게 어느 쪽일까요? 공부해야 할 것이나 스펙, 추천 사이트, 학원 등등 뭐든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다른 방식을 조언해주셔도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취업
#유니티
#게임-개발
#게임_개발자
#포트폴리오
답변 1
댓글 1
조회 233
5달 전 · HypeBoy 님의 새로운 답변
컴퓨터공학과 인공지능학과
컴퓨터공학과는 2023년도부터 국내 개발자 일자리가 얼어붙기도 했고 이미 레드오션에 현직자 분들 중에서는 굳이 대학교 전공을 컴퓨터공학으로 나오지 않으신 분들(국비사업이나 이외)도 많다고 들었습니다 그럼에도 뿌리가 깊고 선배들이 터놓은 길이 있으며 다양한 분야를 맛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인공지능학과는 요즘 뜨는 분야로 선배들이 많이 없어 불안한 감이 있고 대학원을 무조건 가야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컴퓨터공학의 부분집합이기에 배우는 폭이 좁고 깊다는 점이 있죠 컴퓨터공학과 교수님은 컴퓨터공학과를 가서 인공지능 대학원을 가라고 하시고 현직 개발자는 점점 코딩보다는 인공지능 다루는 기술이 더 중요해질거라고 인공지능을 가라고 하시고 또 대학교 4년동안 배우는 cs 무시 못한다는 분도 있고... 고민이 많습니다 인공지능이랑 컴퓨터공학과 관련된 현재 일자리 시장 상황이나 전망에 대해서도 궁금합니다 이 글을 보신 분의 생각은 어떠신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첫 번째가 제 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육과정이고 두 번째가 인공지능입니다
개발자
#인공지능
#컴퓨터공학과
#컴퓨터
#개발자
#ai
답변 1
댓글 0
조회 145
5달 전 · 문종호 님의 새로운 답변
고졸 서울 취업 가능성
안녕하세요 지금 부산에서 생산직 곧 4년차를 앞두고 있는 사람입니다 고등학교 졸업하고 스물한살때 입사해서 지금 스물다섯이 다 되어가 다른 직무에 도전해보고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서울에서 사무직 이직 또는 평소에도 관심있는 풀스텍 개발자 루트를 밟고 싶습니다 1. 3년 생산직도 경력으로 인정되어 서울에서 취업할 수 있을까요? 2. 일반 사무직 근무 중 방통대 또는 학점은행제로 학사 학위를 따고 싶은데 이후 취업에 유리해지는 지? 3.개발 국비학원 교육 이수 후 취업 가능성?
개발자
#고졸
#이직
#상경
답변 1
댓글 0
조회 139
5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신입 클라우드 엔지니어 고민
안녕하세요 지방대 (4년제) 최종 학점 3.84/4.5 8월 졸업한 뒤 이번 하반기에 서류 합격이 된 적이 없어 저도 제 문제점을 확실히 알고 더욱 고도화를 하고 싶은 마음에 처음으로 글 올려봅니다 4개월 클라우드 직무교육 프로그램 수료 AWS SAA, RHCSA, RHCE 취득 테라폼 써서 EKS 포함한 하나의 아키텍처를 프로비저닝한 팀 프로젝트 경험 1개 있습니다 그외 잠깐 오래전 데이터 마스킹한 아르바이트 경험 말곤 관련된 인턴이나 실무 경험이 없어서 인턴부터 차근차근 필드경험을 쌓아가고 싶은데 인턴마저도 잘 안되네요 돌파구가 있을까요? 실무 경험을 어디서 어떻게 쌓아나가야 할지 정말 고민됩니다... 그리고 실무 경험과 별개로 제스스로 어떤 자기계발을 해나가야할지도 판단력이 흐리지네요
개발자
#클라우드
#클라우드-엔지니어
#신입
답변 1
댓글 0
조회 121
6달 전 · 이정윤 님의 질문
SSAFY 수료 후 진로
SSAFY 코딩 트랙(서울)을 교육을 이수하고자 하는 취준생입니다. 현재 데이터베이스 관리나 개발 쪽에 관심이 있는데요. 싸피 커리큘럼 상에 데이터베이스 관련 학습도 포함되어 있어서 관련 진로로 나아가는 경우도 있는지 궁금해 질문 드립니다. 그리고 만일 SSAFY 과정이 도움이 된다면, Python이나 Java 중 개발 하나의 언어를 선택하는 것은 데이터베이스 쪽으로 진출하는 것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요?
개발자
#ssafy
#개발자
#데이터베이스
#python
#java
답변 0
댓글 0
조회 115
6달 전 · 백승윤 님의 새로운 답변
AI/ML 엔지니어, 데이터 엔지니어 취업 고민
안녕하십니까 이번 학기를 마지막으로 졸업을 앞둔 대학생입니다. 저는 경영학 전공으로 데이터 분석을 하다가 데이터 엔지니어링, ML 엔지니어링 까지 관심이 확장되었습니다. 그에 맞게 데이터 분석이나, 데이터 파이프라인, CNN 객체 인식 등 관련 프로젝트를 하면서 흥미를 많이 느꼈습니다. (경험: python, C++, AWS, GCP pytorch, kafka, Elasticsearch, langchain, faiss 경험) 이번 하반기에는 백엔드, 데이터 분석, MLOps 직군으로 금융권이던 SI 이던 모두 지원하였습니다. 서류 합격은 약 30프로 정도 되었지만 코딩 테스트, 인적성 검사 단계에서 통과하지 못했습니다. 이번 하반기를 경험하면서 백엔드가 아니라 AI 개발, MLOps, 데이터 엔지니어링 직무를 하고 싶어졌습니다. 이 세가지 직무에 취업하기 위해 석사를 요구하는 회사가 대부분임을 보았습니다. 그에 따라 컨텍없이 AI 대학원을 지원하였는데 입학만 합격한 상태입니다. 그리고 관심 분야(LLM, 추천시스템)의 교수님과 면담을 앞두고 있습니다. 1. 저의 고민은 대학원에 들어가는 것이 좋은 선택일지, 아니면 다음 상반기를 제대로 준비하고 안된다면 작은 회사에서 부터 경력을 빨리 쌓는 것이 좋은 방법일지 고민입니다. 물론 대학원에 들어간다면 열심히 할테지만, 갑작스럽게 결정한 만큼 많은 것을 얻고 나올 수 있을지, 시간만 허비하는 게 아닐 지에 대해 고민이 됩니다. "도피성으로 대학원을 들어가서는 안된다." "대학원에서 배운것이 실무에 쓰이는 일이 생각보다 없고 빨리 현업에 뛰어들어 경력을 쌓는게 더 유리하다." 등의 말을 들어보니 어떤 생각과 자세를 가지고 선택하는 것이 좋을지 고민입니다. 2. 학사 비전공자의 신분으로 이쪽 분야에 취업할 수 있을지 고민입니다. 물론 이쪽 분야의 연합동아리,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프로젝트 경험이 있지만, 학문적으로는 독학한 것이 전부인지라 채용하는 입장에서 저를 어떻게 생각할지 궁금하네요. 3. 현재 싸피라는 교육 프로그램도 생각 중입니다. 싸피를 통해서 부족한 알고리즘, Spring, java 부분을 공부할 수 있고, 취업하는 과정에서 많은 정보와 기회 측면에서 도움이 될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도 궁금합니다. 돈을 많이 버는 것이 정말 좋지만, 돈의 욕심보다는 아직 젊은 만큼 원하는 업무를 통해 커리어를 쌓고 싶은 맘이 더 큽니다. 물론 아직 세상을 너무 모르는 것도 있습니다 ㅎㅎ 긴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개발자
#진로
#신입
#신입-개발자
#대학원
#인공지능
답변 1
댓글 0
조회 284
6달 전 · 박정환 님의 새로운 답변
다음주부터 국비지원으로 ai웹개발
다음주부터 국비지원으로 ai 웹 개발 과정을 배우기로 했습니다. 지금 나이 28살인데 여태 제대로 된 취업을 못해보고 아르바이트만 전전 하다가 일도 쉰지 4개월이나 되었습니다. 그동안 자존감만 낮아져서 침대에 누워서 sns으로 보다가 스파르타 코딩교육에서 국비지원으로 교육을 진행한다는 것을 보았습니다. 처음엔 코딩에 1도 모르는 비전공자라 고민을 많이 했지만 뭐라도 하지 않으면 제자리 걸음 일 것 같아서 신청을 했습니다. 제가 배울 ai웹 개발 전망이 어떤지, 또 비전공자가 하기엔 코딩이라는 벽이 높진 않은지, 제가 부산에 있는데 부산에도 관련 회사가 있는지 등이 궁금합니다 ! 현직자 분들이 말씀해주신다면 조그마한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부탁드려요🙏🏻
개발자
#ai개발
#개발공부
#비전공자
#개발고민
답변 2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