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올영세일’은600만명이 찾는 정기 세일 행사가 됐을까?

유통 업계의 정기 세일은 익숙하고 흔하지만, 올리브영의 정기 세일인 ‘올영세일’은 남다르다. 팬덤과 브랜드력이 생겼고 고객이 ‘기다리는’ 행사가 됐다. 심지어 ‘올영 369 법칙’ 용어까지 생기며 3의 배수인 달의 올리브영은 그야말로 인산인해다. 


세일 기간에만 수 천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누적 방문 회원수 600만명을 기록한 올영세일. 올영세일은 어떻게 고객에게 사랑받는 정기 세일 행사가 됐는지 그 이유를 살펴봤다 🛍️


https://think-note.com/oliveyoung-sale/


올리브영은 어떻게 ‘올영세일’을 600만명이 찾는 정기 세일 행사로 만들었을까?

thinknote | 제 생각과 제게 영감을 준 브랜드와 트렌드 이야기를 다룹니다

올리브영은 어떻게 ‘올영세일’을 600만명이 찾는 정기 세일 행사로 만들었을까?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3월 6일 오전 2:0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성장에는 방향이 필요하다

    당신이 지금 있는 자리에서 앞으로 한 발자국 걸었다고 생각해 보자. 당신은 한 발자국만큼 ‘나아간’ 것인가? 그런데, 만약 당신이 가야 하는 곳이 당신의 등 뒤에 있다면 어떨까? 그렇다면 당신은 한 발자국만큼 ‘물러선’ 것이 아닌가?

    ... 더 보기



    < 우리가 ‘콘텐츠’에 빠져있는 동안 뇌에서 벌어지는 일 >

    1

    ... 더 보기

    < 사람들은 이제 ‘기능’이 아닌 ‘의미’를 소비한다 >

    1

    ... 더 보기

    방송이나 유튜브 보다보면 경제전문가라 말하는 하락론자와 비관론자가 판을 치는데, 최소 지난 수년, 더 나아가 20여년동안 매번 틀려도 여전히 전문가라고 말하고 다니는 걸 보면 재미있다.


    모든 인간사가 그렇듯 인간은 믿고 싶은대로 믿는 존재라 그렇게 믿고 싶은 사람들의 감정적 지지를 받아 밥벌이하고 있다는 건 이해가 된다. 하지만 확율적으로 벌어지기 어려운 천재지변 수준의 사건으로 벌어지는 현상이나 전체 흐름에서 일시적으로 벌어지는 현상, 혹은 인간의 욕망과 본성이 외부적 요인으로 잠시 억눌린 상황에서 현실적 경험 없이 뇌피셜로 몇몇 논리적 근거만으로 설명되는 현상을 바탕으로 자산 가치 떨어지고 세상 망할 것처럼 이야기하는데, 결국 제대로 맞추지도 못하는 사람들을 여전히 추종하는 건 글쎄...

    ... 더 보기